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종류
2.1. 3화음2.2. 7화음
2.2.1. sixth chord
2.3. 9화음, 11화음, 13화음2.4. add, sus2.5. 분수 코드
3. 화성학에서
3.1. 온음계적 화음
3.1.1. 주요3화음과 버금3화음3.1.2. 속7화음과 버금7화음3.1.3. 속9화음, 속11화음, 속13화음
3.2. 변화화음
3.2.1. 네아폴리탄 6화음3.2.2. 변성화음3.2.3. 부속화음3.2.4. 증6화음3.2.5. 증속화음

1. 개요[편집]

和音 / chord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함께 울릴 때 어울리는 소리. 협화나 불협화, 혹은 둘 다를 포함한다.

2. 종류[편집]

2.1. 3화음[편집]

三和音 / triad
어떤 음을 근음으로 하여 그 위에 3도와 5도의 음정을 가진 음(3음, 5음)을 겹쳐서 만든 화음.
음정 관계에 따라 네 종류로 나뉜다.
  • 장3화음(major triad)
    근음과 3음이 장3도, 근음과 5음이 완전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1], X로 표기한다.
  • 단3화음(minor triad)
    근음과 3음이 단3도, 근음과 5음이 완전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m, X-로 표기한다.
  • 감3화음(diminished triad)
    근음과 3음이 단3도, 근음과 5음이 감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dim, X°로 표기한다.
  • 증3화음(augmented triad)
    근음과 3음이 장3도, 근음과 5음이 증5도를 이룬다. 코드 기호로는 Xaug, X+로 표기한다.

2.2. 7화음[편집]

七和音 / seventh chord
삼화음에 근음과 7도를 이루는 음(7음)을 쌓아서 네 소리로 된 화음.
  • 속7화음(dominant seventh chord)[2]
    장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장단7화음(major minor seventh chord)이라고도 한다. 코드 기호로는 X7으로 표기한다.
  • 장7화음(major seventh chord)
    장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 Xmaj7, X7으로 표기한다.
  • 단7화음(minor seventh chord)
    단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 X-7으로 표기한다.
  • 단장7화음(minor major seventh chord)
    단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M7, X-(△7)으로 표기한다.
  • 감7화음(diminished seventh chord)
    감3화음에 근음과 감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dim7, X°7으로 표기한다.
  • 반감7화음(half-diminished seventh chord)
    감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5), Xm7(-5), Xø7으로 표기한다.
  • 감장7화음(diminished major seventh chord)
    감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dimM7, XdimMaj7, X°(△7)으로 표기한다.
  • 증장7화음(augmented major seventh chord)
    증3화음에 근음과 장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M7(#5), XM7(+5), Xmaj7(#5), Xmaj7(+5), X+(△7)으로 표기한다.
  • 증7화음(augmented seventh chord)
    증3화음에 근음과 단7도인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는 Xaug, X7(#5), X7(+5), X+7으로 표기한다.

2.2.1. sixth chord[3][편집]

3화음에 6도 음정의 음을 쌓은 화음. 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를 띤다.
  • major sixth chord
    장3화음에 최저음과 장6도인 음을 쌓은 형태. 단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다. 코드 기호로는 X6로 표기한다.
  • minor sixth chord
    단3화음에 최저음과 장6도인 음을 쌓은 형태. 반감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다. 코드 기호로는 Xm6로 표기한다.
  • minor flat sixth chord
    단3화음에 최저음과 단6도인 음을 쌓운 형태. 장7화음의 첫째 자리바꿈과 같은 형태다. 코드 기호로는 Xm♭6로 표기한다.

2.3. 9화음, 11화음, 13화음[편집]

  • 9화음(ninth chord)
    7화음에 근음과 9도를 이루는 음(9음)을 쌓은 화음. 이때 9음은 옥타브를 줄여 근음과 2도를 이루지 않는다.
    • dominant ninth chord
      속7화음에 근음과 9도(장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9으로 표기한다.
    • dominant minor ninth chord
      속7화음에 근음과 9도(단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7♭9으로 표기한다.
    • major ninth chord
      장7화음에 근음과 9도(장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maj9으로 표기한다.
    • minor ninth chord
      단7화음에 근음과 9도(장2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형태. 코드 기호로 Xm9으로 표기한다.
  • 11화음(eleventh chord)
    9화음에 근음과 11도를 이루는 음(11음)을 쌓은 화음. 이때 11음은 옥타브를 줄여 근음과 4도를 이루지 않는다.
    • dominant eleventh chord
      dominant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완전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11으로 표기한다.
    • dominant sharp eleventh chord
      dominant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증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9#11으로 표기한다.
    • major eleventh chord
      major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완전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maj11으로 표기한다.
    • major sharp eleventh chord
      major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증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maj9#11으로 표기한다.
    • minor eleventh chord
      minor ninth chord에 근음과 11도(완전4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화음 기호로 Xm11으로 표기한다.
  • 13화음(thirteenth chord)
    11화음에 근음과 13도를 이루는 음(13음)을 쌓은 화음. 이때 13음은 옥타브를 줄여 근음과 6도를 이루지 않는다.
    • dominant thirteenth chord
      dominant eleventh chord에 근음과 13도(장6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일곱 화성음이 모두 쓰이기 보다는 근음, 3음, 7음, 13음 위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Xmaj13#11
      major sharp eleventh chord에 근음과 13도(장6도)를 이루는 음을 쌓은 화음. 재즈에서 자주 쓰인다.

2.4. add, sus[편집]

어떤 코드에 최저음과 일정한 음정을 이루는 텐션 노트를 더할 수 있다. 이때, (장/완전 음정 기준)기존 코드 기호 뒤에 addn(n은 음정 도수)을 붙인다.
어떤 코드에 최저음과 3도를 이루는 음 대신 완전4도, 장2도를 이루는 음이 쓰일 수 있다. 각각 기존 코드 기호 뒤에 sus4, sus2를 붙인다.

2.5. 분수 코드[편집]

분수 코드는 최저음을 변화시킨 코드다. 분모는 최저음, 분자는 코드다.
자리바꿈 화음을 나타낼 때 쓰인다. 화음의 최저음에 근음이 오지 않을 수 있다. 최저음에 근음이 올 때를 기본위치, 3음이 올 때를 첫째 자리바꿈(6화음[4]), 5음이 올 때를 둘째 자리바꿈(64\tiny\begin{matrix}6\\4\end{matrix}화음), (7화음에서) 7음이 올 때를 셋째 자리바꿈이라 한다. 이러한 자리바꿈 화음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경우다. 예를 들어 C의 첫째 자리바꿈을 C/E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외에 하이브리드 코드를 나타낼 때도 쓰인다.

3. 화성학에서[편집]

코드로 볼 때 같은 종류의 화음이라 할지라도 화성[5]의 맥락에 따라 그 역할이 다르다.

3.1. 온음계적 화음[편집]

장/단음계에서 음계음을 구성음으로 하는 화음.

3.1.1. 주요3화음과 버금3화음[편집]

온음계적 화음 중 으뜸음을 근음으로 하는 3화음을 으뜸화음, 버금딸림음을 근음으로 하는 3화음을 버금딸림화음, 딸림음을 근음으로 하는 3화음을 딸림화음이라 한다. 이 셋을 주요3화음이라고 한다. 주요3화음을 제외한 온음계적 3화음을 버금3화음이라 한다.
화음 명칭
근음
화성기호
으뜸화음
으뜸음
장조: I, 단조: i
위으뜸화음
위으뜸음
장조: ii, 단조: ii°
가온화음
가온음
장조: iii, 단조: III+[화]
버금딸림화음
버금딸림음
장조: IV, 단조: iv
딸림화음
딸림음
장조: V, 단조: V[화]
버금가온화음
버금가온음
장조:vi, 단조: VI
이끎화음
이끎음
장조: vii°, 단조: vii°[화]

화성기호로는 제1음부터 제7음까지를 근음으로 하는 이 3화음들을 로마숫자로 1~7로 나타내고 장3화음의 경우 대문자, 단3화음의 경우 소문자로 표기한다. 증3화음의 경우 대문자 뒤에 +를 붙이고 감3화음의 경우 소문자 뒤에 °를 붙인다.

자리바꿈 화음의 경우 첫째 자리바꿈은 뒤에 6을, 둘째 자리바꿈은 뒤에 64\tiny\begin{matrix}6\\4\end{matrix}를 붙인다.

3.1.2. 속7화음과 버금7화음[편집]

3.1.3. 속9화음, 속11화음, 속13화음[편집]

3.2. 변화화음[편집]

3.2.1. 네아폴리탄 6화음[편집]

3.2.2. 변성화음[편집]

3.2.3. 부속화음[편집]

3.2.4. 증6화음[편집]

3.2.5. 증속화음[편집]

[1] 근음[2] V7만을 가리키기도 한다.[3] 3화음의 첫째 자리바꿈울 뜻하는 6화음과 동음이의어다.[4] 3화음에 6도 음정을 더한 sixth chord와 동음이의어다.[5] 일정한 법칙에 따른 화음의 연결.[화] 6.1 6.2 6.3 화성단음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