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
1. 개요[편집]
초융기 또는 슈퍼스웰(superswell)은 지각의 평균적 형태와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고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지형과 얕은 수심의 해양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지형은 표층에서의 지각 운동이나 해령 확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그 형성의 근본에는 지구 내부 깊은 곳, 특히 핵과 맨틀의 경계부에서 상승하는 대규모 맨틀 물질의 흐름이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 상승류는 '초플룸'이라 불리며, 열과 물질의 강력한 이동을 동반한다.
초플룸이 상부로 솟아오를 경우, 하부 맨틀에서 상부 맨틀에 이르기까지의 압력 차와 온도 차에 의해 주변 지각이 열팽창하며 들려 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로 해저 또는 대륙의 넓은 영역이 일반적인 해양지각보다 얕은 수심과 높은 고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해당 영역은 초융기로 정의되며, 지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지열 이상, 해산군의 집중, 비정상적인 지각 구조 등도 함께 나타난다.
현재 지구상에서 활발히 유지되고 있는 초융기는 두 곳으로 확인된다. 첫째는 아프리카 대륙 동부에서 남부에 걸쳐 있는 아프리카 초융기로, 이 지역은 주변에 비해 평균 지형 고도가 높고, 다수의 열점과 화산 활동 지대가 분포하고 있다. 둘째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남태평양 초융기로, 이곳은 해저가 비정상적으로 얕고, 넓은 면적에 걸쳐 해산과 화산섬이 밀집되어 있다.
초플룸이 상부로 솟아오를 경우, 하부 맨틀에서 상부 맨틀에 이르기까지의 압력 차와 온도 차에 의해 주변 지각이 열팽창하며 들려 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로 해저 또는 대륙의 넓은 영역이 일반적인 해양지각보다 얕은 수심과 높은 고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해당 영역은 초융기로 정의되며, 지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지열 이상, 해산군의 집중, 비정상적인 지각 구조 등도 함께 나타난다.
현재 지구상에서 활발히 유지되고 있는 초융기는 두 곳으로 확인된다. 첫째는 아프리카 대륙 동부에서 남부에 걸쳐 있는 아프리카 초융기로, 이 지역은 주변에 비해 평균 지형 고도가 높고, 다수의 열점과 화산 활동 지대가 분포하고 있다. 둘째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남태평양 초융기로, 이곳은 해저가 비정상적으로 얕고, 넓은 면적에 걸쳐 해산과 화산섬이 밀집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