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2. 정의
2.1. 대한민국 정당법상의 정의2.2. 해외
3. 정당제
3.1. 관련 이론
4. 세계 각국에서 널리 쓰이는 당명 (가나다 순)5. 관련 조직

1. 개요[편집]

정권을 획득하여 정치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활동하는 결사체로, 구체적인 정의는 국가 및 사상에 따라 다르다.

2. 정의[편집]

2.1. 대한민국 정당법상의 정의[편집]

“정당”이라 함은 국민의 이익을 위하여 책임있는 정치적 주장이나 정책을 추진하고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추천 또는 지지함으로써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의 자발적 조직을 말한다.[1]

2.2. 해외[편집]

3. 정당제[편집]

3.1. 관련 이론[편집]

  • 뒤베르제의 법칙
  • 중위 투표자 정리
  • 사표론

4. 세계 각국에서 널리 쓰이는 당명 (가나다 순)[편집]

  • 개혁당(Reform party/Reformist Pary)
  • 공산당(Communist Party)
  • 국민당(National Party/Nationalist Party)
  • 기독당(Christian Party)
  • 기독교민주당(Christian Democratic Party)
  • 노동당(Labour Party[2]/Labor Party[3])
  • 노동자당(Workers' Party)[4]
  • 녹색당(Green Party)
  • 민주당(Democratic Party)
  • 민주사회당(Democratic Socialist Party)
  • 보수당(Conservative Party)
  • 사회당(Socialist Party)
  • 사회민주당(Social Democratic Party)
  • 신당(New Party)
  • 인민당(People's Party[5]/Populist Party)
  • 자유당(Liberal Party/Freedom Party)
  •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ic Party)
  • 자유지상당(Libertarian Party)[6]
  • 전진당(Progress Party)[7]
  • 좌파당(Left Party)
  • 진보당(Progressive Party)
  • 해적당(Pirates Party)

이외에도 연합, 동맹, 운동 등의 단어를 집어넣은 무수히 많은 변형 당명이 존재한다.

5. 관련 조직[편집]

[1] 정당법 1장 2조(정의)[2] 영국식 영어.[3] 미국식 영어.[4] 조선로동당의 영문표기는 위의 노동당처럼 Labour/Labor Party가 아니라 Workers' Party of Korea라서 주의가 필요하다.[5] 한국에서는 국민당 또는 국민의당의 영문 표기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6] 한국에서는 자유당으로 의역하기도 하는데, Liberal Party나 Freedom Party가 없거나 존재감이 미미한 나라의 자유지상당을 그렇게 번역하는 건 큰 문제가 없지만, 이미 Liberal 또는 Freedom Party라 칭하는 주요 정당이 있는 자유지상당을 자유당으로 번역하는 건 혼동의 여지가 크다.[7] 진보당으로 의역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