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1. 개요2. 명칭3. 정교회의 독립교회
3.1. 초대 교회 직계 총대교구3.2. 독립 총대교구3.3. 독립 대관구3.4. 독립 대교구3.5. 자치교회3.6. 기타 정교회 계열 군소교단
4. 성직자5. 수도자

1. 개요[편집]

기독교 칼케돈파의 종파이다.

그리스 정교회, 동방 정교회 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해당 명칭들은 별명 내지는 비칼케돈파(합성론파) 계열 정교회(오리엔트 정교회)와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나 서방의 가톨릭 교회와 비교할 때 사용하며, 공식적으로는 단순히 '정교회'라고만 한다.

2. 명칭[편집]

3. 정교회의 독립교회[편집]

정교회 독립교회의 수장들은 전체 수장인 세계 총대주교부터 일반 총대주교, 대관구 주교, 대교구 주교 등이 있지만, 이들의 권한은 대등하며, 세계 총대주교가 가톨릭 교황처럼 일방적인 수위권을 행사하진 않는다.

3.1. 초대 교회 직계 총대교구[편집]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정교회)
    수장은 알렉산드리아와 아프리카의 교황[1]이다.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정교회)
    수장은 안티오키아와 중근동의 총대주교다.
  •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정교회)
    수장은 예루살렘 총대주교다.

3.2. 독립 총대교구[편집]

  • 러시아 정교회
    수장은 모스크바와 전러시아의 총대주교다.
  • 불가리아 정교회
    수장은 소피아의 수도 대주교이자 불가리아의 총대주교다.
  • 세르비아 정교회
    수장은 베오그라드의 수도 대주교이자 세르비아의 총대주교다.
  • 루마니아 정교회
    수장은 부쿠레슈티의 수도 대주교이자 루마니아의 총대주교다.
  • 조지아 정교회
    수장은 트빌리시의 수도 대주교이자 조지아의 총대주교다.

3.3. 독립 대관구[편집]

  • 키프로스 교회[2]
    가장 먼저 형성된 독립 대관구로 키프로스 섬을 관할한다.
  • 그리스 교회[3]
    수장은 아테네의 수도 대주교이자 그리스의 대관구 주교. 본래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소속이었으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그리스가 독립하면서 교회 역시 분리독립한 후 이를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승인받았다.
  • 알바니아 정교회
    수장은 티라나의 수도 대주교이자 알바니아의 대관구 주교.
  • 우크라이나 정교회
    키이우의 수도 대주교이자 우크라이나의 대관구 주교. 현재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승인받았으나, 본래 속해있었던 러시아 정교회의 승인은 받지 못했다.
  • 마케도니아 정교회
    수장은 오흐리드의 수도 대주교이자 마케도니아의 대관구 주교. 북마케도니아를 관할하며 본래 세르비아 정교회 소속 자치교회인 오흐리드 정교회였으나 독립을 승인받았다.
  • 아메리카 정교회
    미국 등 아메리카 대륙을 관할하며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독립을 승인벋았으나, 독립교회 수장들의 승인은 받지 못했다.

3.4. 독립 대교구[편집]

  • 폴란드 정교회
  •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

3.5. 자치교회[편집]

이들은 완전한 독립교회는 아니지만 제한적인 자치를 인정받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소속
    • 핀란드 정교회
    •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소속
    • 시나이 정교회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소속
    • 북아메리카 안티오키아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 소속
    • 해외 러시아 정교회
    • 벨라루스 정교회
    • 몰도바 정교회
    • 중국 정교회
    • 일본 정교회
  • 루마니아 정교회 소속
    • 베사라비아 관구[4]

3.6. 기타 정교회 계열 군소교단[편집]

4. 성직자[편집]

5. 수도자[편집]

  • 수사
  • 수녀
[1] 로마의 주교인 가톨릭 교황과는 무관한 별개의 칭호다.[2] 정식 명칭이 키프로스 정교회가 아니라 그냥 키프로스 교회다.[3] 정식 명칭이 그리스 정교회가 아니라 그냥 그리스 교회다.[4] 몰도바 정교회와 관할 구역이 겹친다.[5] 사제와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말하면 주교까지 포함하는 용어다.[6] 가톨릭부제에 대응되지만 정교회에서는 보제라는 한국어 표기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