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명칭[편집]
3. 정교회의 독립교회[편집]
|
3.1. 초대 교회 직계 총대교구[편집]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정교회)
수장은 알렉산드리아와 아프리카의 교황[1]이다.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정교회)
수장은 안티오키아와 중근동의 총대주교다.
-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정교회)
수장은 예루살렘 총대주교다.
3.2. 독립 총대교구[편집]
- 러시아 정교회
수장은 모스크바와 전러시아의 총대주교다.
- 불가리아 정교회
수장은 소피아의 수도 대주교이자 불가리아의 총대주교다.
- 세르비아 정교회
수장은 베오그라드의 수도 대주교이자 세르비아의 총대주교다. - 루마니아 정교회
수장은 부쿠레슈티의 수도 대주교이자 루마니아의 총대주교다.
- 조지아 정교회
수장은 트빌리시의 수도 대주교이자 조지아의 총대주교다.
3.3. 독립 대관구[편집]
- 알바니아 정교회
수장은 티라나의 수도 대주교이자 알바니아의 대관구 주교.
- 우크라이나 정교회
키이우의 수도 대주교이자 우크라이나의 대관구 주교. 현재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승인받았으나, 본래 속해있었던 러시아 정교회의 승인은 받지 못했다.
- 마케도니아 정교회
수장은 오흐리드의 수도 대주교이자 마케도니아의 대관구 주교. 북마케도니아를 관할하며 본래 세르비아 정교회 소속 자치교회인 오흐리드 정교회였으나 독립을 승인받았다.
- 아메리카 정교회
미국 등 아메리카 대륙을 관할하며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독립을 승인벋았으나, 독립교회 수장들의 승인은 받지 못했다.
3.4. 독립 대교구[편집]
- 폴란드 정교회
-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
3.5. 자치교회[편집]
이들은 완전한 독립교회는 아니지만 제한적인 자치를 인정받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소속
- 핀란드 정교회
-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소속
- 시나이 정교회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 소속
- 북아메리카 안티오키아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 소속
- 해외 러시아 정교회
- 벨라루스 정교회
- 몰도바 정교회
- 중국 정교회
- 일본 정교회
- 루마니아 정교회 소속
- 베사라비아 관구[4]
3.6. 기타 정교회 계열 군소교단[편집]
4. 성직자[편집]
5. 수도자[편집]
- 수사
- 수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