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쿠키런/보물
,
,
,
,
1. 구매 및 획득
1.1. 쿠키&펫1.2. 메달 교환소1.3. 이벤트
2. 강화3. 진화
3.1. 재료3.2. 대성공3.3. 마법가루3.4. 신비한 조각
4. 보물 슬롯 확장

1. 구매 및 획득[편집]

보물을 얻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쿠키나 펫을 풀업하여 얻거나, 보물뽑기로 뽑거나, 이벤트로 지급받는 방식이다.

1.1. 쿠키&펫[편집]

쿠키 및 펫으로부터 얻는 보물의 가치는 구매 비용 + 풀업 비용 + α(펫 뽑기 또는 쿠키 해금에 들어가는 비용)라고 볼 수 있다. 이 보물들은 팔거나 진화해도 재구매[1]가 가능하다. 이런 보물들은 진화형이라 몇번이고 재구매한 뒤 진화시켜서 여러 개를 가질 수 있으나, 진화 전의 보물은 딱 하나씩만 보유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 재구매 가격은 다음과 같다.
  • C급 보물 : 크리스탈 5개
  • B급 보물 : 크리스탈 15개
  • A급 보물 : 크리스탈 25개
  • S급 보물 : 크리스탈 35개[2]

1.2. 메달 교환소[편집]

현재는 메달 교환소에서 보물이 나오지 않지만,[3] 3주년 개편 이전에는 메달 교환소에서 보물을 팔기도 했었다. <대지의 번영 팔찌>, <불의 수호 반지>, <바람의 질주 귀걸이>, <물의 회복 펜던트> 4종만 판매하였으며,[4] 3주년 개편으로 메달교환소 판매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1.3. 이벤트[편집]

가끔 이벤트 보상으로 지급되는 보물도 있다.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만큼 접근성도 낮은 편. 보통 하나씩밖에 얻을 수 없지만, 판매용 보물같이 가끔 같은걸 무더기로 주는 경우도 있다.

2. 강화[편집]

2013년 6월 29일 보물뽑기와 함께 업데이트된 시스템. 라인판에는 2013년 11월 16일에 업데이트되었다. 보물의 강화 단수가 올라갈수록 일부 고정 능력치를 제외하곤 해당 보물의 모든 능력치가 더 좋아진다. 모든 보물은 코인 또는 크리스탈로 최대 9단계까지 강화할 수 있다. 코인으로 강화하면 일정 확률로 성공하고, 크리스탈로 강화하면 100% 성공한다. 등급 여부에 관계없이 3강까지는 코인으로도 100% 성공할 수 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강화 레벨이 올라갈수록 성공 확률이 감소한다. 강화에 실패하면 파괴되거나 강화 단수가 떨어지는 일은 없으니 안심하자. 단지 코인만 날린 후 약간의 선물 포인트를 받고 확률적으로 다음 시도의 강화 성공률이 상승한다.[5][6] 사실상 8→9강에서가 강화 중 가장 난제라고 볼 수 있다. 1→8강은 폭풍으로 된다해도 8→9강에서 막히는 경우가 부지기수.

코인으로 보물을 강화할 경우, 보물 등급이 낮을수록 가격이 싸고 성공률이 높으며 보물 등급이 높을수록 가격이 비싸고 성공률이 낮다. 참고로 강화 비용은 등급별로 정해져 있으나, 몇몇 보물은 예외적으로 같은 등급의 일반적인 보물보다 낮은 강화 비용을 요구하기도 한다.
강화
C급
B급
A급
S급
코인
크리스탈
코인
크리스탈
코인
크리스탈
코인
크리스탈
0→1
2,800
2
6,600
4
9,600
8
17,000
15
1→2
4,200
3
8,400
6
12,300
11
21,000
19
2→3[7]
5,600
4
11,200
8
15,200
14
25,000
23
3→4
7,000
5
12,500
10
17,000
17
27,000
27
4→5
8,400
6
14,600
12
20,000
20
29,000
31
5→6
9,800
7
16,700
14
23,000
23
31,000
35
6→7
11,200
8
17,200
16
25,200
26
33,000
39
7→8
12,500
9
18,600
18
26,000
29
35,000
43
8→9
14,000
10
20,000
20
27,500
32
38,000
47
  • 3강까지는 등급 여부에 관계없이 코인으로 100% 성공이나, 4강부터는 성공할 확률이 낮아지므로 전체 드는 비용은 천차만별이다. 보통 S급 보물을 풀강까지 노리는 경우 평균 100만 코인, 운이 더럽게 나쁘면 최대 500만 코인(!)까지 들 것을 각오하는 것이 좋다. A급 보물의 경우도 재수없으면 100만 코인이 넘게 든다.
  • 황금방울의 엄청난 골드바, 크리스탈을 부르는 수요일의 종 같이 특정 보물은 S급 보물이나 A급 강화와 동일비용이 들며, 화이트데이 기념 코인사탕과 키스를 부르는 손수건 같은 판매용 보물은 C급보다도 저렴하다. 해당 항목으로.
  • 선물포인트는 강화 실패시 보상으로 받는다. 강화 단수에 따라 선물포인트가 달라지는데 4강 실패시 40포인트를, 9강 실패시 90포인트를 받는다.
  • 쿠키런 내에서 크리스탈과 코인의 가치는 비교 불능이므로, 보물 진화라면 몰라도 보물 강화는 무조건 코인으로 하는 것이 좋다. 특히 S급 보물을 8→9강을 크리스탈로 한다면 9강 보물 하나를 얻는 대신 최고급 보물상자 2개를 깔 수 있는 비용이 허공으로 증발하는 셈이다. 크리스탈은 항상 아껴뒀다가 진화(대성공 목표)에 투자하자.

3. 진화[편집]

2014년 7월 31일 새로운 세계 업데이트와 함께 업데이트된 시스템. 라인판에는 2014년 12월 17일에 업데이트되었다. 진화 가능한 보물에[8] 재료를 모으면 보물 진화가 가능하며, 보물의 능력치가 상승하거나 변경된다. 단순히 능력치가 상승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진화시 효과가 엄청나게 뻥튀기되는 보물들도 있어 기존에 쓰레기 취급받던 보물들도 진화를 통해 재조명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그 반면 진화를 하면 오히려 원래 능력이 하향되거나 쓸모없는 능력치가 붙는 보물도 몇몇 있으므로 꼭 진화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끔 진화를 하면 등급이 오르는 보물도 있는데, 강화비용도 덩달아 오르므로 이런 보물은 미리 풀강을 시켜놓은 뒤에 진화하도록 하자. 다만 등급이 오르지 않는 보물의 경우(예를 들면 진화 전 보물이 S급이고 진화 후에도 S급인 보물의 경우)는 진화를 해도 강화비용이 오르지 않고 진화 전과 똑같다. 진화를 해도 강화단수는 유지된다. 또한 C급이 S급과 동등하거나 더 좋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 등 등급설정이 엉망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종종 있으므로 등급만 보고 강화하진 말자.

진화 비용은 다음과 같다. 보물의 진화 비용이 정해지는 기준은 해당 보물의 진화 전의 등급.
보물
C급
B급
A급
S급
코인
12,000
26,000
47,000
68,000
크리스탈
10
29
49
99
마법가루(실패시)
2
8
12
20
  • 코인으로 진화시 일정 확률로 진화에 성공하며, 대성공은 하지 않는다.
  • 보물의 등급이 낮을수록 소모되는 코인 혹은 크리스탈의 비용은 낮다.
  • 코인으로 진화 실패시 소량의 마법가루가 주어지며, 보물이나 재료는 그대로 남아있다. 단지 코인이 증발한 후 확률적으로 다음 시도의 진화 성공률이 상승한다. 물론 대성공 확률상승은 없다.
  • 크리스탈로 진화시 100% 진화에 성공하며, 30% 확률로 대성공한다.
  • 크리스탈로 진화시 대성공에 실패했다면, 다음 보물의 대성공 확률은 10%p씩 상승하여 최대 80%까지 상승한다. 대성공 시 다시 30%로 초기화된다.

3.1. 재료[편집]

3.2. 대성공[편집]

크리스탈을 사용해 고급 진화를 하면 일정한 확률로 대성공이 되어 기존 보물보다 더 좋은 기능을 가질 수도 있게 되었다![9] 대성공 보물의 능력치가 그 보물의 일반 진화 능력치보다 월등히 좋지 않은 이상 대성공에 대해서는 마음을 비우는 편이 좋다. 무엇보다 대성공을 실패하고 재도전을 하려면 보물, 재료(혹은 마법가루), 크리스탈을 처음부터 다시 모아야하기 때문이다.[10] S급 보물 기준으로 대성공 확률은 30%이며, 한 번 실패할 때마다 10%씩 확률이 올라 최대 80%까지 확률이 증가한다. 대성공에 성공하면 다시 30%로 초기화된다. S급 보물은 크리스탈 진화 비용이 99개이므로 특정 보물의 대성공을 노리려면 평균적으로 크리스탈 240개 정도가 소모된다. 최대 240개가 아니라 평균 240개다! 운이 좋으면 한방에 성공하는 경우도 많지만 2~3번을 넘어 10번이나 대성공에 다시 도전해도 안되는 사례도 있다. 여기에 한 번 실패할 때마다 해당 보물과 필요한 재료를 다시 구하기 위해 소모되는 시간이나 비용까지 고려하면 정말 어마어마해진다. 근성도 근성이지만 대성공에 실패해 일반 진화가 되어도 몇번이고 버틸 수 있는 튼튼한 멘탈도 필요하다. 애초에 대성공의 목적이 넘사벽급의 효과를 노리는 만큼 넘사벽급의 각오 또한 필요하다.

3주년 패치로 진화된 S급 진화보물을 추출하여 신비한 조각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모아서 일반진화된 보물을 축복시켜(대성공)줄 수 있으며 조각 1000개와 크리스탈 100개가 들어간다. 진화시킬 때 필요한 재료의 등급이 낮은 경우 얻는 재료가 그리 크지 않는 편이다. 그래도 대성공 기회가 보물당 1회뿐이었던 예전과 달리 축복은 100% 확률로 대성공으로 부여하므로 조금은 나아졌다. 다만 신비한 조각 1000개를 얻는 게 문제다.
  • 신비한 조각을 빠르게 모으려면 B,A급 보물 일부[11], S급 보물을 일반 진화시키고 추출하면 된다. 하지만 거기에 소요되는 재료나 코인 수가 엄청나다.[12] 하지만 대성공 100%를 노리려면 이 방법밖에 없다...

3.3. 마법가루[편집]

마법가루는 매우 얻기 힘든 상위등급의 재료를 생성할때 사용한다. 이때 생성비용은 재료의 등급에 따라 고정되어 있다. 생성비용은 어마어마하나 재료나 보물에서 마법가루를 추출되는 양은 비교도 안되게 적다. SS급 재료를 생성하려면 진화하지 않은 9강 S급 보물을 20개는 추출해야 생성이 가능할 정도. 그냥 열심히 노가다를 하자. 조금 수월하게 모으려면 C급 보물 하나를 뽑아 남아도는 C급과 B급 재료와 조합해 진화시킨 다음 마법가루를 추출하자. 유물 보상이나 얼음파도의 탑 미션 보상, 보유효과 보물 등으로도 얻을 수 있다.
  • 재료의 생성비용/추출량/판매가격
재료
C급
B급
A급
S급
SS급
마법가루
생성비용
30
150
800
4,000
8,000
추출량
3
15
120
800
판매가격
500코인
1,000코인
2,000코인
4,000코인
8,000코인

보물의 마법가루 추출량은 복잡하다. 등급, 강화 단수, 진화 여부, 진화 보물일 경우 진화 전 등급이나 대성공 여부에 따라 끝도 없이 갈라지기 때문에 정리가 더욱더 불가능하다. 심지어 같은 조건인데도 마법가루 추출량이 다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풀강 일반진화 깃털은 마법가루 추출량이 3,064개인 반면 똑같이 풀강 일반진화 젤리코는 마법가루 추출량이 2,164개, 색동별젤리 조각 모음은 1,564개로 천차만별. 진화시 요구되는 재료들의 등급이 높을수록 추출량도 많다는 것만 알아두자. 아무튼 추출을 목적으로 C~A급 보물을 진화하는 경우는 많다. 일단 대성공 보물은 해당 보물을 일반진화 했을때의 추출량의 3배이다.

다만 쓸모없는 보물은 팔거나 마법가루로 추출할 수 있다. 한번 팔거나 추출하면 복구가 불가능하다. 보통 코인은 노가다로도 얻을 수 있는 반면 마법가루는 얻는 경로가 한정적이므로 보물이든 재료든 팔지 말고 추출하는게 낫다. 단, 보물 중 이벤트로 습득하는 화이트데이 기념 코인 사탕, 키스를 부르는 손수건, 카카오게임 2주년 기념 주화는 진화하지 않은 C급과 추출량이 같다. 애초에 이 보물들은 팔아서 코인 모으라는 목적으로 준 것이기도 하고, 추출량이 얼마 되지도 않으므로 추출은 하지 말고 그냥 파는 게 이득이다.

3.4. 신비한 조각[편집]

3주년 업데이트로 추가된 화폐. 일반 진화된 보물에 신비한 조각 1000개와 크리스탈 100개를 사용하여 축복할 수 있으며, 대성공 진화된 보물과 같아진다.

신비한 조각은 S급 진화 보물을 추출할 경우 획득할 수 있다. 진화 전 등급에 상관없이 진화된 보물의 등급이 S급일 경우 신비한 조각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량은 보물에 따라 각각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진화 전이 B급인 '유명한 허니칩 쿠키'는 5개, 진화 전이 A급인 보물들은 20개 또는 25개, 진화 전이 S급인 보물들은 40개 이상을 준다.[14] 진화에 SS급 재료를 요구하는 보물들은 40개보다 더 많이 주기도 한다. 강화 수치에 따라서도 신비한 조각의 추출량이 오르지만 효율이 좋진 않다.

그러나 이게 얼마나 미친 노가다냐면,보물 하나 축복시키려고 진화보물을 최소 10개에 최대 200개를 추출해야 한다!!
메달교환소에서도 간혹 판매하지만 효율이 위 방법보다 더 떨어진다.[15]

TMI로 진화된 S급 보물은 두 종류로 나뉘는데, 0강 상태에서 추출 시 획득하는 신비한 조각의 개수가 48개이하, 54개 이상인 보물로 나뉜다.
먼저 48개 이하인 보물들은 +2강화 할때마다 추출 시 획득하는 신비한 조각이 1개씩 증가한다. [16]
그리고 54개 이상인 보물들은 +1강화 마다 추출시 획득하는 신비한 조각이 1개씩 증가한다. [17]

4. 보물 슬롯 확장[편집]

보물은 기본적으로 20개까지 보관할 수 있으며, 보물칸이 부족해지면 크리스탈 30개[18]를 사용해서 보물함 15칸을 추가로 확장하거나,[19] 메달 교환이나 초대이벤트 보상으로 3~15칸 확장권을 받을 수 있고, 보물을 팔거나 추출할 수도 있다. 확장을 하지 못하면 보물함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통 초보 시절을 함께한 낮은 등급의 장착형 보물이 상위호환격 보물을 얻은 후 숙청(?)의 제 1순위가 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크리스탈/마법가루를 지급하는 보유효과 보물은 가급적이면 후순위로 미뤄 두자. 특히 크리스탈 획득 보물은 보상 기간이 끝난 것을 빼고 절대 팔거나 추출해서는 안 된다. 만약 보물함 용량이 초과될 경우 장착한 보물의 효과가 발동되지 않기 때문에, 보물함 용량이 위태위태해질 조짐이 보인다 싶으면 즉시 대비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1] 2014년 1월 10일에 업데이트된 시스템. 이전에는 천사맛 쿠키의 성스러운 깃털을 팔아버려 접는 유저가 생기기도 했다.[2] 단, 예외적으로 S급인 황금방울의 엄청난 골드바는 재구매 비용이 크리스탈 25개다.[3] 단, 사용효과 보물인 경험의영약 제외[4] 판매가는 3200메달. 현재 기준으로 약 6400메달에 해당하는 상당히 비싼 가격이었다.[5] 파일:attachment/_180.png[6] 다음 문의는 강화 실패 시 다음 시도의 강화 성공률이 항상 상승하게 해달라고 건의한 내용이다.[7] 여기까지는 코인으로 100% 성공이다.[8] 현재로선 일부 신규 쿠키 및 펫이 주는 보물, 이벤트 보상 보물, 한정판 보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장착효과 보물이 진화가 가능하며, 보유효과 보물은 진화가 불가능하다.[9] 현질도 문제이지만 대성공과 일반 진화의 효과가 넘사벽급인 것도 많아 기껏 크리스탈 썼더니 일반 진화를 하게 되면 상실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오죽하면 유저들이 크리스탈 대성공>코인 성공>코인 실패>크리스탈 일반 진화라 할 정도. 크리스탈로 일반 진화를 하면 해당 보물과 재료를 다시 모아야 하지만, 코인 실패는 보물이랑 재료는 그대로 남기에 그나마 낫다.[10] 같은 보물이 쌓여있는 경우가 아닌 경우 혹은, 재료가 SS급이 두개 이상 필요하면 암걸릴 수준이다. 크리스탈 99개가 더 필요하다는건 덤.[11] 진화시 S급이 되는 보물들[12] 대략적으로 400만 코인, 크리스탈 1000개, 마법가루 25만개.[13] 예외적으로 마법 원석 조각은 150개.추출용이다.[14] SS급 재료를 요구하는 보물은 추출량이 많다. 예를 들면 초코바 일성 노강은 신비한 조각 54개를 준다.[15] 전 에피소드 신 리그 유지시 1080개 정도를 받는데, 이걸로 1000개를 모으려면 이 짓을 무려 반년동안 해야 한다.[16] 이 경우 취향 혹은 계정 상황에 따라 2강or4강을 추천.[17] 이 경우 무조건 3강을 추천하지만 코인이 넘쳐날 경우 더 해도 무관[18] 격변의 전조까지는 100개였으나, 새로운 세계 이후 바뀌었다.[19] 다만 이것도 2,000칸까지만 가능. 그 이상은 확장권으로만 확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