•  
  •  
  •  
  •  
  •  
  •  
  •  
  •  
  •  
  •  
단선 승강장에서 넘어옴
분류
1. 개요2. 승강장/선로 배치에 따른 분류
2.1. 상대식 승강장2.2. 섬식 승강장2.3. 단선 승강장
2.3.1. 복층 단선 승강장
2.4. 쌍상대식 승강장2.5. 쌍섬식 승강장2.6. 1상대/1섬식 승강장2.7. 섬식+1 승강장
3. 선형에 따른 분류
3.1. 직선 승강장3.2. 곡선 승강장

1. 개요[편집]

철도역 승강장들의 유형을 정리 하여둔 문서이다.

2. 승강장/선로 배치에 따른 분류[편집]

2.1. 상대식 승강장[편집]

파일:상대식 승강장.png

선로를 가운데에 두고 양 옆에 승강장이 있는 가장 일반적인 승강장 형태. 승강장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2.2. 섬식 승강장[편집]

파일:섬식 승강장.png

승강장을 가운데에 두고 양 옆에 선로가 있는 방식. 승강장 양 끝으로 불필요한 곡선이 생겨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을 수 있다. 또한 선로가 승강장을 감싸는 만큼 승강장 확장이 어렵다. 명칭은 승강장이 가운데 섬처럼 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2.3. 단선 승강장[편집]

파일:단선 승강장.png

하나의 선로에 하나의 승강장이 있는 형태. 대표적으로 6호선 응암 순환 구간이 있다.

2.3.1. 복층 단선 승강장[편집]

단선 승강장이 복층으로 나란히 두 개 있는 형태.

2.4. 쌍상대식 승강장[편집]

파일:쌍상대식 승강장.png

상대식 승강장 두 개를 이어붙인 형태.

2.5. 쌍섬식 승강장[편집]

파일:쌍섬식 승강장.png

섬식 승강장 두 개를 나란히 배치한 형태. 주로 급행/일반 열차 간 구분이 있는 승강장 등에서 볼 수 있다.

2.6. 1상대/1섬식 승강장[편집]

파일:1상대 1섬식 승강장.png

단선 승강장 하나와 섬식 승강장 하나를 나란히 배치한 형태. 1호선 인천역광운대역, 3호선 수서역 등에서 볼 수 있다.

2.7. 섬식+1 승강장[편집]

파일:섬식+1 승강장.png

섬식 승강장 확장이 어려워 섬식 승강장 옆에 상대식 승강장을 하나 더 만든 형태. 대표적으로 신도림역, 외대앞역 등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복선 선로가 너무 떨어져있거나 고저차가 있어 이와 유사하게 단선 승강장 두 개를 각각 부설한 사례 역시 존재한다. 일본의 스고역이 그 예이며, 극단적인 사례로는 도아이역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도아이역은 섬식 승강장이다.

3. 선형에 따른 분류[편집]

3.1. 직선 승강장[편집]

말 그대로 승강장 구간이 직선인 승강장.

3.2. 곡선 승강장[편집]

말 그대로 승강장 구간이 곡선인 승강장. 곡선이기 때문에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어 내리고 탈 때 조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