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imitated seed
병아리
파일:병아리엔진대문구조.png
종류
위키 엔진
개발자
gdl-blue
언어
문법
상태
개발 중[1]
웹사이트

1. 개요2. 이 엔진을 사용하는 위키 목록3. 특징4. 목적5. 권한 부여6. 장단점
6.1. 장점6.2. 단점
7. the seed와 호환이 안 되는 부분8. 여담

1. 개요[편집]

gdl-blue가 개발하는 the seed 모방 엔진이다. Node.js로 개발 및 실행되며, 일부 나무마크 미지원 요소만 빼면 the seed와 비슷하며, 클라이언트 측 HTML 코드는 the seed의 것을 똑같이 베꼈으며 CSS와 자바스크립트도 the seed의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한글 명칭은 '병아리'이다.

2. 이 엔진을 사용하는 위키 목록[편집]

3. 특징[편집]

the seed 버전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최신 버전을 제외한 거의 모든 버전이 지원된다.

메일링 가입 비활성화, 계정 탈퇴 허용, 닉네임 변경 허용 등 the seed에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기능을 config.json 설정으로 켜거나 끌 수 있다. 참고로 버전도 올릴수 있다.

오픈나무와 다르게 엔진에 스킨이 포함되지 않아서 따로 설치해야 작동한다. NamuFix와 거의 완전히 호환된다.

4. 목적[편집]

원래는 개발자가 신 프론트엔드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 대신 더시드 구 버전[5]을 모방해서 만들고, 자신의 위키에 사용하려고 만든 엔진이다. 현재는 많은 요구로 인해 Nuxt.js 프론트엔드 개발도 진행 중이라고 한다. 아직은 구형 프론트엔드를 사용 중이라서 신 버전의 the seed에 추가된 기능을 구현하기 어렵다.

5. 권한 부여[편집]

더시드엔진에 도구를 누르면 그중 [관리] 권한 부여라고 써 있다.[6]
파일:병아리권한부여.png[7]

6. 장단점[편집]

6.1. 장점[편집]

  • the seed와 인터페이스가 정말 비슷하다.[8]
  • 4.18.0 이후 버전의 경우 ACLGroup이 존재하여 운영에 있어 유용하다.
  • 토론을 스레드 형식으로 기본 지원한다.
  • NamuFix를 지원한다. 이는 the seed 4.13.0 이상 버전의 Nuxt 프론트엔드가 아직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6.2. 단점[편집]

  • 나무마크가 완벽하지 않은 등 제약이 많이 있다.
  • 일부 the seed 버전이 지원되지 않는다.
  • 설치/사용 시 오류가 많고, 무엇보다 openNAMU보다 설치가 까다롭다.
  • 위에서 서술한 고립된 문서, 문서를 서로 맞바꾸기, Blame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
  • 프로젝트가 공개되는 서버로 운영하는 상태에서 자동 로그인을 켜고 로그인하면 계정이 탈취될 수 있었다. # 현재는 수정되었다.
  • 오랜 시간 동안 가동되지 않으면 DB가 손상되는 듯 하다.

7. the seed와 호환이 안 되는 부분[편집]

  • 대부분의 표 문법
  • 지금 쓰고 있는 정리 문법(부분적)
  • ACLGroup에서 아이피에서 이용자로 넘길 때 초기화 x
  • [각주] 문법

8. 여담[편집]

  • 어느 github 사용자가 구형 the seed 스킨을 개조하여 만든 스킨이 있다. #
  • 엔진 한글 이름이 병아리인 이유는 개발자가 엔진 개발을 위해 폴더를 알집으로 만들었는데 만들어진 폴더 이름이 병아리여서라고 한다.
[1] 개발 포기는 아니지만 개인 사정 등으로 인해서 imitated seed를 집중적으로 개발하는건 힘들다고 한다. #[2] 소유자가 만든 위키이다. 버전은 4.11.2.[3] 이후 자체 개발 버전인 가칭 haneul-seed로 이름 변경[4] Nuxt로 포팅됐으며, 엔진 버전은 당시 최신 버전이었던 4.20.0이었다. 2023년 12월 31일 서비스 종료.[5] 4.12.0 이하 버전.[6] liberty 기준. grant 권한을 소유해야 나온다.[7] 4.18.0 이상의 버전들은 ipacl, 사용자 차단이 없고 ACL Group이 존재한다.[8] 상술했듯이 HTML 코드는 the seed의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