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2. 관련 사상 및 이론3. 사례
3.1. 현재
3.1.1. UN 회원국3.1.2. 미승인국
3.2. 과거
3.2.1. 18~19세기3.2.2. 20세기 이후
3.2.2.1. 사회주의 국가
3.2.2.1.1. 공산권3.2.2.1.2. 아랍 사회주의 국가3.2.2.1.3. 기타
3.2.2.2. 파시즘 국가3.2.2.3. 기타

1. 개요[편집]

일당제는 법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1개의 정당만이 선거 참여 및 집권이 가능한 체제를 말한다.

엄밀이 말하자면 문자 그대로 1개 정당만이 합법인 경우만이 해당된다 할 수 있지만, 집권여당 이외의 정당이 존재하더라도 선거에 독자적으로 공천하여 여당과 경쟁하는 게 아니라 한몸처럼 움직이는 관제야당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당제라 보는 게 대부분이다.

이와 달리 1개 정당이 장기집권 중이라도 여당과 따로 공천하는 야당이 선거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경쟁 자체는 보장되는 경우에는 일당우위제로 분류된다.

2. 관련 사상 및 이론[편집]

  • 레닌주의: 전위대 체계론(전위당 이론)
    • 마르크스-레닌주의
      • 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사상(마오주의)
        • 호자주의
        • 주체사상
      • 티토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파시즘
    • 나치즘: 지도자 원리
    • 팔랑헤주의
  • 아랍 사회주의
    • 나세르주의
    • 바트주의

3. 사례[편집]

3.1. 현재[편집]

3.1.1. UN 회원국[편집]

3.1.2. 미승인국[편집]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서사하라): 폴리사리오 전선[1]

3.2. 과거[편집]

3.2.1. 18~19세기[편집]

  • 프랑스 제1공화국: 클뢰브 데 자코뱅(1793~1794)

3.2.2. 20세기 이후[편집]

3.2.2.1. 사회주의 국가[편집]
3.2.2.1.1. 공산권[편집]
  • 러시아 혁명~냉전
  • 전간기~2차 대전
    • 아시아
      • 투바 인민 공화국(탄누 투바): 투바 인민혁명당
      •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국 공산당
    • 유럽
      • 핀란드
        •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적핀란드): 핀란드 사회민주당
        • 핀란드 민주 공화국: 핀란드 공산당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헝가리 공산당
  • 냉전
    • 아시아
      • 캄보디아
        • 민주 캄푸치아: 캄푸치아 공산당
        •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캄푸치아 인민혁명당
      • 남예멘: 예멘 사회당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유럽
      •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 폴란드 인민 공화국: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 헝가리 인민 공화국: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불가리아 공산당
      • 루마니아: 루마니아 공산당
      • 알바니아: 알바니아 노동당
    • 아프리카
      • 기니비사우: 기니-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말라가시 혁명당
      • 모잠비크: 모잠비크 해방전선
      • 상투메 프린시페: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
      •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 소말리 혁명사회당
      • 베냉 인민 공화국: 베냉 인민혁명당
      • 앙골라 인민 공화국: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노동자당
      •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
    • 아메리카
      • 그레나다 인민혁명정부: 신보석운동
3.2.2.1.2. 아랍 사회주의 국가[편집]
3.2.2.1.3. 기타[편집]
  • 튀르키예: 공화인민당(1923~1946)[3]
  •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 세이셸: 세이셸 인민연합당
3.2.2.2. 파시즘 국가[편집]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이탈리아 왕국: 국가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공화 파시스트당
  • 나치 독일: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일본 제국: 대정익찬회
    • 만주국: 만주국 협화회
  • 스페인국: 팔랑헤
  • 헝가리 왕국(살러시 페렌츠 정권): 화살십자당
3.2.2.3. 기타[편집]
  • 중화민국: 중국 국민당(1928~1990)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독립당(1940~1945)
    • 대한민국 제5공화국: 민주정의당(1981~1985)
  •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국민민주당
  •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1] 법적 영토의 극히 일부만을 실효지배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토를 모로코에 강탈당한 상태라서, 일당독재 정당이라기 보다는 독립운동 단체로 보는 시각이 많다.[2] 공산주의 국가인 남예멘과 대립해서 자본주의 국가인줄 아는 사람이 많지만, 자본주의도 공산주의도 아닌 아랍 사회주의를 추구했으며, 건국 직후부터 남예멘 건국 이전까지는 소련의 지원을 받기까지 했다.[3] 공화인민당 일당제 시기의 튀르키예는 사회주의적 계획경제 정책을 추진하고, 사회문화적으로도 이슬람권 기준으로는 좌파 이념인 세속주의, 정교분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국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