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목포시의 고등학교 | ||||
목포고등학교 Mokpo High School | ||||
개교 | 1950년 | |||
유형 | 일반계고등학교 | |||
형태 | 공립 | |||
성별 | 남학교 | |||
교장 | 오관익 | |||
학교 상징 | 교목 | 히말라야시다 | ||
교화 | 장미 | |||
교훈 | 학행일치(學行一致) | |||
학교 인원 | 학생 | 511(7) | ||
교직원 | 72 |
1. 개요[편집]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에 위치한 고등학교
2. 학교 특징[편집]
- 중점 사업 1. 고교학점제(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
- 중점 사업 2. 창의 융합형 수업 주간 운영
- 중점 사업 3. 독서인문교육 강화
- 학교 특색 사업 1. 진로 탐색 ‘꿈길’ : 나침반 없이 떠나는 대학 탐험
- 학교 특색 사업 2. 배움 두레
- 학교 특색 사업 3. 김영재 선배 정신 이어받기[1]
- 연구학교 운영: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핵심역량 신장 방안
3. 학교 연혁[편집]
날짜 | 연혁 |
1942.04.20 | 목포중학교 개교 |
1950.06.22 | 목포고등학교 개교 |
1963.09.14 | 대성동 교사에서 현교사로 이전 |
1973.01.17 | 목포중학교 폐교 |
1980.03.01 | 고교 평준화 실시 |
1990.03.01 | 고교 평준화 해제 |
2005.03.01 | 고교 평준화 실시 |
2015.03.01 | 고교평준화 배정 방법 변경(등급별 희망 배정) |
2015.04.23 | 역사문화관 개관 |
2021.03.01 | 자율형공립고 3차 지정 |
2023.09.01 | 제29대 오관익 교장 취임 |
2024.01.05 | 제73회 170명 졸업(졸업생 총수 29,561명) |
2024.03.04 | 신입생 173명 입학 |
4. 학교 전경[편집]
5. 출신 인물[편집]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7.1. 버스[편집]
- 목포고등학교(26004, 3240362)
- 목포시 일반버스: 낭만33 낭만33-1 낭만33-2
- 목포시 좌석버스: 900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2 간선3-1
- 신안군 농어촌버스
- 150 (해양대후문-송공항)
- 150 (해양대후문-중앙)
- 150 (해양대후문-해양대후문)
- 목포고등학교(26022, 3240363)
- 목포시 일반버스: 낭만33 낭만33-1 낭만33-2
- 목포시 좌석버스: 900A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2 간선3-1
- 신안군 농어촌버스
- 150 (송공항-해양대후문)
- 150 (중앙-해양대후문)
- 150 (해양대후문-해양대후문)
7.2. 철도[편집]
7.2.1. 도시철도[편집]
8. 여담[편집]
[1] 김영재, 1981년 졸업 1999. 6. 30. 씨랜드 수련원 화재 사건시 인솔한 42명의 학생을 구하고 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