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버스 주식회사 東進버스 株式會社 Dong-jin Bus | |
설립일 | 1980년 5월 8일 |
업종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최준형 |
사원수 | 175명 |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 |
보유 대수 | 103대 |
주요 주주 | 최성환 : 74.47% 최준형 : 14.92% 최준우 : 10.61% |
주소지 | |
문의전화 | 033-653-8011 |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 흔히 공단으로 불리는 입암동에 차고지가 있으나 본사 차고지가 면적이 그리 넓지 않아서 근처 노상과 인근 정비소에 차량을 주박시킨다. 주로 동진버스 소속 읍면 노선이 공단에서 출발한다.
- 2000년대 초반 강원여객으로부터 강릉시내버스 사업을 양수하면서 일부 외곽 노선의 운영을 시작했다.
- 강릉시, 양양군에 한해 영업함에도 강원도 지역에서는 나름 큰 업체이다. 강릉시 시내버스만 운영함에도 강릉, 속초, 고성, 동해 지역 시내버스와 시외버스까지 하는 동해상사고속과 차량 보유 대수에서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3. 차량[편집]
보유차종으로는 과거에는 FB485, FB500, RB520, 에어로시티 등 현대자동차 버스 위주로 출고했던 업체였으나 1998년부터 BM090, BS106 등 대우버스 위주로 출고하기 시작하였으나 2000년까지는 현대자동차도 번갈아가며 도입했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대우버스만 주구장창 출고했다가 2011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를 출고했다. 그래도 전기버스 도입 전까지만 해도 현대버스, 대우버스를 혼용해서 출고했다.
2017년 12월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강원도 최초 전기버스 모델인 포톤 그린어스 4대를 출고했다. 이후 시내 노선 차량은 2018년식 자일대우버스 디젤 2대[2]출고를 마지막으로 2019년 부터 본격적으로 전기 저상버스로 교체가 이루어져 포톤 그린어스 14대를[3] 도입하다가 2020년부터 그린어스가 수입을 중단하면서 국내 최초로 킹롱 시티라이트를 출고하며 전기버스는 계속 시티라이트로만 구매하고 있다. 카운티를 제외하고 더이상 디젤차량은 출고하지 않는다.[4]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대우버스만 주구장창 출고했다가 2011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를 출고했다. 그래도 전기버스 도입 전까지만 해도 현대버스, 대우버스를 혼용해서 출고했다.
2017년 12월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강원도 최초 전기버스 모델인 포톤 그린어스 4대를 출고했다. 이후 시내 노선 차량은 2018년식 자일대우버스 디젤 2대[2]출고를 마지막으로 2019년 부터 본격적으로 전기 저상버스로 교체가 이루어져 포톤 그린어스 14대를[3] 도입하다가 2020년부터 그린어스가 수입을 중단하면서 국내 최초로 킹롱 시티라이트를 출고하며 전기버스는 계속 시티라이트로만 구매하고 있다. 카운티를 제외하고 더이상 디젤차량은 출고하지 않는다.[4]
4. 운행 노선[편집]
5. 여담[편집]
- 에너지 절약을 이유로 여름에 에어컨을 틀지 않고 창문을 열고 다녀서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
- 디젤 저상버스가 일반 디젤버스에 비해서 연비가 나쁜데다가 유지비가 많이 나왔던지라 평일에 한해 거리가 짧은 대학선에 집중적으로 투입했었고[11]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아예 운행하지 않았다. 이후
차량 품질과는 별개로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전기 저상버스가 들어오면서 운행 빈도가 줄어들다가 단거리 노선인 233, 234번으로 넘어갔고 2020년부터 코로나 19로 인한 감차 이후에는 연식 및 주행거리를 불문하고 전부 운행을 중단했다. 더군다나 중국산 전기 저상버스가 같은 저상버스이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 애물단지인 이 차들이 명목상 예비차로 바뀌어 운행을 나오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는 상황.
- 한때는 동진관광을 운영한 적이 있었지만 2000년대 초반에 폐업했다. 2014년까지만 해도 동진버스 차고지에 동진버스 동진관광이라고 쓰여있었으나 동진버스 동진버스로 바뀌었다.
[1] 통학3, 200, 206, 207, 300, 302, 314, 315, 마실버스 일부 노선, 시티1번을 공동 운행하며, 나머지 노선은 단독 배차한다. 단, 주문진 노선의 경우 회사별로 기종점이 다른데 기종점이 공단이면 동진버스, 안목이면 동해상사고속.[2] NEW BS090 1대, NEW BS106 1대, 총 2대[3] 총 18대를 도입했다.[4] 좌석버스 같은 경우에는 킹롱 시티라이트 전기 저상버스를 좌석형 으로 개조해서 출고될지 KGM커머셜 스마트110E 고상형 좌석 전기버스를 출고가 될지 지켜봐야된다.[5] 이로 인해 천연가스 충전소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면 전기버스나 수소전기버스로만 도입해야 하는데, 이는 국내에 디젤 저상버스가 없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는 더 이상 디젤저상 모델을 생산하지 않는다.[6] 포톤 그린어스 18대 + 킹롱 시티라이트 30대.[7]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한국산 전기버스를 첫 도입한 지역은 춘천시이다. 이쪽은 NEW e-화이버드를 도입했으며, 일렉시티의 경우 처음 도입하려 했을 땐 차량 대급 미납으로 현대자동차에서 회수해갔으며, 이후 제대로 출고하였다.[8] 신문에는 D버스로 표기되어 있으나 강릉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동해상사고속은 수익성이 나쁘지 않은 시내노선과 주문진 노선만 운행하기에 동진버스일 수밖에 없다.[9] 2018년 개편전에 다니던 214번은 보광리에서 출발한 502번 첫차가 가마골을 찍고 나오면서 503번 첫차의 기능까지 하던 것이 영동대 앞에서 노선번호만 바꿔서 다니던 노선이었고, 2019년 개편전에 다니던 304/305번 역시 시내노선에서 다니던 차가 지원을 나갔다. 2020년에는 509번을 시내선에서 지원운행했다. 수요가 없는데 큰 차가 들어간 것은 이런 이유.[10] 104, 224-1, 234번은 관대선 차량이 아침시간대에 지원운행을 나가는 노선들이다.[11] 디젤 저상버스는 관대선에 가장 많이 들어갔고 강대선에도 제법 많이 들어갔다. 아주 드물게 강릉고, 강문 노선에도 들어갔으며 운행거리가 긴 남부선, 북부선, 서부선에는 절대로 투입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