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 내의 특정 인물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및 실명 언급
학교법인 영선학원
망운중학교
Mangun Middle School
개교
1952년
유형
일반계중학교
형태
사립
성별
남녀공학
교장
양승집
학교 상징
교목
향나무
교화
국화
교훈
 -
학교 인원
학생
44
교직원
19
1. 개요2. 학교 특징3. 학교 연혁4. 학교 전경5. 출신 인물6. 논란 및 사건 사고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7.2. 철도
7.2.1. 도시철도
8. 여담

1. 개요[편집]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연리에 위치한 중학교

2. 학교 특징[편집]

  • 2024년도 학교 평가 보고서
    ①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역량중심 교육과정 운영
    • 학생들의 미래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 학생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 골프, 코딩, 배드민턴, 1인 1악기, 원예프로그램 등
    • “작지만 강한 학교 행복 프로젝트”를 위한 자율사업선택제 프로그램 운영
    - 정규교육과정을 마무리하고, 전교생이 학교에서 석식 후 코딩, 배드민턴, 골프, 국어, 영어, 수학, 과학 교과를 개별화 지도
    •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 및 정착을 위해 두드림학교 및 3UP 학교 프로그램 운영
    - 5명의 학생 개별화 지도
    • 마을교육 공동체 프로그램 운영
    - 생태환경교육 고구마 및 옥수수 재배, 원예프로그램 (운남면사무소에 5일 동안 국화 분재 전시)
    • 학생자치활동 활성화
    - 스포츠클럽 체육대회 5회, 학교폭력예방캠페인 4회, 자살예방 6회 등
    ② 학생 주도성 키움 수업 활성화
    • 학교 내 전문적 학습공동체 “솔구름” 운영(전 교원)
    - 수업나눔 2회(1학기 1회, 2학기 1회)
    •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 연수
    - 전 교원 80시간 이상 자율연수 실시
    • 학교 맞춤형 자율연수(4시간)-무안교육지원청
    • 배움중심 실천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과연구회 수업 참관(3명)
    • MUM 꿈 희망 프로젝트 실시
    - 국립목포대학교 사범대학 학생들이 본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전개
    - 담당 교사는 수업 참관 후 대학생과 1:1 강평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뒤돌아볼 수 있는 피드백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 개선
    ③ 상상하고 도전하는 창의융합교육
    • 독서인문교육에 대한 관심도 제고를 위해 관리자 독서인문교육 연찬회 참석(교무부장 5회)
    • 중등 독서인문 공동교육 과정 운영
    - 작가와의 만남(12월16일), 비경쟁 토론
    - 국어과 - 미술과 공동교육과정 운영(그림책 만들기)
    - 독서의 날 운영(12월11일), 독서인문여행 및 인문학 길 탐방
    • 독후감 작성대회 실시(2회)
    • 대통령기 제44회 국민독서경진대회
    - 독후감 단체 중등부 최우수상 수상(장관상)
    - 지도교사상 수상(교육감 표창)
    • 무안R&E 창의융합 프로그램 및 발표 토론대회 참가(2학년 3명)
    • 학교 도서관 활성화를 통한 독서인문교육 기반 조성(매일 아침 도서관에서 30분 독서활동)
    • 자유학기제 수학체험 교육실시 (1학년 12명) (목포수학체험센터)
    ④ 공존과 상생의 세계시민 육성
    • 학생자치회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학교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 성폭력 예방 캠페인(2회)
    - 학교폭력예방 캠페인(4회)
    - 다모임을 통한 학생 규칙 개정(두발, 복장, 핸드폰 사용, 스포츠클럽대회, 체육대회)
    - 등굣길 Apple day(1회)
    • 학생이 주관한 스포츠클럽대회 및 체육대회(6회)
    • 교사와 학생 간의 정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교육력 극대화
    - 외부에서 실시한 또래 및 집단상담(20회 실시)
    - 바닷가, 커피숍, 제과점, 식당 등
    •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태환경 교육실시
    - 원예반 동아리 활동(국화 기르기), 전학생 1인 1화분 가꾸기, 각 교실 수직정원 구축
    - 텃밭이고구마 운영(도마토, 오이 상추등 재배)
    - 기후위기 대응과 생태환경교육 실시(2회)
    ⑤ 소통과 협력의 교육공동체 실현
    • 교무업무 경감을 위한 교무행정전담팀 구성 운영 (5명)
    - 교무부장, 정보부장, 학생부장, 교무행정사 (2명)
    - 교무행정사 1 : 교무업무 전반, 학부모회, 생기부, 보건실 보조, 각종 안내장
    - 교무행정사 2 : 학생 및 정보업무 전반, wee 클래스, 평가 보조 등
    • 불필요한 교직원 모임 최소화
    - 월요일 직원 모임 1회 실시(협의회실)
    • 작은 학교의 특성을 살린 업무분장
    - 학기말 교사 설문조사 및 협의회를 통해 민주적인 방법에 의한 업무분장
    - 작은 학교의 특성을 살린 정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원활한 소통 분위기 창출
    - 교사가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창출하기 위해 교장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 시스템 구축
    ⑥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 학교안전계획을 학년 초에 수립하여 학생 교육 및 예방활동으로 안전한 학교 환경 구축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 시설 및 환경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하여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학생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
    - 교실 내 계단에 안전사고 예방 포스터를 게시하여 학생들의 안전사고 예방
    - 체육시간 및 청소시간에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해 학교안전공제회에 신청하여 치료비를 받도록 학교에서 행정적 지원
    • 학생보호 인력인 배움터지킴이 활동을 통해 안전한 학교생활을 하도록 지원
    - 배움터지킴이(11:00~15:00)
    - 2018년 ~2024년까지 학교폭력 제로화
    • 에듀버스를 활용한 안전한 등·하교
    - 에듀버스 활용 학생 28명(62.2%)
    - 에듀버스 운행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아주 높음(89%)
    • 학교 급식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아주 높음
    - 학생(89%), 학부모(92%)

3. 학교 연혁[편집]

날짜
연혁
1952.05.03
운남 고등공민학교 개교
1965.09.14
학교법인 망운중학교 설립인가
1966.03.01
망운중학교로 교명 변경(중교법 4조)
이종필 교장 취임
1996.02.07
신명학원에서 학교법인 영선학원으로 변경인가
초대 박우필 이사장 취임
1999.06.01
다목적 교실 완공
1999.09.01
제7대 문병숙 교장 취임
2008.02.07
제4대 박관인 이사장 취임
2011.03.01
제8대 강문환 교장 취임
2012.06.07
제6대 박관인 이사장 취임
2018.03.01
제10대 이중구 교장 취임
2024.01.10
제56회 졸업 17명(총 6,059명)
2024.03.01
제11대 양승집 교장 취임

4. 학교 전경[편집]

5. 출신 인물[편집]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7.1. 버스[편집]

  • 운남면사무소 (37091) / 운남면사무소 (37092)
    • 무안군 농어촌버스
      • 220
      • 220-1
      • 220-2
      • 220-3
      • 220-4
      • 220-5
      • 220-6
      • 220-7
      • 220-8
      • 222
      • 222-1
      • 222-2
      • 222-3(신기 방향)
      • 222-3(팔학 방향)
      • 222-4
      • 222-5(신기 방향)
      • 222-5(팔학 방향)
      • 222-6(신기 방향)
      • 222-6(팔학 방향)
      • 225

7.2. 철도[편집]

7.2.1. 도시철도[편집]

8. 여담[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