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체제3. 역사
3.1. 로마 공화국의 공화주의3.2. 르네상스 시대의 공화주의3.3. 근대 시민혁명 시대의 공화주의
4. 현재 세계 각국의 공화주의
4.1. 공화국의 공화주의4.2. 군주국의 공화주의

1. 개요[편집]

Republicanism.

공공(Public)의 소유로서의 국가 체제인 공화제(Republic)을 추구하는 정치 사상.

단순히 군주제에 반대하는 사상이라는 의미로 쓰일 때가 많고, 현존 군주국에서는 대부분 그러한 의미로 쓰이지만, 실제로는 거기에 더해 국가 공동체에 대한 헌신과 개인 자유의 조화를 추구하고 등 단순한 군주제 반대보다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띄는 사상이다.

역사적으로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1],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등의 정치가 및 사상가들이 공화주의 이념의 원류로 평가받으며, 니콜로 마키아벨리[2] 등의 르네상스 시대 사상가들을 거쳐 18~19세기 시민혁명의 시대에 근대적 정치 이데올로기로서의 공화주의가 확립되었다.

2. 체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화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사[편집]

3.1. 로마 공화국의 공화주의[편집]

3.2. 르네상스 시대의 공화주의[편집]

3.3. 근대 시민혁명 시대의 공화주의[편집]

4. 현재 세계 각국의 공화주의[편집]

4.1. 공화국의 공화주의[편집]

4.2. 군주국의 공화주의[편집]

[1] 제3차 포에니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카르타고를 멸망시킨 인물이기도 하다.[2] 군주론의 저자이자 마키아벨리즘의 어원이 된 그 사람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