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 자치군 강진군 康津郡 Gangjin County | |||
군기 | CI | ||
표어 | |||
소통·연결·창조의 신강진 | |||
위치 | |||
기본 정보 | |||
국가 | |||
도 | 전라남도 | ||
군청 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탐진로 111 | ||
하위 행정구역 | 1읍 10면 112 법정리 | ||
면적 | 500.93㎢ | ||
군수 | 강진원 | ||
상징 | |||
군화 | 동백꽃 | ||
군목 | 은행나무 | ||
군조 | 까치 | ||
인문 환경 | |||
인구 | 32,275[1] | ||
인구 밀도 | 64.43/㎢ | ||
기타 정보 | |||
홈페이지 | |||
SNS |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전라남도의 행정구역
2. 연혁[편집]
시대 | 연혁 |
백제시대 | 도무군 |
통일신라시대 | 양무군경덕왕 |
고려시대 | 도강군 |
조선시대 | 병영설치(태종17년) 강진현 |
1895년 | 강진군(지방제도개혁) |
1936.07.01 | 강진면 '읍' 승격 |
1983.02.15 | 신전출장소 '면' 승격 |
1989.04.01 | 마랑출장소 '면' 승격 |
1990.08.01 | 해남군 옥천면 봉황리 일원 도암면 편입 |
- 강진은 백제시대에 도무군의 도강과 동음현의 탐진이 영합된 지역으로 도강(道康)의 강(康)과 탐진(耽津)의 진(津)이 합쳐진 명칭이다.
- 백제시대에는 도강군이 도무군으로 개칭되었다.
-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에 도무군이 양무군으로, 동음현이 탐진현으로 개칭되었다.
- 고려시대에 도강군으로 개칭과 동시에 탐진현 일부지역이 영암군과 장흥군에 속했다.
- 고려 명종 2년(1172년) 감무를 두어 행정, 병무를 동시에 담당토록 했다.
- 조선 태종 17년(서기 1417년) 도강현 지역의 일부인 현 병영면 지역에 전라도병영(병영 절제사)을 신설함과 동시에 동강현과 탐진현을 합하여 강진현이라 명명하였으며, 치소를 도강의 치소이던 송계(현 강진읍 송현 또는 성전면 수양지역)로 옮겼다.
- 조선 성종 6년(1475년)에 다시 탐진의 치소(현 강진읍)로 복귀하였다.
- 조선 고종 32년(1895년) 지방제도 개혁에 따라 강진군으로 개칭했다.
- 1914년 백도면(현 신전면과 해남군 북일면의 일부)의 월성, 항리, 만수, 좌일, 금당, 내봉, 동리, 중산, 방책, 남촌 등 10개리를 해남군 북평면에 이속시키는 동시에 완도군 관할이던 가우도를 도암면에 영속시켰다.
3. 자연환경[편집]
- 출처: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강진군
동 · 서 · 북의 삼면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지맥이 있고, 남서쪽에는 강진만이 있다. 중앙부에는 산맥이 동서로 가로질러 있으며 그 사이에 평야가 분포한다.
북쪽 영암군과의 경계에는 월출산(月出山, 808m), 동쪽 장흥군과의 경계에는 수인산(修仁山, 561m) · 부용산(芙蓉山, 609m) · 천태산(天台山, 549m), 서쪽 해남군과의 경계에는 서기산(西基山, 515m) · 석문산(石門山, 272m) · 만덕산(萬德山, 409m) · 주작산(朱雀山, 438m)이 있고, 중앙에 수암산(秀巖山, 412m) · 우두봉(牛頭峯, 439m) 등 소백산맥의 봉우리가 있으며, 군동면의 안산인 금사봉(金沙峰, 389m)이 있다. 해남과의 길목에 제안 고개와 병치(兵峙), 장흥과의 길목에 바람재 · 장구목재 · 골치재, 영암과의 길목에 땅재 · 누릿재 · 불티재가 있다.
군 내 최대의 하천은 탐진강(耽津江)과 그 지류인 금강(錦江)이며, 이외에도 동남류하는 강진천(康津川)과 도암천(道菴川), 서남류하는 칠량천(七良川)과 대구천(大口川)이 있다.
지질은 중생대 상부 경상층 제3기 및 제4기층에 속하는 결정편암과 충적층, 시대 불명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은 암회갈색 및 회갈색의 양토 · 사양토 · 사토가 주이다.
강진만은 도암면과 대구면 사이에 위치한 만으로 군의 중앙부까지 만입되어 있다. 해안선의 길이는 73.61㎢이며, 만 안에는 탐진강 · 장계천 · 강진천 · 석문천 등의 하천이 흘러든다. 1978년 청정수역으로 선포되었다. 탐진강 하구는 1970년대에 간척사업으로 농경지로 변하였다.
강진만 남쪽에는 고금도가 가로놓여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가우도, 비래도 등 8개의 섬이 있다.
북쪽 영암군과의 경계에는 월출산(月出山, 808m), 동쪽 장흥군과의 경계에는 수인산(修仁山, 561m) · 부용산(芙蓉山, 609m) · 천태산(天台山, 549m), 서쪽 해남군과의 경계에는 서기산(西基山, 515m) · 석문산(石門山, 272m) · 만덕산(萬德山, 409m) · 주작산(朱雀山, 438m)이 있고, 중앙에 수암산(秀巖山, 412m) · 우두봉(牛頭峯, 439m) 등 소백산맥의 봉우리가 있으며, 군동면의 안산인 금사봉(金沙峰, 389m)이 있다. 해남과의 길목에 제안 고개와 병치(兵峙), 장흥과의 길목에 바람재 · 장구목재 · 골치재, 영암과의 길목에 땅재 · 누릿재 · 불티재가 있다.
군 내 최대의 하천은 탐진강(耽津江)과 그 지류인 금강(錦江)이며, 이외에도 동남류하는 강진천(康津川)과 도암천(道菴川), 서남류하는 칠량천(七良川)과 대구천(大口川)이 있다.
지질은 중생대 상부 경상층 제3기 및 제4기층에 속하는 결정편암과 충적층, 시대 불명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은 암회갈색 및 회갈색의 양토 · 사양토 · 사토가 주이다.
강진만은 도암면과 대구면 사이에 위치한 만으로 군의 중앙부까지 만입되어 있다. 해안선의 길이는 73.61㎢이며, 만 안에는 탐진강 · 장계천 · 강진천 · 석문천 등의 하천이 흘러든다. 1978년 청정수역으로 선포되었다. 탐진강 하구는 1970년대에 간척사업으로 농경지로 변하였다.
강진만 남쪽에는 고금도가 가로놓여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가우도, 비래도 등 8개의 섬이 있다.
4. 조직 및 재정[편집]
- 행정조직 : 2실, 3추진단 14과, 2직속기관, 5사업소, 1위원회, 1읍10면 / 1,000여 명
- 군의회 : 의원 8명, 의회사무과 19명
2024년 강진군 예산기준 재정공시 | |
예산 규모(통합회계) | 5,281억 |
재정자립도 | 7.83% |
재정자주도 | 59.79% |
통합재정수지비율 | -1.11% |
지방보조금비율 | 5.23% |
자체사업비율 | 27.81% |
4.1. 상징물[편집]
- 심볼마크
청자와 함께 강진만의 청정해역을 모티브로 형상화하여 바다의 물결이 아름다운 선으로 강진군민과 강진군의 어울림을 청자와 결합시켜 미래지향적인 강진의 이미지와 맑고 청아한 강진의 진취적 기상을 표현 하였으며 아래부분의 2개의 면은 강진이 가지고 있는 문화 역사적 의미를 담아 남도답사 일번지로서의 위상을 표현하였다
- 캐릭터
강진군의 캐릭터의 기본주제는 불과 물이 청자와 어우러진 모습에서 출발하였다. 불처럼 역동적이며 진취적인 모습의 "강도령" 물처럼 고요하고 잠재적인 모습의 "진낭자" 이들이 하나되듯이 21세기 강진군의 미래를 짊어질 강진의 청소년들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5. 경제[편집]
- 산업구조 : 1차 42%, 2차 11%, 3차 47% (지역별고용조사: 산업별 취업자 기준)
- 산업단지 : 3개소(일반산업단지 1, 농공단지 2)
- 사업체 : 5,615업체(도소매 1,103, 숙박·음식 728, 제조 393 등), 14,529명 고용
6. 교통[편집]
- 택시이용운임료
- 적용지역: 강진군 전지역
- 적용기준
- 기본운임: 주행거리 2km까지 기본요금 5,000원
- 거리운임: 2km초과 130m마다 160원 적용
- 시간운임: 운행속도 15km/h이하 주행 시 30초당 160원적용
- 할증운임
○ 운행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00:00 ~ 04:00시 사이에 운행한 운임에 대하여 20% 추가할증
○ 사업구역 밖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운임의 35% 추가할증 - 호출사용료: 승객이 택시를 호출하여 이용하는 경우 1회당 1,000원
7. 교육[편집]
- 교육시설 : 41개소(유치원 13, 초 13, 중 9, 고 5, 특수 1)
8. 행정 구역[편집]
읍 | 면 | 법정리 | 자연마을 | 반 |
1 | 10 | 112 | 293 | 612 |
8.1. 강진읍[편집]
강진읍(康津邑) | 동성리(東城里) | 동문(東門),목화(木花),고내(庫內),동명(東明) |
남성리(南城里) | 남문(南門),탑동(塔洞) | |
서성리(西城里) | 서문(西門),신성(新城),홍암(紅岩) | |
교촌리(校村里) | 신풍(新豊),교촌(校村),점수(点水) | |
목리(牧里) | 목리(牧里) | |
평동리(平洞里) | 중앙동(中央洞),평동(平洞) | |
남포리(南浦里) | 남포(南浦) | |
학명리(鶴鳴里) | 도원(桃源),호산(虎山),학산(鶴山), 초동(草洞) | |
임천리(林川里) | 학림(鶴林),신천(新川) | |
영파리(永波里) | 장동(壯洞),팔영(八永),차경(且耕) | |
덕남리(德南里) | 기룡(基龍),덕동(德洞),춘곡(春谷) | |
송전리(松田里) | 송정(松亭),장전(長田),화전(花田) | |
송덕리(松德里) | 송현(松峴),봉덕(鳳德) | |
춘전리(春田里) | 신학(神鶴),부춘(富春),보전(寶田),월정(月汀) | |
서산리(瑞山里) | 발산(鉢山),향일(向日),옥치(玉峙),월남(月南) |
8.2. 군동면[편집]
군동면(郡東面) | 파산리(琶山里) | 금곡(金谷),신리(新里),생동(笙洞) |
호계리(虎溪里) | 호동(虎洞),문화(文化),영포(永浦),갈전(葛田),오산(五山) | |
라천리(羅川里) | 평리(平里),남향(南向),시목(柿木),동동(東洞) | |
금강리(錦江里) | 내동(內洞),안풍(安豊),서은(瑞隱) | |
화산리(華山里) | 화방(花坊),삼화(三化),영화(永化) | |
용소리(龍沼里) | 안지(安池),신기(新基),석동(席洞) | |
풍동리(豊洞里) | 풍동(豊洞),봉산(峰山),벽송(碧松),명암(鳴岩) | |
장산리(獐山里) | 장항(獐項),중산(中山),대곡(大谷) | |
덕천리(德川里) | 덕천(德川),양산(良山) | |
석교리(石橋里) | 석교(石橋) | |
쌍덕리(雙德里) | 평덕(平德),관덕(觀德) | |
금사리(金沙里) | 덕마(德馬),금사(金沙),월봉(月峰),왕마(旺馬) | |
삼신리(三新里) | 비자동(榧子洞),연화(連花),학평(鶴坪) |
8.3. 칠량면[편집]
칠량면(七良面) | 영동리(永東里) | 영동(永東),강동(講洞),월궁(月弓),운산(雲山),연곡(蓮谷) |
송정리(松汀里) | 영계(永桂),송촌(松村) | |
삼흥리(三興里) | 신흥(新興),삼강(三康) | |
단월리(丹月里) | 목암(牧岩),율변(栗邊),월송(月松) | |
명주리(明珠里) | 명주(明珠),사구(沙邱) | |
흥학리(興鶴里) | 중흥(中興),학동(鶴洞) | |
장계리(長溪里) | 아산(峨山),반계(磻溪),장포(長浦) | |
현평리(峴坪里) | 고현(高峴),신암(新岩) | |
봉황리(鳳凰里) | 덕동(德洞),보련(寶蓮),봉황(鳳凰),사부(砂富) | |
영복리(永福里) | 영풍(永豊),만복(萬福),한림(翰林) | |
동백리(冬栢里) | 동백(冬栢),현천(玄川),벽송(碧松) | |
송로리(松路里) | 구로(舊路),송산(松山) |
8.4. 대구면[편집]
대구면(大口面) | 수동리(水洞里) | 수동(水洞) |
사당리(沙堂里) | 백사(白沙),미산(尾山),당전(堂前) | |
용운리(龍雲里) | 용문(龍門),항동(巷洞) | |
계율리(桂栗里) | 계치(桂峙),청용(靑龍),난산(卵山) | |
구수리(九修里) | 남호(南湖),구곡(九谷) | |
저두리(猪頭里) | 상저(上猪),중저(中猪),하저(下猪) |
8.5. 마량면[편집]
마량면(馬良面) | 영동리(永東里) | 산동(山東),영춘(永春) |
상흥리(上興里) | 상분(上分),하분(下分) | |
원포리(垣浦里) | 원포(垣浦),연동(蓮洞),숙마(宿馬) | |
마량리(馬良里) | 신마(新馬),원마(元馬)1구,원마(元馬)2구,서중(書中) | |
수인리(修仁里) | 수인(修仁) |
8.6. 도암면[편집]
도암면(道岩面) | 덕서리(德西里) | 덕촌(德村),청용(靑龍),만세(萬世) |
계라리(桂羅里) | 귀라(貴羅),계산(桂山),영동(永洞) | |
지석리(支石里) | 지석(支石),동령(東嶺),회룡(回龍) | |
강정리(江亭里) | 강성(江城),산정(山亭) | |
덕년리(德年里) | 만년(萬年),신덕(新德) | |
만덕리(萬德里) | 마점(馬店),보동(寶洞),귤동(橘洞),덕산(德山),신평(新坪) | |
학장리(鶴掌里) | 선장(仙掌),표장(表掌),송학(松鶴),율포(栗浦) | |
용흥리(龍興里) | 부흥(復興),용산(龍山) | |
신기리(新基里) | 신기(新基),용암(龍岩),망호(望湖),가우(駕牛) | |
항촌리(項村里) | 항촌(項村),장촌(長村),옥전(玉田) | |
석문리(石門里) | 석천(石泉),성자(聖子),신리(新里),월하(月下) | |
봉황리(鳳凰里) | 봉황(鳳凰) |
8.7. 신전면[편집]
신전면(薪田面) | 수양리(水良里) | 수양(水良),삼인(三仁),봉양(鳳陽) |
용월리(龍月里) | 노해(路海),백용(白龍),대월(大月),부춘(富春) | |
벌정리(筏亭里) | 논정(論亭),대벌(大筏),약천(藥川) | |
송천리(松川里) | 송천(松川) | |
사초리(沙草里) | 사초(沙草) | |
용화리(龍花里) | 백화(栢花),신정(新亭),용정(龍井),신흥(新興) | |
영관리(永貫里) | 어관(魚貫),영수(永守) |
8.8. 성전면[편집]
성전면(城田面) | 월남리(月南里) | 신월(新月),상월(上月),월남(月南),달빛한옥 |
월하리(月下里) | 안운(安雲),월하(月下),죽전(竹田) | |
영풍리(永豊里) | 신풍(新豊),영흥(永興) | |
송월리(松月里) | 월송(月松),신안(新安),대월(大月) | |
월평리(月平里) | 제전(楮田),월산(月山),처인(處仁),원기(院基) | |
성전리(城田里) | 신시(新市),시천(市川),낭동(浪洞),용운(龍雲) | |
도림리(桃林里) | 도림(挑林),신예(新曳),장등(長嶝) | |
금당리(金塘里) | 금당(金塘),거목(巨木) | |
송학리(松鶴里) | 송학(松鶴) | |
명산리(明山里) | 당산(堂山),명동(明洞),오산(五山) | |
수양리(秀陽里) | 동령(東令),신기(新基),수암(秀岩) |
8.9. 작천면[편집]
작천면(鵲川面) | 평리(坪里) | 상평(上坪),하평(下坪) |
내기리(內基里) | 내동(內洞),신기(新基),부와(浮蛙) | |
삼열리(三烈里) | 죽산(竹山),용동(龍洞) | |
용상리(龍祥里) | 용정(龍井),구상(九祥),척동(尺洞) | |
군자리(君子里) | 군자(君子),행정(杏亭) | |
갈동리(葛洞里) | 갈동(葛洞),퇴동(兎洞),학동(鶴洞) | |
현산리(峴山里) | 죽현(竹峴),박산(博山) | |
평기리(坪基里) | 교동(橋洞),기동(基洞) | |
삼당리(三棠里) | 상당(上堂),중당(中堂),하당(下堂) | |
야흥리(冶興里) | 부흥(復興),야동(冶洞) | |
이남리(梨南里) | 상남(上南),하남(下南) | |
토마리(土馬里) | 토동(土洞),이마(離馬) |
8.10. 병영면[편집]
병영면(兵營面) | 상락리(上樂里) | 상림(上林),낙산(樂山) |
지로리(枳路里) | 지로(枳路) | |
성동리(城東里) | 동성(東城),남성(南城) | |
성남리(城南里) | 성남(城南) | |
박동리(朴東里) | 박동(朴東) | |
삼인리(三仁里) | 동삼인(東三仁),서삼인(西三仁),남삼인(南三仁),신지(新池) | |
한학리(翰學里) | 한림(翰林),학사(學士) | |
상고리(上古里) | 상고(上古) | |
중고리(中古里) | 중고(中古),중가(中加) | |
하고리(下古里) | 하고(下古),발천(鉢川) | |
도룡리(道龍里) | 도룡(道龍),용두(龍頭) | |
삭양리(朔羊里) | 백양(白羊),삭둔(朔屯) |
8.11. 옴천면[편집]
옴천면(唵川面) | 봉림리(鳳林里) | 오추(梧秋),연동(蓮洞),죽림(竹林) |
황막리(黃幕里) | 동막(東幕),화신(花新),황곡(黃谷) | |
월곡리(月谷里) | 구곡(舊谷),신월(新月) | |
영산리(永山里) | 계원(桂院),영복(永福) | |
기좌리(己佐里) | 사동(巳洞),좌척(佐尺) | |
개산리(蓋山里) | 오곡(五谷),개산(蓋山) | |
정정리(井亭里) | 대곡(大谷), 정동(井洞), 송용(松龍) |
9. 지역 문화재[편집]
- 문화재 : 66개소(국가지정 27, 도 지정 38, 등록문화재 1)
문화유적 | 비고 |
영랑생가 | 지방기념물 제89호 |
강진향교 | 유형문화재 제115호 |
남강서원 | 유형문화재 제154호 |
금강사 | 지방기념물 제91호 |
옥련사 목조가래좌상 | 유형문화재 제188호 |
강진읍성 | 제233호 |
사의재 | 보물 제829호 |
고성사 | 고려초기 건립, 신도 900명 |
다산연구원 | 1937. 7. 건립 |
금곡사 삼층석탑 | 보물 829호 |
염걸장군 묘소 | 도 기념물 제36호 |
송정리 지석묘군 | 도 기념물 제66호 |
삼흥도요지 | 도 기념물 제81호 |
석가여래삼불좌상 | 보물 1843호(국가 지정) |
고려청자 요지 | 사적 68호(국가 지정) |
푸조나무 | 천연기념물 35호(국가 지정) |
정수사대웅전 | 유형문화재 101호(도 지정) |
구곡사소장익재이제현상과 백사이항복상 | 유형문화재 189호(도 지정) |
청자상감연국모란문과형주자 | 유형문화재 292호(도 지정) |
청자상감운학국화문개합 | 유형문화재 293호(도 지정) |
청자상감 '王' 명잔탁 | 유형문화재 294호(도 지정) |
청자장(이용희) | 무형문화재 36호(도 지정) |
강진 여택정 | 문화재자료 269호(도 지정) |
강진 효정재 | 민속문화재 47호(도 지정) |
까막섬 상록수림 | 천연기념물(제172호) |
마도진 만호성지 | 지방문화재(제179호) |
남원포 봉수대 | 향토문화유산(유형 제1호) |
강진 해남윤씨 추원당 | 보물 (국가 지정) |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 | 보물 35호(국가 지정) |
강진 정약용 유적 | 사적 107호(국가 지정) |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천연기념물 151호(도 지정) |
백련사 대웅전 | 유형문화재 136호(도 지정) |
둔덕사 | 향토문화유산 제15호 |
용문사 토불 | 향토문화유산 제26호 |
방산 윤정기 유적 | 향토문화유산 제27호 |
명발당 | 향토문화유산 제32호 |
해남윤씨 죽사동 호군공 추원당 | 향토문화유산 제52호 |
신전들노래 | 전라남도 무형문화제 제38호 |
무위사극락보전 | 국보 13호 |
무위사극락전아미타후불벽화 | 국보 313호 |
월남사지3층석탑 | 보물 298호 |
월남사진각국사비 | 보물 313호 |
무위사선각대사편광탑비 | 보물 507호 |
무위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보물 1312호 |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 보물 1314호 |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 보물 1315호 |
무위사3층석탑 | 문화재자료 76호 |
월남마래여래불두상 | 문화재자료 207호 |
수암서원 | 기념물 39호 |
월남사지 | 기념물 125호 |
강재일사 | 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
사문안석조상 | 도 문화재자료 제187호 |
박산서원 | 강진군향토문화유산 제4호 |
행정사 | 강진군향토문화유산 제8호 |
상곡사 | 강진군향토문화유산 제11호 |
충정사 | 강진군향토문화유산 제13호 |
양건당충효 정려각 | 강진군향토문화유산 제19호 |
말무덤 | 강진군향토문화유산 제20호 |
전라병영성지 | 국가문화재 사적 제 397호 |
병영 비자나무 | 천연기념물 제39호 |
병영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85호 |
병영 홍교 | 유형문화제 제129호 |
옴천사 | - |
10. 지역 인물[편집]
- 출처: 강진군청 홈페이지 강진의 인물
○ 김억추(金億秋) -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제주 목사 역임. 어란포 해전, 명량해전에 참전.
○ 김윤식(金允植 1903 ~ 1950) - 시인, 독립유공자. 대표작 「모란이 피기까지는」, 2008년 금관문화훈장 추서.
○ 김충식(1889 ~ 1953) - 부호, 지역 독지가.
○ 황대중(1551 ~ 1597) - 효자, 정유재란에 의병으로 참전.
11. 교류 도시[편집]
- 국제 교류: 일본 하사미정(波佐見町)
- 교류협력 추진배경
- 일본의 생활도자기 생산도시로 유명한 하사미정은 강진군과 문화와 산업 분야에서 공통점이 있으므로 상호 교류협력을 통해 양 도시의 발전 도모
- 주요 교류협력 내용
- 자매결연: 2010. 10. 20. 체결
- 강진의 청자와 하사미 생활자기의 교환전시 및 판매
- 강진청자축제와 하사미정 도자기축제 상호 참여하며 협력 도모
- 국내자매결연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자매결연일 : 1998. 11. 24.)
- 경기도 남양주시 (자매결연일 : 1999. 4. 21.)
- 서울특별시 관악구 (자매결연일 : 2004. 4. 8.)
- 광주광역시 동구 (자매결연일 : 2013. 6. 4.)
- 해군 강진함 (자매결연일 : 2013.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