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탈리아
,
,
,
,
1. 개요2. 분류 체계3. 1급 행정구역
3.1. 주3.2. 자치주
4. 2급 행정구역
4.1. 광역시4.2. 도4.3. 자치도
5. 3급 행정구역: 코무네6. 4급 이하 행정구역

1. 개요[편집]

이탈리아의 행정구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분류 체계[편집]

  • 1급 행정구역
    • 주(Regione)[1]
    • 자치주(Regione Autonoma)[2]
  • 2급 행정구역
    • 광역시(Citta Metropolitana)[3]
    • 도(Provincia)[4]
    • 자치도(Provincia Autonoma)[5]
  • 3급 행정구역
    • 코무네(Comune)
  • 4급 이하 행정구역
    • 무니치피오(Municipio)
    • 세스티에레(Sestiere)
    • 카풀루오고(Capuluogo)
    • 프라치오네(Frazione)

이탈리아의 행정구역은 광역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라는 2단계 구조의 자치단체와 자치권 없는 3급 이하 행정구역들로 이루어진 대한민국의 행정구역과 달리 1급(주와 자치주) - 2급(광역시, 도, 자치도) - 3급(코무네)라는 3단계 구조의 자치단체가 기본이고, 3급 행정구역인 코무네 중에서도 규모 큰 도시들은 자치권 있는 하위 행정구역을 따로 두는 등 복잡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3. 1급 행정구역[편집]

3.1. [편집]

Regione(레조네).
  • 이탈리아 북부(북이탈리아)
    • 피에몬테
      • 주도: 토리노
    • 리구리아
      • 주도: 제노바
    • 롬바르디아
      • 주도: 밀라노
    • 베네토
      • 주도: 베네치아
    • 에밀리아 로마냐
      • 주도: 볼로냐
  • 이탈리아 중부(중앙이탈리아)
    • 라치오
    • 토스카나
      • 주도: 피렌체
    • 마르케
      • 주도: 안코나
    • 아브루초
      • 주도: 라퀼라
    • 움브리아
      • 주도: 페루자
  • 이탈리아 남부(남이탈리아)
    • 캄파니아
      • 주도: 나폴리
    • 몰리세
      • 주도: 캄포바소
    • 바실리카타
      • 주도: 포텐차
    • 풀리아
      • 주도: 바리
    • 칼라브리아
      • 주도: 카탄차로

3.2. 자치주[편집]

Regione Autonoma(레조네 아우토노마).

주와 동급이지만 소수민족 또는 소수언어 사용자들이 많은 지역에 설치되어 보다 많은 자치권을 부여받는 행정구역이다.
  • 이탈리아 북부(북이탈리아)
    • 발레 다오스타
      • 주도: 아오스타
    • 트렌티노 알토 아디제
      • 주도: 트렌토
    •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 주도: 트리에스테
  • 이탈리아 남부(남이탈리아)
    • 시칠리아
      • 주도: 팔레르모
    • 사르데냐
      • 주도: 칼리아리

4. 2급 행정구역[편집]

4.1. 광역시[편집]

Citta Metropolitana(치타 메트로폴리타나).

한국의 광역시와 달리 도시 자체가 아닌 해당 도시를 포함한 도(Provincia)를 승격시킨 행정구역이다.
  • 이탈리아 북부(북이탈리아)
    • 토리노 광역시
      • 소속: 피에몬테 주
      • 중심 도시: 토리노
    • 제노바 광역시
      • 소속: 리구리아 주
      • 중심 도시: 제노바
    • 밀라노 광역시
      • 소속: 롬바르디아 주
      • 중심 도시: 밀라노
    • 베네치아 광역시
      • 소속: 베네토 주
      • 중심 도시: 베네치아
    • 볼로냐 광역시
      • 소속: 에밀리아 로마냐 주
      • 중심 도시: 볼로냐
  • 이탈리아 중부(중앙이탈리아)
    • 수도 로마 광역시
      • 소속: 라치오 주
      • 중심 도시: 로마
    • 피렌체 광역시
      • 소속: 토스카나 주
      • 중심 도시: 피렌체
  • 이탈리아 남부(남이탈리아)
    • 바리 광역시
      • 소속: 풀리아 주
      • 중심 도시: 바리
    • 레조 칼라브리아 광역시
      • 소속: 칼라브리아 주
      • 중심 도시: 레조 칼라브리아
    • 팔레르모 광역시
      • 소속: 시칠리아 자치주
      • 중심 도시: 팔레르모
    • 메시나 광역시
      • 소속: 시칠리아 자치주
      • 중심 도시: 메시나
    • 카타니아 광역시
      • 소속: 시칠리아 자치주
      • 중심 도시: 카타니아
    • 칼리아리 광역시
      • 소속: 사르데냐 자치주
      • 중심 도시: 칼리아리

4.2. [편집]

Provincia(프로빈차).

고대 로마의 속주(프로빈키아)[6]에서 모티브를 따온 행정구역[7]으로 주와 자치주의 하위 행정구역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행정구역이다.

4.3. 자치도[편집]

Provincia Autonoma(프로빈차 아우토노마).

도와 동급이지만 소수민족 또는 소수언어 사용자들이 많은 지역에 설치되어 보다 많은 자치권을 부여받은 행정구역이다.

5. 3급 행정구역: 코무네[편집]

Comune(코무네).

이탈리아의 3급 행정구역은 일괄적으로 코무네라 부르는데 그 규모는 제각각이다.

수도이자 최대도시 로마와 제2의 도시 밀라노를 비롯한 주요 대도시들도 독립시가 아닌 일개 코무네로 분류되는 반면, 인구가 수백명에 불과한 깡촌 오브 깡촌(...)인데도 해당 도시들과 같은 코무네로 분류되는 지역들도 있다.

6. 4급 이하 행정구역[편집]

  • 무니치피오(Municipio)
  • 세스티에레(Sestiere)
  • 카풀루오고(Capuluogo)
  • 프라치오네(Frazione)

코무네 중에서도 규모가 큰 지역들은 하위 행정구역을 두는데 그 명칭은 코무네마다 제각각이다.

상당수의 코무네들은 중심부인 카풀루오고와 주변부인 프라치오네로 구성되는 반면, 무니치피오라는 독자적인 행정구역 두는 로마와 세스티에레라는 하위 행정구역을 두는 베네치아, 제노바 등의 도시도 있다.

이들 가운데 카풀루오고와 프라치오네는 자치권이 없어서 각각 한국의 읍과 면에 대응되지만, 무니치피오와 세스티에레는 자체적으로 단체장과 의회를 선출해서 한국 언론에서는 '구'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1] 레조네.[2] 레조네 아우토노마.[3] 치타 메트로폴리타나.[4] 프로빈차.[5] 프로빈차 아우토노마.[6] 철자는 프로빈차와 동일하다.[7] 정작 고대 로마 시대의 이탈리아는 본토로 분류되어 속주가 설치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