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관련 사상 및 이론[편집]
- 레닌주의: 전위대 체계론(전위당 이론)
- 마르크스-레닌주의
- 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사상(마오주의)
- 호자주의
- 주체사상
- 티토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파시즘
- 나치즘: 지도자 원리
- 팔랑헤주의
- 아랍 사회주의
- 나세르주의
- 바트주의
3. 사례[편집]
3.1. 현재[편집]
3.1.1. UN 회원국[편집]
3.1.2. 미승인국[편집]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서사하라): 폴리사리오 전선[1]
3.2. 과거[편집]
3.2.1. 18~19세기[편집]
- 프랑스 제1공화국: 클뢰브 데 자코뱅(1793~1794)
3.2.2. 20세기 이후[편집]
3.2.2.1. 사회주의 국가[편집]
3.2.2.1.1. 공산권[편집]
- 러시아 혁명~냉전
- 소련: 소련 공산당
- 몽골 인민 공화국: 몽골 인민혁명당
- 전간기~2차 대전
- 아시아
- 투바 인민 공화국(탄누 투바): 투바 인민혁명당
-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국 공산당
- 유럽
- 핀란드
-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적핀란드): 핀란드 사회민주당
- 핀란드 민주 공화국: 핀란드 공산당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헝가리 공산당
- 냉전
- 아시아
- 캄보디아
- 민주 캄푸치아: 캄푸치아 공산당
-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캄푸치아 인민혁명당
- 남예멘: 예멘 사회당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유럽
-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 폴란드 인민 공화국: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 헝가리 인민 공화국: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불가리아 공산당
- 루마니아: 루마니아 공산당
- 알바니아: 알바니아 노동당
- 아프리카
- 기니비사우: 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말라가시 혁명당
- 모잠비크: 모잠비크 해방전선
- 상투메 프린시페: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
-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 소말리 혁명사회당
- 베냉 인민 공화국: 베냉 인민혁명당
- 앙골라 인민 공화국: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노동자당
-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 아메리카
- 그레나다 인민혁명정부: 신보석운동
3.2.2.1.2. 아랍 사회주의 국가[편집]
- 나세르주의 국가
- 이집트: 아랍 사회주의 연합
- 바트주의 국가
- 기타
- 예멘 아랍 공화국(북예멘): 전국인민회의[2]
3.2.2.1.3. 기타[편집]
- 튀르키예: 공화인민당(1923~1946)[3]
-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 세이셸: 세이셸 인민연합당
3.2.2.2. 파시즘 국가[편집]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이탈리아 왕국: 국가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공화 파시스트당
- 나치 독일: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일본 제국: 대정익찬회
- 만주국: 만주국 협화회
- 스페인국: 팔랑헤
- 헝가리 왕국(살러시 페렌츠 정권): 화살십자당
3.2.2.3. 기타[편집]
- 중화민국: 중국 국민당(1928~1990)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독립당(1940~1945)
- 대한민국 제5공화국: 민주정의당(1981~1985)
-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국민민주당
-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1] 법적 영토의 극히 일부만을 실효지배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토를 모로코에 강탈당한 상태라서, 일당독재 정당이라기 보다는 독립운동 단체로 보는 시각이 많다.[2] 공산주의 국가인 남예멘과 대립해서 자본주의 국가인줄 아는 사람이 많지만, 자본주의도 공산주의도 아닌 아랍 사회주의를 추구했으며, 건국 직후부터 남예멘 건국 이전까지는 소련의 지원을 받기까지 했다.[3] 공화인민당 일당제 시기의 튀르키예는 사회주의적 계획경제 정책을 추진하고, 사회문화적으로도 이슬람권 기준으로는 좌파 이념인 세속주의, 정교분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국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