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구성
2.1. 초기: 5대 부족 공작2.2. 금인칙서의 7대 선제후2.3. 17세기에 추가된 선제후2.4. 나폴레옹에 의해 추가된 선제후

1. 개요[편집]

선제후는 신성 로마 황제 선거에서 선거권을 갖고 있었던 제국의 최상위 제후를 가리키는 단어로, 선거후라고도 번역된다.

2. 구성[편집]

2.1. 초기: 5대 부족 공작[편집]

  • 작센 공작
  • 프랑켄 공작
  • 슈바벤 공작
  • 바이에른 공작
  • 로트링엔 공작(로타링기아 공작)

2.2. 금인칙서의 7대 선제후[편집]

  • 성직 선제후
    • 마인츠 대주교(마인츠 선제후)[1]
    • 쾰른 대주교(쾰른 선제후)[2]
    • 트리어 대주교(트리어 선제후)[3]
  • 세속 선제후
    • 작센 공작(작센 선제후)[4]
    • 라인 궁정백(팔츠 선제후)[5]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브란덴부르크 선제후)[6]
    • 보헤미아 국왕[7]

2.3. 17세기에 추가된 선제후[편집]

  • 바이에른 공작(바이에른 선제후)[8]
  • 하노버 공작(하노버 선제후)[9]

2.4. 나폴레옹에 의해 추가된 선제후[편집]

이하 선제후들은 황제 선거에 참여하기도 전에 제국이 먼저 해체되어 버렸다.
  • 레겐스부르크 대주교(레겐스부르크 선제후)
  • 잘츠부르크 공작(잘츠부르크 선제후)
  • 바덴 변경백(바덴 선제후)
  • 헤센-카셀 방백(헤센 선제후)
[1] 독일 왕국령의 대재상(제국 재상).[2] 이탈리아 왕국령의 대재상(제국 재상).[3] 부르군트 왕국령의 대재상(제국 재상).[4] 제국 대장군.[5] 제국 집사장 또는 제국 재무관.[6] 제국 시종장.[7] 제국 연회장.[8] 팔츠 선제후의 자리를 대체했다.[9] 제국 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