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분류 체계 3. 1~2급 행정구역
3.1. 분권행정부3.2. 주3.3. 자치주
4. 3급 행정구역: 지역단위5. 4급 이하 행정구역

1. 개요[편집]

그리스의 행정구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분류 체계 [편집]

  • 1급 행정구역: 분권행정부
  • 2급 행정구역
    • 자치주
  • 3급 행정구역: 지역단위
  • 4급 행정구역: 디모스
  • 5급 행정구역: 시
  • 6급 행정구역: 공동체

3. 1~2급 행정구역 [편집]

본래 최상위 행정구역은 주와 자치주였으나, 2011년에 주의 상위 행정구역으로 분권행정부가 설치되었다.

다만 주와 자치주가 자체적으로 단체장과 의회를 선출하는 등 자치권을 보유한 것과 달리, 분권행정부는 최상위 행정구역임에도 불구하고 자치권이 없고 중앙정부의 내무장관이 임명한 사무총장이 지휘하며 권한 역시 제한적이다.

3.1. 분권행정부[편집]

  • 마케도니아-트라키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테살로니키
    • 산하 행정구역
      • 중앙마케도니아
      • 동마케도니아-트라키
  • 이피로스-서마케도니아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요안니나
    • 산하 행정구역
      • 이피로스 주
      • 서마케도니아 주
  • 테살리아-중앙그리스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라리사
    • 산하 행정구역
      • 테살리아 주
      • 중앙그리스 주
  • 아티키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아테네
    • 산하 행정구역: 아티키 주[A]
  • 펠로폰네소스-서그리스-이오니아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파트라
    • 산하 행정구역
      • 펠로폰네소스 주
      • 서그리스 주
      • 이오니아 제도 주
  • 에게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피레우스[2]
    • 산하 행정구역
      • 북에게 주
      • 남에게 주
  • 크레타 분권행정부
    • 청사 소재지: 이라클리오
    • 산하 행정구역: 크레타 주[A]

3.2. [편집]

  • 동마케도니아-트라키
    • 소속:마케도니아-트라키 분권행정부
    • 주도: 코모티니
  • 중앙마케도니아
    • 소속: 마케도니아-트라키 분권행정부
    • 주도: 테살로니키
  • 서마케도니아
    • 소속: 이피로스-서마케도니아 분권행정부
    • 주도: 코자니
  • 이피로스 주
    • 소속: 이피로스-서마케도니아 분권행정부
    • 주도: 요안니나
  • 테살리아 주
    • 소속: 테살리아-중앙그리스 분권행정부
    • 주도: 라리사
  • 중앙그리스 주
    • 소속: 중앙그리스
    • 주도: 라미아
  • 아티키 주
    • 소속: 아티키 분권행정부[A]
    • 주도: 아테네
  • 서그리스 주
    • 소속: 펠로폰네소스-서그리스-이오니아 분권행정부
    • 주도: 파트라
  • 펠로폰네소스 주
    • 소속: 펠로폰네소스-서그리스-이오니아 분권행정부
    • 주도: 트리폴리[5]
  • 이오니아 제도 주
    • 소속: 펠로폰네소스-서그리스-이오니아 분권행정부
    • 주도: 케르키라[6]
  • 북에게 주
    • 소속: 에게 분권행정부
    • 주도: 미틸리니[7]
  • 남에게 주
    • 소속: 에게 분권행정부
    • 주도: 에르무폴리
  • 크레타 주
    • 소속: 크레타 분권행정부[A]
    • 주도: 이라클리오

3.3. 자치주[편집]

성산 수도원 자치주.

아토스 산에 설치된 행정구역으로 다른 주들과 달리 분권행정부 소속이 아니며, 일반인이 아닌 정교회 남성[9] 수도자들만이 거주하는 특수 행정구역이다.

4. 3급 행정구역: 지역단위[편집]

본래 3급 행정구역은 현(노모스)였으나 해당 행정구역은 지역단위로 대체되었다.

5. 4급 이하 행정구역[편집]

[A] 1.1 1.2 1.3 1.4 분권행정부와 주의 영역이 동일하다.[2] 아티키 분권행정부의 아티키 주에 위치한 도시로 아테네의 외항이다. 즉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하는 안습한 분권행정부라 할 수 있다.[5]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 및 레바논 제2의 도시 트리폴리와는 별개의 도시다.[6] 중세 시대에는 이탈리아식 명칭인 코르푸로 알려졌다.[7] 고대~코이네 그리스어 발음으로는 미틸레네.[9]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된 성지라서 전쟁이나 천재지변 같은 일이 터지지 않는 한 성모 마리아 본인(...)을 제외한 여성의 출입이 허락되지 않는 금녀의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