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 내의 특정 인물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및 실명 언급
목포여자고등학교
Mokpo Girls' High School
개교
1944년
유형
일반계고등학교
형태
공립
성별
여학교
교장
문은희
학교 상징
교목
동백나무
교화
동백
교훈
어진 마음, 참된 모습
학교 인원
학생
491(6)
교직원
73
1. 개요2. 학교 특징3. 학교 연혁4. 학교 전경5. 출신 인물6. 논란 및 사건 사고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7.2. 철도
7.2.1. 도시철도
8. 여담

1. 개요[편집]

전라남도 목포시 대성동에 위치한 고등학교

2. 학교 특징[편집]

  • 풍란교육활동 - 노력 중점
    • 교육과정 연계 독서·토론·글쓰기 교육
      • 목적
        º 독서 친화적 환경 조성 및 교과 연계 독서·토론·글쓰기 교육을 통한 평생 독자 양성
        º 진로 및 생태 연계 자기선택적 독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신장
      • 추진 내용
        º 독서 친화적 환경 조성 및 교과 연계 독서·토론·글쓰기 교육을 통한 평생 독자 양성
        º 하루 30분 독서 운동 전개
        º 아침을 여는 사제동행 독서교실 운영(무학년제)
        º 지역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 활용 독서·토론·글쓰기 수업 운영
        º ‘풍란아고라 독서토론회’ 운영
        º 독서·토론 및 문학 동아리 운영
        º ‘북페스티벌’, ‘책 편지 보내기’ 등 독서 진흥 행사 추진
        º 교과 연계 ‘한 학기 한 권 읽기’로 독서·토론·글쓰기에 관한 깊이 있는 학습 경험 제공
    • 주요 프로그램 - 풍란아고라 독서토론회
      • 목적
        º 교과 연계 도서를 토론 주제도서로 선정하여, 도서관 및 독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고취시킨다.
        º 책을 읽고 논제를 도출하여, 독서ㆍ토론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며 논리적 표현력 및 창의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른다.
        º 사제-교우 간 깊은 숙의 시간을 통해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고, 소통과 공감 능력을 갖춘 의사소통 역량을 기른다.
      • 방침
        º 학교도서관 장서 중 교과 연계 도서를 토론 주제도서로 선정한다.
        º 교과와 연계하여 해당 주제로 입론서를 작성하고, 깊이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독서 경험을 갖게 한다.
        º 토론회 이전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연계하여 모든 학생들이 해당 도서에 관한 독서 경험을 갖도록 한다.
        º 논쟁보다는 숙론과 과정이 중시되는 토론이 될 수 있도록, 비경쟁으로 진행되는 ‘월드카페’ 토론 형식을 차용한다.
    • 주요 프로그램 - 진로독서 마라톤
      • 목적
        º 학생의 진로·적성·학습 수준에 따른 탄력적인 맞춤형 교육 활동을 제공한다.
        º 학생의 진로 및 관심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교양, 학업 역량을 함양한다.
        º 진로와 독서를 연계함으로써 독서의 필요성을 깨닫고 독서 의욕을 고취 시킨다.
        º 학생들이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자율적인 독서 활동을 꾸준히 실천하도록 유도한다.
      • 방침
        º 대상은 1, 2, 3학년으로 한다.
        º 학생의 진로와 연계된 도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º 독서 및 독후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º 도서 내용과 관련된 탐구활동, 토의활동, 독후감 쓰기 등의 독후 활동을 적극 장려한다.
        º 활동 내용은 생활기록부의 개인세특영역(또는 과목세특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º 독후활동의 결과물이 타인의 것을 표절했음이 드러났을 경우 활동 참여에 대한 결과를 기록하지 않는다.
        º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공강 시간, 자율적 교육과정 주간 등을 활용하며, 2학기 자율적 교육과정 주간 이후 반별로 우수 학생을 선정 후 결과물은 도서관을 활용하여 전시한다.
  • 풍란교육활동 - 특색 사업
    •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내 고장 생태보전 및 생태시민 양성: 공생의 길 프로젝트 ‘자산生보(생물보감)’
      • 목적
        º 학교 근교 섬인 고하도의 생태 환경 탐구를 통해 생태환경 이해 및 생태 감수성을 함양한다.
        º 고하도의 생물 다양성 조사 및 멸종위기종과 생태교란종을 살펴보며 생물 다양성을 이해하고 생물 자원 및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º 고하도 생태 보전 및 캠페인 활동을 통해 실천하는 생태시민 양성에 기여한다.
      • 방침
        º 1, 2학년 중 희망 학생들(공생의 길 프로젝트 ‘生生정보’팀 및 희망 동아리 ‘코드’, ‘LOA’ 등)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º 학교자율적 교육과정 및 공강,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실천 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º 운영 결과를 적극 홍보하여 내 고장의 생태환경과 보전의 필요성을 학교와 지역에 널리 알린다.
    • 탄소중립 실천 문화 확산을 통한 생태환경교육
      • 목적
        º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남교육공동체의 탄소중립 실천을 유도한다.
        º 기후위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학교의 실천 문화를 확립한다.
        º 학교 교육공동체의 자발적 참여와 실천을 통한 가정, 지역사회로의 실천 문화를 확산한다.
      • 방침
        º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공강, 학교자율적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체험과 실천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º 행사 활동을 사전에 적극 안내하여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º 지9지킴 도우미, 방송 동아리(LOA)가 각 프로그램 홍보 및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교내 도우미 봉사활동 시간을 부여한다.
        º 생태환경 관련 탐구 활동은 학교자율적 교육과정 및 공강과 연계하여 실시하며, 활동 내용은 생활기록부의 개인세특영역(또는 과목세특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 풍란교육활동 - 자율사업 선택제
    • 학교 자율사업 선택제 운영 계획
      • 목적
        º 학생들의 재능, 적성, 진로 등을 고려한 동아리 활성화를 통해 즐겁고 행복한 학교를 만든다.
        º 교육 공동체의 공감과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 학교폭력 없는 행복한 학교를 만든다.
        º 학생 중심 학습 지원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키워 학습력을 향상한다.
        º 음악 체험을 통해 감성적인 역량을 기르고, 지역 연계 봉사 공연으로 지역 사회와 함께 하는 학교를 만든다.
  • 풍란교육활동 - 운동부
    • 하키부
      • 목적
        º 하키선수를 육성하여 학생의 체력 단련에 기여하고 지역사회 체육의 저변을 확대하여 유능한 체육인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있다.
      • 기본방침
        1) 매년 신입생 선발 시 하키 특기자를 전남 정원의 3% 이내 범위 내에서 선발한다.
        2) 하키부 학생들은 전원 교내 합숙소에 기숙하면서 합동, 합숙훈련을 실시한다.
        3) 기본기능 및 전문기술을 지도하여 우수한 하키 기능을 가진 선수를 육성한다.
        4) 하키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취미가 있는 학생을 발굴하여 지도한다.
        5) 선수 개인의 능력을 고려하여 특성에 맞는 훈련을 실시한다.
      • 일반목표
        º 적성에 맞는 운동을 합리적으로 실천하여 체력과 전문적인 운동 기능을 향상 시키고 운동보건 안전에 관한 지식을 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며 운동을 생활화 하여 건전한 생활 태도를 가지게 한다.
      • 운영목표
        º 여러 가지 운동을 통하여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운동 능력을 개발하고, 건강한 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1) 운동경기를 즐길 수 있는 운동 기능과 건강에 필요한 체력을 기르게 한다.
        2) 신체 활동을 통하여 사상과 감정의 표현능력을 기르게 한다.
        3) 운동과 건강 및 여가 활동에 필요한 체계적인 지식을 이해하여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4) 운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운동을 생활화하며, 바람직한 사회적 태도를 가지게한다.
      • 하키부 연혁
        º 하키부 창단 - 1986. 광주.전남 분리로 광주농고(진도 고성중 진학) 팀 이적 선수 13명으로 창단
        º 경기 전적
경기년도
대회명
순위
1987.10.18
제68회 전국체육대회(목포)
3위
1993.05.16
제7회 대통령기 전국 시도대항 하키대회(성남)
3위
1994.08.11
제8회 대통령기 전국 시도대항 하키대회(성남)
3위
1995.10.08
제76회 전국체육대회(경주)
1위
1996.04.07
96 전국 춘계 남녀 하키대회(성남)
3위
1996.05.11
제39회 전국 종별하키 선수권 대회(성남)
3위
1996.08.21
제10회 대통령기 전국 시도대항 하키대회(성남)
3위
1997.08.23
제8회 문화관광부 장관기 전국중고하키대회(대구)
2위
1998.07.03
제41회 전국종별하키선수권대회(성남)
3위
1998.07.29
제12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
1위
1999.04.03
99 전국 춘계 남녀 하키대회(김해)
3위
1999.08.16
제13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김해)
3위
1999.09.13
제2회 한국통신공사사장기전국중고하키대회 모범단체상(성남)
2위
2000.04.08
2000 전국춘계남녀하키대회(김해)
2위
2000.08.23
제14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김해)
3위
2001.04.13
2001 전국춘계 남녀 하키대회(성남)
1위
2001.05.18
제20회 협회장기 전국남녀 하키대회(김해)
3위
2001.07.20
제44회 전국 종별하키선수권대회(성남)
1위
2002.04.08
2002 전국춘계 남녀하키대회(성남)
1위
2002.04.29
제4회 KT컵 전국남녀고교 하키대회(성남)
1위
2002.06.27
제45회 전국종별하키선수권대회(김해)
2위
2002.08.25
제16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부산)
1위
2003.07.16
제46회 전국종별하키선수권대회(아산)
1위
2003.08.09
제17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아산)
3위
2003.10.16
제84회 전국체육대회(김제)
1위
2004.04.11
2004 전국춘계남녀하키대회(김제)
3위
2004.05.11
제23회 협회장기 전국남녀 하키대회(부산)
1위
2004.10.14
제85회 전국체육대회(제천)
3위
2005.05.07
제24회 협회장기 전국남녀하키대회(김제)
3위
2005.06.27
제19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동해)
2위
2005.07.28
제43회 전국종별하키선수권대회(제천)
3위
2005.10.20
제86회 전국체육대회(부산)
3위
2006.05.04
제49회 전국종별하키선수권대회(성남)
3위
2006.05.29
제25회 협회장기 전국남녀하키대회(김제)
2위
2006.09.22
제20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성주)
3위
2006.10.23
제87회 전국체육대회(성주)
2위
2007.04.09
2007 전국춘계남녀하키대회(김제)
2위
2007.05.05
제26회 협회장기전국남녀하키대회(성주)
1위
2007.07.25
제7회 중고연맹회장기 전국중고하키대회(제천)
1위
2007.09.16
제20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제천)
1위
2007.10.14
제88회 전국체육대회(광주)
8강
2008.04.01
2008 전국춘계 남녀하키대회(제천)
3위
2008.05.07
제27회 협회장기 전국남녀하키대회(성주)
1위
2008.08.29
제51회 전국종별 하키선수권대회(평택)
1위
2008.09.15
제22회 대통령기 전국시도대항 하키대회(목포)
1위
2008.10.18
제89회 전국체육대회(목포)
8강
2009.07.20
제10회 중고연맹회장기(동해)
8강
2009.10.20
제90회 전국체육대회(대전)
8강
2010.06.13
제53회 전국종별 하키선수권대회(목포)
8강
2010.10.13
제91회 전국체육대회(김해)
8강
2011.10.08
제92회 전국체육대회(평택)
8강
2012.04.30
제31회 협회장기 전국 남여하키대회
8강
2012.07.27
제23회 문화체육부 장관기 전국 중고 하키대회
8강
2013.10.02
제38회 전남학생종합체전 하키(단체전)
1위
2014.11.01
제39회 전남학생종합체전 하키(단체전)
1위
2021.10.25
46회 전남학생종합체육대회(단체전)
1위
2022.10.11
제103회 전국체육대회(동해)
8강
2022.10.26
47회 전남학생종합 체전 하키(단체전)
1위
2023.10.16
제104회 전국체육대회(목포)
8강
2024.10.09
제105회 전국체육대회(김해)
8강

3. 학교 연혁[편집]

날짜
연혁
1944.03.30
실수학교(實修學校) 설립 인가[1]
1944.06.01
목포공립상업실수학교(木浦公立商業實修學校) 개교[2]
1944.09.01
사립정명여학교(私立貞明女學校) 기숙사를 가교사(假校舍)로 사용
1945.03.31
6학급 증설 인가
1947.02.06
6년제 인문중학(人文中學) 승격 인가
목포정명공립여자중학교(木浦貞明公立女子中學校)로 교명 변경
1947.09.01
교사 신축 이전 -위치: 목포시 호남동 1-10[3]
교훈: 한 송이 들꽃을 보라 남을 시새워하지도 아니하고 스스로 자랑하지도 아니하며 한껏 제 빛을 나타내라]
목포항도공립여자중학교(木浦港都公立女子中學校)로 교명 변경[4]
1951.09.01
고등학교로 승격 인가[5]
목포여자고등학교(木浦女子高等學校)로 교명 변경
1955.05.03
병설 목포중앙여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 설립 인가
1955.06.08
병설 목포중앙여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 개교[6]
1960.03.04
병설 목포중앙여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 학급 증설 -학급수: 3학급
1963.11.30
목포중ㆍ고등학교와 교사 환치(換置)[7]
1970.12.04
문교부 중ㆍ고등학교 평준화 분리시책에 따라 木浦中央女子中學校와 분리[8]
1975.03.01
24학급 인가 학칙변경
1976.03.01
同 구내(區內) 신축 교사(校舍)로 목포중앙야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 재이전
1995.08.07
목포중앙여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 신도시 지역으로 이전[9]
2012.03.01
21학급 인가 학칙변경
2015.03.01
22학급 인가(특수 1학급 신설)
2023.02.08
제72회 157명 졸업(총 22594명)
2023.03.01
제25대 문은희 교장 부임
2024.02.07
제73회 150명 졸업(총 22744명)

4. 학교 전경[편집]

5. 출신 인물[편집]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7.1. 버스[편집]

  • 목포여고(11002 / 11008)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3 간선3-1
  • 대성농협(11007)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3 간선3-1
    • 목포시 순환버스: 순환88
  • 대성농협(11013)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3 간선3-1
    • 목포시 순환버스: 순환88-1

7.2. 철도[편집]

7.2.1. 도시철도[편집]

8. 여담[편집]

[1] 교명: 목포공립상업실수학교(木浦公立商業實修學校) -학제: 3년제[2] 木浦市 湖南洞 1番地의 1 -면적: 1,080평 -교사건평: 570평 -교실수: 18校室 -보건장: 480평 -개교식 장소: 목포공립고등여학교(木浦公立高等女學校)[3] 1호 광장 교보생명 건너편[4] 변경 사유: 사립 정명여자중학교 재개교[5] 학제: 3년제 인문계, 중학교 과정 폐지[6] 학급수: 2학급 -위치: 목포시 호남동 1-10(1호 광장 교보생명 건너편)[7] 위치: 호남동1-10(현 시교육청)에서 대성동 40번지로 -사유: 목포시 계획에 의한 도로 확장에 부지 일부 포함, 교정 협소화, 병설 목포중앙여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도 함께 이전[8] 목포중앙여자중학교(木浦中央女子中學校) 학급수: 5학급 -목포여자고등학교(木浦女子高等學校) 학급수: 학년당 8학급 -同 구내(區內)에 위치하나 행정상 병설교(竝設校) 분리[9] 위치: 전남 목포시 백년대로 280번길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