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성씨 = 부여 서씨(扶餘 徐氏)

| 관향 = 충청남도 부여군

| 시조 = 부여융(扶餘隆)

| 중시조 = 서존(徐存)

| 집성촌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br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br />평안남도 개천군

| 년도 = 2015

| 인물 = 서익, 서필원, 서성, 서승진, 서민석

| 인구 = 17,145명

| 순위 =

| 비고 = 백제의 왕족


부여 서씨(扶餘 徐氏)는 충청남도 부여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1. 역사[편집]

시조는 백제 의자왕의 첫째(혹은 셋째 아들이라고도 함, 아직도 학계의 설이 분분함) 아들 부여융(扶餘隆)이다. 660년(의자왕 20)에 백제가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한 뒤에 멸망되어 의자왕과 태자 등 2,000여명은 당나라에 압송되었다. 당나라 고종은 의자왕에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품계를 내리고, 아들 부여융에게 서씨의 성을 하사하여 본국으로 보냈다고 한다. 부여서씨의 문호는 열렸으나, 그 후 세계는 알 수 없었는데 서융의 원손으로 이천서씨 아간공 서신일 후손인 고려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源君)에 봉해진 서존(徐存)을 1세조로 받들고 부여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서존의 11대손은 서수손(徐秀孫)이다.

2. 인물[편집]

* 서익(徐益, 1542 ~ 1587년) : 본관은 부여(扶餘). 자 군수(君受), 호 만죽(萬竹), 만죽헌(萬竹軒). 아버지는 진사 서진남(徐震男)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직제학 이약해(李若海)의 딸이다. 1554년(명종 9) 13세 때 향시(鄕試)에 장원하고, 1564년 생원시에 1등 5인중에 2위으로에 합격하였다.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 병조·이조좌랑, 병조정랑, 교리,수찬,군기경차관, 종부시첨정, 함경북도 순문관, 사인(舍人)을 역임하고, 외직으로 고창현감, 안동부사, 평양서윤, 서천군수·의주목사 등을 지냈다. 문장과 도덕, 그리고 기절(氣節)이 뛰어나 삼당시인, 팔문장, 정철과 더불어 이십팔숙회라 칭하여졌고, 이이(李珥)·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1585년 5월 의주목사 재직시 박순, 정철, 이이 등 변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동인의 탄핵을 받아 벼슬을 내렸놓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충청남도 은진(恩津)의 갈산사(葛山사)에 배향되었다가 임진왜란으로 불타 우암 송시열이 현 가야곡면 산노리에 효암서원에 배향되었다가 다시 가야곡면 육곡리 행림사에 모셔져 있다. 저서로는 『만죽헌집(萬竹軒集)』 1권과 시조 2수가 있다. 유품으로 장검1점, 옥피리 1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시조2수는 청구영언, 국조시산, 기아 등 실려있으며 야담 및 일화 다수가 야사로 전해지고 있다.
* 서필원(徐必遠, 1614년 ~ 1671) : 1648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69년 형조판서를 거쳐 1671년 병조판서가 되었다. 왕에게 직언을 잘하여 당대의 오직(五直)이라 불렸다. 시호는 정의(貞毅)이다.
* 서성(徐晟, 1942년 ~ ) : 대법원 대법관
* 서한범(徐漢範, 1945년 ~ ) : 단국대학교 국악과 교수
* 서승직(徐承稷, 1949년 ~ ) :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서승진(徐承鎭, 1953년 ~ ) : 대한민국 제24대 산림청장
* 서의식(徐毅植, 1956년 ~ ) :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서희석(徐熙錫, 1968년 ~ ) :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3. 집성촌[편집]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삼전리에 부여서씨 재실(夫餘徐氏 齋室)이 있다.

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