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和音 / chord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함께 울릴 때 어울리는 소리. 협화나 불협화, 혹은 둘 다를 포함한다.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함께 울릴 때 어울리는 소리. 협화나 불협화, 혹은 둘 다를 포함한다.
2. 종류[편집]
2.1. 3화음[편집]
- 장3화음(major triad)
근음과 3음이 장3도, 근음과 5음이 완전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1], X△로 표기한다. - 단3화음(minor triad)
근음과 3음이 단3도, 근음과 5음이 완전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m, X-로 표기한다. - 감3화음(diminished triad)
근음과 3음이 단3도, 근음과 5음이 감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dim, X°로 표기한다. - 증3화음(augmented triad)
근음과 3음이 장3도, 근음과 5음이 증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aug, X+로 표기한다.
2.2. 7화음[편집]
七和音 / seventh chord
삼화음에 근음과 7도를 이루는 음(7음)을 쌓아서 네 소리로 된 화음.
삼화음에 근음과 7도를 이루는 음(7음)을 쌓아서 네 소리로 된 화음.
- 속7화음(dominant seventh chord)[2]
장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장단7화음(major minor seventh chord)이라고도 한다. 코드 기호로는 X7으로 표기한다. - 장7화음(major seventh chord)
장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 Xmaj7, X△7으로 표기한다. - 단7화음(minor seventh chord)
단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 X-7으로 표기한다. - 단장7화음(minor major seventh chord)
단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M7, X-(△7)으로 표기한다. - 감7화음(diminished seventh chord)
감3화음에 근음과 감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dim7, X°7으로 표기한다. - 반감7화음(half-diminished seventh chord)
감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5), Xm7(-5), Xø7으로 표기한다. - 감장7화음(diminished major seventh chord)
감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dimM7, XdimMaj7, X°(△7)으로 표기한다. - 증장7화음(augmented major seventh chord)
증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5), XM7(+5), Xmaj7(#5), Xmaj7(+5), X+(△7)으로 표기한다. - 증7화음(augmented seventh chord)
증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aug, X7(#5), X7(+5), X+7으로 표기한다.
2.2.1. sixth chord[3][편집]
3화음에 6도 음정의 음을 쌓은 화음. 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를 띤다.
- major sixth chord
장3화음에 최저음과 장6도인 음을 쌓은 형태. 단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다. 코드 기호로는 X6로 표기한다. - minor sixth chord
단3화음에 최저음과 장6도인 음을 쌓은 형태. 반감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다. 코드 기호로는 Xm6로 표기한다. - minor flat sixth chord
단3화음에 최저음과 단6도인 음을 쌓운 형태. 장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다. 코드 기호로는 Xm♭6로 표기한다.
2.3. 9화음, 11화음, 13화음[편집]
- 9화음(ninth chord)
7화음에 근음과 9도를 이루는 음(9음)을 쌓은 화음. 이때 9음은 옥타브를 줄여 근음과 2도를 이루지 않는다.- dominant ninth chord
속7화음에 근음과 9도(장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9으로 표기한다. - dominant minor ninth chord
속7화음에 근음과 9도(단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7♭9으로 표기한다. - major ninth chord
장7화음에 근음과 9도(장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maj9으로 표기한다. - minor ninth chord
단7화음에 근음과 9도(장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m9으로 표기한다.
- 11화음(eleventh chord)
9화음에 근음과 11도를 이루는 음(11음)을 쌓은 화음. 이때 11음은 옥타브를 줄여 근음과 4도를 이루지 않는다.- dominant eleventh chord
dominant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완전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11으로 표기한다. - dominant sharp eleventh chord
dominant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증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9#11으로 표기한다. - major eleventh chord
major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완전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maj11으로 표기한다. - major sharp eleventh chord
major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증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maj9#11으로 표기한다. - minor eleventh chord
minor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완전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m11으로 표기한다.
- 13화음(thirteenth chord)
11화음에 근음과 13도를 이루는 음(13음)을 쌓은 화음. 이때 13음은 옥타브를 줄여 근음과 6도를 이루지 않는다.- dominant thirteenth chord
dominant eleventh chord에 근음과 13도(장6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일곱 화성음이 모두 쓰이기 보다는 근음, 3음, 7음, 13음 위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Xmaj13#11
major sharp eleventh chord에 근음과 13도(장6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재즈에서 자주 쓰인다.
2.4. add, sus[편집]
어떤 코드에 최저음과 일정한 음정을 이루는 텐션 노트를 더할 수 있다. 이때, (장/완전 음정 기준)기존 코드 기호 뒤에 addn(n은 음정 도수)을 붙인다.
어떤 코드에 최저음과 3도를 이루는 음 대신 완전4도, 장2도를 이루는 음이 쓰일 수 있다. 각각 기존 코드 기호 뒤에 sus4, sus2를 붙인다.
어떤 코드에 최저음과 3도를 이루는 음 대신 완전4도, 장2도를 이루는 음이 쓰일 수 있다. 각각 기존 코드 기호 뒤에 sus4, sus2를 붙인다.
2.5. 분수 코드[편집]
분수 코드는 최저음을 변화시킨 코드다. 분모는 최저음, 분자는 코드다.
자리바꿈 화음을 나타낼 때 쓰인다. 화음의 최저음에 근음이 오지 않을 수 있다. 최저음에 근음이 올 때를 기본위치, 3음이 올 때를 첫째 자리바꿈(6화음[4]), 5음이 올 때를 둘째 자리바꿈(화음), (7화음에서) 7음이 올 때를 셋째 자리바꿈이라 한다. 이러한 자리바꿈 화음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경우다. 예를 들어 C의 첫째 자리바꿈을 C/E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외에 하이브리드 코드를 나타낼 때도 쓰인다.
자리바꿈 화음을 나타낼 때 쓰인다. 화음의 최저음에 근음이 오지 않을 수 있다. 최저음에 근음이 올 때를 기본위치, 3음이 올 때를 첫째 자리바꿈(6화음[4]), 5음이 올 때를 둘째 자리바꿈(화음), (7화음에서) 7음이 올 때를 셋째 자리바꿈이라 한다. 이러한 자리바꿈 화음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경우다. 예를 들어 C의 첫째 자리바꿈을 C/E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외에 하이브리드 코드를 나타낼 때도 쓰인다.
3. 화성학에서[편집]
코드로 볼 때 같은 종류의 화음이라 할지라도 화성[5]의 맥락에 따라 그 역할이 다르다.
3.1. 온음계적 화음[편집]
장/단음계에서 음계음을 구성음으로 하는 화음.
3.1.1. 주요3화음과 버금3화음[편집]
온음계적 화음 중 으뜸음을 근음으로 하는 3화음을 으뜸화음, 버금딸림음을 근음으로 하는 3화음을 버금딸림화음, 딸림음을 근음으로 하는 3화음을 딸림화음이라 한다. 이 셋을 주요3화음이라고 한다. 주요3화음을 제외한 온음계적 3화음을 버금3화음이라 한다.
화음 명칭 | 근음 | 화성기호 |
으뜸화음 | 으뜸음 | 장조: I, 단조: i |
위으뜸화음 | 위으뜸음 | 장조: ii, 단조: ii° |
가온화음 | 가온음 | 장조: iii, 단조: III+[화] |
버금딸림화음 | 버금딸림음 | 장조: IV, 단조: iv |
딸림화음 | 딸림음 | 장조: V, 단조: V[화] |
버금가온화음 | 버금가온음 | 장조:vi, 단조: VI |
이끎화음 | 이끎음 | 장조: vii°, 단조: vii°[화] |
화성기호로는 제1음부터 제7음까지를 근음으로 하는 이 3화음들을 로마숫자로 1~7로 나타내고 장3화음의 경우 대문자, 단3화음의 경우 소문자로 표기한다. 증3화음의 경우 대문자 뒤에 +를 붙이고 감3화음의 경우 소문자 뒤에 °를 붙인다.
자리바꿈 화음의 경우 첫째 자리바꿈은 뒤에 6을, 둘째 자리바꿈은 뒤에 를 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