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 내의 특정 인물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및 실명 언급
학교법인 신안학원
전남예술고등학교
Chonnam Arts High School
개교
1989년
유형
특수목적고등학교
형태
사립
성별
남녀공학
교장
주성희
학교 상징
교목
동백나무
교화
국화
교훈
창조 (創造)
학교 인원
학생
414
교직원
49
1. 개요2. 학교 특징3. 학교 연혁4. 학교 전경5. 출신 인물6. 논란 및 사건 사고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7.2. 철도
7.2.1. 도시철도
8. 여담

1. 개요[편집]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유교리에 위치한 고등학교

2. 학교 특징[편집]

  • 미술과
    ① 한국화전공
    • 한국 미술의 전통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물의 관찰 및 표현 과정을 통해 현대 회화의 폭넓은 이해를 숙련시키고, 여백의 미를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의 조형능력을 키운다. 한국화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심화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개발한다.
    ② 서양화전공
    • 점, 선, 색, 질감 등의 시각 요소와 균형, 리듬, 명암, 대비, 비례, 공간, 조화 등의 조형 원리를 바탕으로 실험적 재료의 선택과 표현 기법, 창조적 표현 활동과 조형 능력을 키운다.
    ③ 조소전공
    • 조각과 소조의 원리를 이해하고 입체와 공간에 대한 조형 감각과 미적 인식 능력을 함양하며 인물 두상 소조를 중점으로 구조와 동세, 인상을 점토로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입체에 대한 창의적 사고와 표현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④ 디자인전공
    • 디자인의 조형적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형식과 기법을 활용하여 창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실생활에서 디자인의 필요와 기능에 반응하며 심미안과 창의성을 키운다.
    ⑤ 만화전공
    • 인체 드로잉과 스토리텔링, 만화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기초 능력을 바탕으로 출판 만화와 애니메이션 제작 등 창작 응용 능력을 기른다. 다양한 재료와 용구의 특성을 살려 독창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며 창의적인 콘텐츠를 개발하여 사회 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
  • 무용연기과
    ① 한국무용전공
    • 한국무용의 다양한 춤사위를 익히며 작품마다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여 표현한다. 궁중 무용과 민속무용 그리고 신 무용의 대표적 레퍼토리를 통해 한국 전통춤의 기본기를 익히며 우리의 전통적인 예술성의 경험과 미감을 이해한다. 전통에 기초한 응용 및 창작활동을 추구하여 세계 속에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통예술의 우수성을 알린다.
    ② 연기전공
    • 배우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의 몸과 음성, 시각 및 소리 등 신체 훈련과 감성 훈련, 즉흥 연기, 마임 교육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연기 적응력을 기른다. 연극 작품 속에 나타난 인물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역할 창조를 위한 다양한 직·간접 경험을 통해 창의력을 키운다.
    ③ 모델전공
    • 우수한 신체적 조건을 바탕으로 모델 실기, 모델 이론, 패션쇼의 이해, 무용 기초실기 등의 기초 이론과 창조적 모델 실기 교육의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21세기 패션 예술 산업 전반에서 요구하는 개성 있는 모델을 육성한다.
  • 음악과
    ① 국악
    • 예향 남도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판소리, 민요, 가야금 병창, 가야금, 아쟁, 거문고, 피리, 대금, 타악 등의 전공에서 개인 레슨을 통해 독주 실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공연 활동을 통한 무대 경험으로 연주 및 창작 능력을 배양한다.
    ② 성악
    • 개인별, 수준별 1:1 수업으로 기초실기(발성,호흡,자세,발음), 이태리·독일 가곡, 아리아, 콘코네, 코뤼붕겐 등을 교육하여 음악적 자질과 역량을 기르며, 합창단 활동을 통해 함께하는 기쁨과 더불어 살아가는 가치를 배움으로 인성과 창의력을 갖추게 한다.
    ③ 피아노
    • 학년별, 학기별로 각 작곡가의 수준별 과제 곡이 제시되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1:1 맞춤형 개인 레슨을 통해 기초부터 고난도의 테크닉과 음악적 소양을 연마하여 이론과 실기 능력을 겸비하도록 한다.
    ④ 관현악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플루트,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렘펫, 트롬본, 튜바, 색소폰, 타악 등 각 전공의 1:1 기초교육과 실내악, 합주, 오케스트라를 통한 앙상블 교육으로 독주자의 자질 함양은 물론 다양하고 창의적인 공연 활동의 기회를 제공한다.
    ⑤ 작곡
    • 작곡의 기초가 되는 피아노 실기와 기초 음악이론, 화성학을 배우고,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등의 작품 속에서 다양한 기법과 어법을 익혀 보다 창의적인 작곡 능력을 배양한다.
    ⑥ 실용음악
    • 한류 K-POP열풍과 대중 문화의 예술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 맞추어 보컬, 기악, 작곡 등의 분야에서 전공 실기, 이론, 작곡, 음향, 미디어 프로그램, 리코딩, 댄스 등 다양한 음악적 소양을 기른다.

3. 학교 연혁[편집]

날짜
연혁
1988.11.30
학교법인 신안학원 설립인가
1989.01.30
목포예술학교 설립인가(설립자 평산 주장원, 하림 김상례)
1989.03.10
초대교장 주장원
1990.10.13
목포예술고등학교로 설립인가
1992.06.17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1994.12.26
평산관(기숙사) 준공
1996.09.06
음악과 1학급 증설
1998.03.01
전남예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3.02.11
종합예술관 준공
2005.05.01
제2대 교장 김가학
2006.03.01
제3대 교장 박병희
2006.08.04
무용과를 무용연기과로 학과명 변경 승인
2009.04.01
제4대 교장 강성호
2009.12.28
전라남도교육청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2010.06.07
미술관 준공
2010.09.01
제5대 교장 주성광
2014.09.01
제6대 교장 강성호
2016.08.29
하림관(다목적체육관) 준공
2016.09.01
제7대 교장 위홍주
2018.03.01
특수학급(1학급) 신설
2020.06.25
전라남도 예술계열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평가 결과 [우수학교] 선정
2020.09.08
2021학년도 자율학교 지정
2021.01.13
제30회 졸업(148명), 총 졸업생 4,453명 예술인재 양성
2021.03.01
제8대 교장 임지곤
2022.01.11
제31회 졸업(150명), 총 졸업생 4,603명
2023.01.06
제32회 졸업(152명), 총 졸업생 4,755명
2023.01.31
음악관 준공
2023.09.01
제9대 교장 주성희
2024.01.11
제33회 졸업(134명), 총 졸업생 4,889명

4. 학교 전경[편집]

5. 출신 인물[편집]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7.1. 버스[편집]

  • 전남예술고등학교 (43069) / 전남예술고등학교 (43071)
    • 목포시 지선버스 20-1

7.2. 철도[편집]

7.2.1. 도시철도[편집]

8. 여담[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