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유형
2.1. 군주2.2. 공화국 국가원수
2.2.1. 기타
3. 현재 세계 각국의 국가원수

1. 개요[편집]

Head of State.

국가를 대표하는 국가의전 서열상 1위에 해당하는 칭호 또는 직위.

행정부 조직상 서열 1위인 정부수반과는 구분되며,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이 일치하는 체제[1]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체제[2]도 있다.

2. 유형[편집]

2.1. 군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공화국 국가원수[편집]

2.2.1. 기타[편집]

공산권의 최고권력자들이 역임한 서기장, 총서기, 총비서 등도 국가원수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법적으로는 국가가 아닌 공산당 내부의 당직으므로 국가원수가 아니었다.

3. 현재 세계 각국의 국가원수[편집]

[1] 전제군주제, 대통령제 등[2] 입헌군주제, 내각제 공화국 등[3] 사회주의 국가에서 대통령에 대응되는 직위[4] 중화권에서 비사회주의 국가의 대통령에 대응되는 직위. 히틀러의 퓌러, 무솔리니의 두체(Duce), 프랑코의 카우디요(Caudillo) 등의 칭호도 총통이라 번역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칭호들은 대통령과 의미와 기원이 다르다.[5] 고대 로마 공화국과 그 영향을 받은 공화국의 지도자. 고대 로마 공화국에선 1년에 2명을 선발했으며, 다른 설명 없이 그냥 집정관이라 하면 로마 집정관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6] 고대 아테네의 집정관 직위.[7] 산마리노 공화국의 국가원수. 로마 공화국처럼 2명을 선발한다.[8] 주로 지방관 직함으로 쓰이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타국 지배를 받던 시기의 총독 직함을 그대로 국가원수 직함으로 쓰기도 했다.[9]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10] 네덜란드 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