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프리머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없어진 시네마에 대한 내용은 프리머스시네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화이바 구 심볼.png 한국화이바(현 KGM커머셜)의 준대형 저상버스 라인업
초대
프리머스
파일:한국화이바 구 로고.svg
파일:한국화이바 프리머스.jpg
PRIMUS

1. 개요2. 상세
2.1. 1세대 (2009 ~ 2014)2.2. 2세대 (2014 ~ 2021)
3. 구매 업체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한국화이바 차량사업부(현 KGM커머셜)에서 만들었던 저상버스.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연금리의 공장에서 생산했다.[1]

2. 상세[편집]

2.1. 1세대 (2009 ~ 2014)[편집]

파일:in537-pmr.png
파일:537뒤.jpg
전측면(인천 성원운수 소속)
후측면(인천 성원운수 소속)
PRIMUS
생산지
차량형태
2도어 준대형버스
승차인원
23 ~ 49명
전장
11,055mm
전폭
2,485mm
전고
3,265mm
축거
5,400mm
윤거(전)
2,115mm
윤거(후)
1,855mm
공차중량
10,720kg
타이어 크기
275/70R22.5
구동방식
전륜 현가장치
후륜 현가장치
와이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후륜 제동장치
파워트레인
엔진
엔진 형식
과급방식
배기량
최고출력
최고토크
변속기
11.1L 직렬 6기통
싱글터보
11,051cc
290ps
115kg·m

2005년에 국토교통부는 당시 105억 원을 출자해 한국화이바 차량사업부에 대한민국형 저상버스 사업을 맡겼다. 2008년까지 총 3년에 걸쳐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2008년 5월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아이랑(i-rang)" 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공개되었다. 당시 공개 차량은 현대 저상버스의 차대를 이용하였으며, 운전석도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동일했다.

본격적으로 양산하고 판매하는 데 1년이 걸렸다.

하지만 초창기에는 판매 실적이 영 좋지 않아 한국화이바에서도 본래 함양공장에서 본격 양산할 계획을 연기하고 밀양의 임시 라인에서 생산했다.

엔진과 섀시를 제외하면 모두 한국화이바 차량사업부에서 자체 생산한 유리섬유 복합소재(FRP)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가벼운 무게로 인한 연비 향상으로 친환경 버스의 컨셉에 부합한다. 또한, 충격 강성도 높다.

하지만 FRP의 채용으로 인한 단점이 매우 치명적인데, 타사 금속제 차량은 사고가 나서 프레임이 손상되었을 시 조금씩 펴주고 많이 찌그러진 부분만 갈아 주면 그만이지만, FRP 프레임은 깨진다. 게다가 이 차는 프레임 부품 대부분이 일체형이다! 따라서 신소재인 것과 더불어서 수리비가 왕창 깨진다. 게다가 추락 사고에도 취약하다고 한다. 또한, 디자인이 상당히 남다른데, 이는 기존 버스 제조사(현대자동차, 자일대우버스)의 박스카(사각형 버스)란 틀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크게 개선되었다. 디자인 때문에 땅콩버스라는 별명이 붙었다.[3] 그러나 이 좁은 좌석배치가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한다.[4]

문 구조는 홍콩, 싱가포르, 영국의 버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앞문 글라이딩도어, 뒷문 플러그인 도어이다. 하지만 마이너스 옵션으로서 뒷문도 글라이딩을 달 수도 있다.

자동변속기앨리슨ZF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현대차량처럼 둘 다 대쉬보드 좌측에 가로로 배치했다. 그러나 후속인 화이버드는 앨리슨 자동변속기 적용시 세로로 심하게 돌출된다. e-프리머스에는 두 회사가 아닌 다른 회사의 자동변속기 유닛이 물리는 듯하다.

참고로 전기 모델인 e-프리머스의 경우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전기버스로, "한국표준형저상버스"로서 개발된 역사적인 버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초기형은 전륜에 독립현가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중에는 여타 저상버스와 마찬가지로 일체형 차축으로 변경되었다.

디젤 모델은 원천적으로 선택이 불가능하며, 이는 에디슨 화이버드, 에디슨 스마트 110도 마찬가지다.

2014년 화이버드로 풀체인지 되면서 단종되었다.

2.2. 2세대 (2014 ~ 2021)[편집]

파일:6516_9537.png
파일:IMG_9493.jpg
FIBIRD(서울 양천운수 소속)
E-FIBIRD(제주 서귀포운수 소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디슨 화이버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구매 업체[편집]

최초로 출고된 모델은 천연가스버스 모델이며, 청주시동일운수가 최초로 구입해 갔으며, 충청북도 시내버스에서는 동일운수가 유일하게 구입하고 2020년 11월 초에 모두 대차되었다.[5] 이후 파주 신일여객에서 수도권 최초로 구매했다. 이외에도 부천 청우운수에서도 프리머스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였으며, 남산순환버스[6]에는 전기버스 모델인 e-프리머스를 생산해 2010년 말부터 운행 중이다. 이는 세계 최초의 전기버스 상용화 사례다. 남산 종점에 전기버스 충전소가 있어서 운행하기에 불편하지 않으나 잦은 고장으로 1대를 제외한 나머지 e-프리머스는 면목4동 차고지에 휴차되었고, 이마저도 전 차량 2017년 11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교체되었다. 다만, 당시 구매할 때 100% 전기차가 아닌 일부 천연가스버스도 있었고, 그 천연가스버스는 현재 2230번으로 이동하여 운행하다가 스마트 110으로 대차되었다.[7]

2010년부터 양주시양주교통에서 71번과 82번에서 시범적으로 운행하였으며 과거 82번과 83번 73-3번에서 주력으로 운행했었다. 하지만 프리머스의 잔고장 및 부품 수급 문제 때문에 2013년 이후로는 출고하지 않게 되었고 2020년 현재 3대는 말소되고 1대는 고상 NSAC F/L, 4대는 초저상 NSAC F/L로 대차되었다.

2012년 2월에 경주시새천년미소에서 3대를 구매했다. 그런데 이전의 저상버스 투입 노선인 40번과 41번이 아닌, 중간에 불국사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경주시 순환노선인 10번과 11번에 투입되었다. 경주 시내버스 최초로 전면, 측면 LED 전광판을 사용하며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와 비슷한 형식을 사용 중이다.[8] 10번과 11번에 투입한 프리머스가 제법 괜찮았는지 2013년 3월에 1대, 6월에 3대를 더 구매해서 3대는 또 다른 순환노선인 50번에서, 1대는 51번에서 운행했다. 2024년 4월 전멸되었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 및 지선버스 최초로 보성운수에서 5618번 노선에 2대를 투입했다. 그리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2번째 및 간선버스 최초로 양천운수에서 602번의 교체분으로 프리머스를 투입했다. 이후 양천운수화이버드도 구입했다.

독립기념관에서는 독립기념관 구내 순환버스[9]로 프리머스를 선정하여 운행했었다. 현재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운행을 하지 않고 방치중이다.[10] 독립기념관의 프리머스는 뒷문이 글라이딩식이 아닌 플러그인 슬라이딩 도어다.

인천광역시에서는 동암역 1번 출구, 간석오거리역, 인천논현역 등에서 이 버스가 지선버스 도색을 하고 537번으로 굴러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처음 보는 버스 동호인들은 충공깽이었다.

대구에서는 프리머스를 시내버스용으로 출고한 회사가 아예 없다. 대신 현대교통에서 프리머스의 후속 모델인 화이버드를 2014년 10월에 첫 도입했다. 이후 세한여객영진교통에서도 화이버드를 도입했으며, 한 술 더 떠서 영진교통은 화이버드와 비슷하게 페이스리프트한 스마트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부산에서도 프리머스를 출고한 시내버스 업체는 없으나, 부산진구 복지관 교통약자 전용버스와 김해공항 셔틀버스로 운행한 바 있다. 이후 오성여객시민여객이 단순 플러그인식 전기버스 버전인 E-화이버드를 도입했다.[11]

2014년 들어 중간문이 플러그인 슬라이딩 도어가 아닌 표준저상처럼 글라이딩 도어를 달고 나온 프리머스 차량들이 있다. 양천운수602번에 들어가는 프리머스도 글라이딩식이다.

2014년 3월 25일부터 무선충전식 e-프리머스가 구미시 시내버스에서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 모델이 사실상 마지막으로 나온 프리머스 모델이 되었다.[12] e-프리머스의 자동변속기는 D, N, R만 있는데, ZF앨리슨이 아닌 타 회사의 유닛인 듯. 사실 전기자동차는 기본적으로 변속기가 없기에, 이 차량도 변속기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경북 최초의 전기버스였으나, 잦은 잔고장으로 결국 2020년 7월[13]에 2대 모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차량으로[14] 조기 대차됐다. BS110 EV도 잔고장으로 2022년 4월을 끝으로 사라지면서 구미시에서는 한동안 전기버스를 볼 수 없게 되었다.[15]

구미같이 무선충전식 프리머스를 운용해 온 세종교통 역시 잔고장과 방전 문제 때문에, 불과 1년 만에 무선충전식 프리머스의 운용을 중단하고 조기 대차되었다.[16]

포항에서는 배터리 교환식 전기버스로 운행중이었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북구 환호공원 주차장에 방치중이다.[17]

진주시민버스에서 앨리슨 프리머스를 굴리다가 잦은 고장이 생겼고, 이게 심각해져서 리콜 수준에 이르자 TGM에서 2016년 2월에 진주에서 보기 드물게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화이버드로 보상 판매해 줬다.[18][19]

인천광역시에서는 시영운수가 프리머스를 도입했는데, 이를 계기로 시영운수는 화이바-TGM-에디슨빠로 전향했었다. 가좌동차고지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한국화이바가 제작한 프리머스의 중정비급 A/S 센터가 있고, 에디슨모터스 기술진들이 상주할 정도라고 한다.

백성운수와 계열사인 평택여객에서도 천연가스버스 모델을 도입했는데, 백성운수에서는 주력 노선인 70번에 굴리다가 37번으로 이동시켰다가 2016년에 모든 차가 NSAC F/L로 대차되었다. 계열사 평택여객80번에서 총 4대가 굴리다가 한대는 700번에서 운행하다 대차되었고, 2대는 2017년 7월에 NSAC F/L로 대차되었다.

경기 화성시 영천동 222 카카오지도 경기 화성시 영천동 222 네이버 지도 기흥동탄IC 인근 공사장에 03번 출신 e-프리머스 버스 1대가 현재도 방치되어있다. 차체 앞부분이 뜯겨져 있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덕동공영차고지에는 프리머스 3대가 방치 중였다가 지금은 폐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광역시에선 간선버스 11번, 15번, 26번, 28번지선버스 537번에서 주력차량으로 운행했었다.

한편 양천운수는 6516번, 6623번과 6627번, 6714번에도 프리머스를 투입했다. 602번에 전기버스가 다량으로 투입되어 6516, 6623, 6627, 6714번으로 이적하였다.

강릉시에는 녹색도시체험센터에 2013년식 e-프리머스가 있었으나 잦은고장으로 방치되어 있다.관련기사

경산시에 있는 모 식당에 시제차로 추정되는 프리머스 1대가 있다.[20] #

프리머스 1호차의 행방은 현재 폐차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주시 법원읍 신일여객 갈곡리 차고지에 프리머스 2대가 방치되어있다가 결국 2022년 말에 폐차되었다.

2024년 5월 하순, 인천시의 세운교통 차량들이 모두 대차되면서 서울 양천운수가 전국 마지막 보유 업체가 되었다.

에디슨모터스 함양공장에 14대가 방치중이다.

4. 기타[편집]

파일:피넛2.png
꼬마버스 타요에 등장하는 버스들 중 피넛의 모델이다.

5. 둘러보기[편집]

[1] 한국화이바의 본사는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용지리와 내이동에 걸쳐져 있다. 상남공장은 임시 생산라인으로 프리머스를 소수 생산했다. 2014년 7월 23일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에 버스 생산라인을 마련하고 이전했다.[2] 초기형 한정[3] 이후 화이버드하고 스마트 110으로 넘어가면서 전면과 후면이 여타 차종처럼 직각이 되었지만 그 가운데서도 땅콩 디자인의 루프 라인만큼은 유지하였다.[4] 후속 모델에서는 이 부분을 개선하면서 로우 엔트리 방식 초저상버스가 되었다.[5] 동일운수가 프리머스에 데여서 청주시 시내버스에서 에디슨모터스화이버드, 스마트를 출고할 가능성이 없다.[6] 북부운수 소유. 덕분에 북부운수의 자일대우버스 원메이크가 깨졌다.[7] 3대 존재하였으며, 2대는 상용, 1대는 예비차였다.[8] 보는 사람에 따라 부산식 LED를 기반으로 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9] 물론 유료다.[10] 그리고 이 차량 옆에 한국화이바 마크를 붙인 서비스카도 주차되어 있다.[11] 현대자동차의 출고 지연이 극심한 시기라, 오성여객은 노후차량 교체를 위해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도 도입했다.[12] 그리고 180번 문서에 보면 사이드마커가 달려 있다. 화이버드로 넘어가는 과정의 과도기형 모델인 듯.[13] 비슷한 시기에는 포항시 시내버스경북 최초의 플러그인식 전기버스가 들어왔다.[14] 구미버스는 고상형, 일선교통은 저상형으로 대차했다.[15] 2024년 5월에 일선교통에서 경상북도 최초로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도입하면서 약 1년만에 구미에서 전기버스가 다시 다니게 되었다.[16] 여담으로 세종교통에서 굴린 무선충전식 프리머스는 구미시 시내버스에서 도입한 프리머스 3대 중 차고지에 예비차로 방치되어 있던 1대를 그대로 인수해서 가지고 온 것이었다. 그래서 운용 초기에는 도색도 구미시 시내버스 도색 그대로 운용했다가 이후 자체 도색으로 운용했다.[17] 주로 노인복지관 셔틀버스로 운행했었다.[18] 진주와 창원은 거의 앨리슨이다. 남부 지방에서는 PK(울산 제외) 지역의 경우 앨리슨이 대다수며, 대구광역시ZF가 조금 더 많다. 물론 똑같은 남부 지역이어도 호남권에서 앨리슨은 드물다.[19] 그리고 이 리콜된 프리머스들은 2017년 1월 현재 러시아 하바롭스크로 수출되어 진주시민버스 도색, 혹은 경기 G-BUS도색을 바탕으로, 한글데칼을 그대로 달고 안내방송과 전광판이 러시아어로 패치된 후 23번 노선을 달리고 있다.[20] 남산면 설총로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