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 내의 특정 인물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및 실명 언급
목포유달중학교
Mokpo Yudal Middle School
개교
1951년
유형
일반계중학교
형태
공립
성별
남녀공학
교장
강석광
학교 상징
교목
히말라야시다
교화
철쭉
교훈
성실, 근면
학교 인원
학생
340(18)
교직원
49
1. 개요2. 학교 특징3. 학교 연혁4. 학교 전경5. 출신 인물6. 논란 및 사건 사고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7.2. 철도
7.2.1. 도시철도
8. 여담

1. 개요[편집]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2동에 위치한 중학교

2. 학교 특징[편집]

  • 2024. 목포유달중학교 탄소중립 제 1차 집중 실천주간 운영 계획
    • 목적
      • 해마다 전 세계적으로 수질 오염이 심화되고 관련한 질병과 사고로 인하여 삶을 영위하는 데 많은 문제가 생기게 됨을 일깨움.
      • 물은 인간의 생명과 지구에 있는 다양한 생명을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존재임을 인식하고 물을 절약하고 아껴서 사용해야 함을 깨달음.
    • 방침
      • 학생회와 연계하여 캠페인 형식으로 진행하여 교직원과 학생이 자율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 가정통신문을 활용해 교내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 학교자율사업 운영계획
    • 선택과제 1 : 자유학기제 운영
    • 선택과제 2 : 소통과 공감의 학교폭력예방교육
    • 선택과제 3 : 예술체험 교육활동 운영
  • 목포교육자치협력지구 학교지원 사업: 지역(마을)연계 교육과정 개발
    • 목포의 박물관들을 방문하여 역사, 환경, 문화를 경험
    • 박물관 관람 후 조별로 한 가지 주제를 정해 관람 결과와 소감을 보고서로 제작, 발표
    • 우수 보고서를 선정하여 시상
    • 지역사회 관련 탐구 동아리 운영
  • 목포교육자치협력지구 학교지원 사업: 전통 문화 예술 전수과정
    • 전남 문인화 대가 허련에 대해 조사하고 반 교훈을 시각화하여 족자 만들기
    • 한복의 역사에 대해 이해하고, 한복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그려보기
    • 나전공예 및 프로그램을 체험하고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기
  •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현장체험학습 실시 계획
    • 목적
      • 전라남도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에 참가하여 지역 중심의 교육생태계 속에서 지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 이해
      •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갖추어 지역, 국가, 세계와 공생하는 인재로 성장
      •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지역을 중심으로 현실화하는 방법을 탐구
    • 방침
      • 공공장소에서 질서를 유지하며 공중도덕 의식을 고양하도록 한다.
      • 학급별, 학년별로 담임교사의 인솔 하에 체험을 진행하도록 한다.
      • 글로컬 미래교육 컨퍼런스, 전시관을 견학하며 미래교육의 방향과 미래수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3. 학교 연혁[편집]

날짜
연혁
1951.09.01
목포 제2중학교 설립인가
1951.09.20
목포 제2중학교 개교
1957.12.18
목포유달중학교로 교명 변경
1988.10.20
본관 개축
2015.03.01
남녀공학승인
2024.01.05
제73회 졸업(졸업생114명, 총 24,404명)
2024.03.01
제28대 강석광 교장

4. 학교 전경[편집]

5. 출신 인물[편집]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7.1. 버스[편집]

  • 유달중학교(26023, 3240144)
    • 목포시 일반버스: 낭만33 낭만33-1 낭만33-2
    • 목포시 좌석버스: 900A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2 간선3-1
    • 신안군 농어촌버스
      • 150 (송공항-해양대후문)
      • 150 (중앙-해양대후문)
      • 150 (해양대후문-해양대후문)
  • 동부시장(26008, 3240147)
    • 목포시 일반버스: 낭만33 낭만33-1 낭만33-2
    • 목포시 좌석버스: 900A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2 간선3-1
    • 신안군 농어촌버스
      • 150 (해양대후문-송공항)
      • 150 (해양대후문-중앙)
      • 150 (해양대후문-해양대후문)
  • 2호광장(23004) / 2호광장(26009)
    • 목포시 좌석버스: 200 300 300A 800
    • 목포시 간선버스: 간선1
    • 목포시 지선버스: 지선20 지선20-1

7.2. 철도[편집]

7.2.1. 도시철도[편집]

8. 여담[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