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이름이 유사한 잠수성 바다오리에 대한 내용은 흰뺨오리 문서 참고하십시오.
흰뺨검둥오리 Anas zonorhyncha R. Swinhoe, 1866 | |||||||
어미와 새끼 | |||||||
분포 | |||||||
위 지도에서 주황색 | |||||||
분류 정보 | |||||||
계 | Animalia(동물계) | ||||||
문 | Chordata(척삭동물문) | ||||||
강 | Aves(조강) | ||||||
목 | Anseriformes(기러기목) | ||||||
과 | Anatidae(오리과) | ||||||
속 | Anas(오리속) | ||||||
종 | Zonorhyncha(흰뺨검둥오리) | ||||||
절멸 EX | 야생절멸 EW | 위급 CR | 위기 EN | 취약 VU | 취약근접 NT | 최소관심 LC | 평가불가 NE |
기타 지정 정보 | |||||||
기타 국가 지정 정보 |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포획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
1. 개요[편집]
흰뺨검둥오리는 오리속에 속하는 조류이다. 우리나라에선 겨울 철새나 텃새로서 흔히 관찰된다.
2. 분류[편집]
원래 A. zonorhyncha는 A. poecilorhyncha의 세 아종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A. poecilorhyncha의 전체 아종은 다음과 같았다.
- Anas poecilorhyncha poecilorhyncha : 인도 지역에서 거주하는 아종이자 흰뺨검둥오리의 대표아종이다. 편의상 인도흰뺨검둥오리로 서술.
- Anas poecilorhyncha haringtoni : 동남아 지여4의 아종. 학명은 이 아종을 학계에 최초로 보고한 허버트 H. 해링턴(Hebert H. Harington)에서 따왔다. 편의상 버마흰뺨검둥오리로 서술.
- Anas poecilorhyncha zonorhyncha : 동아시아 지역의 아종. 후술할 연구 결과로 인해 Anas zonorhyncha라는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편의상 동양흰뺨검둥오리로 서술.
1991년, 미국의 조류학자 Livezey, B. C.(1991)은 오리족(Anatini)에 속한 종을 계통 발생적으로 분류하면서 흰뺨검둥오리의 아종이었던 동양흰뺨검둥오리를 다른 두 아종과는 구별되는 계통으로 분류하였다. 홍콩과 남중국 지역에서의 현장 연구를 한 Leader P.J.(2006)도 동양흰뺨검둥오리와 버마흰뺨검둥오리가 서로 교미하지 않고, 교미 후에도 2세가 거의 발생하지 않던 점을 근거로 두 종을 다른 종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바탕으로 생물학계에서는 한국과 동아시아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양흰뺨검둥오리를 인도와 동남아의 흰뺨검둥오리와 다른 종으로 보고 있으나 국내 문헌에선 이런 사실을 잘 반영하고 있지 않다.
이 문서에서 이후 흰뺨검둥오리로 지칭되는 새는 A. zonorhyncha 한 종을 가리킨다.
3. 생김새[편집]
4. 생태[편집]
주로 아무르, 사할린 섬 남부, 시베리아, 만주, 북중국 지역에서 번식한 후 남중국, 대만,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겨울철새로 분류되었지만, 이후 우리나라에서 번식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현재는 텃새화하여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봄철 번식기에는 가족 단위로 움직인다. 이때는 낮에도 활발히 움직이며 저수지, 하천, 논, 강에서 수초,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둥지는 갈대나 창포 등이 우겨진 습지에 땅을 판 후, 그 안을 깃털이나 풀로 꾸며서 튼다. 알은 한 배에 7~12개를 낳고, 26일간 포란한다. 새끼는 알에서 나오자마자 어미의 보호 하에 바로 먹이를 찾아 둥지를 떠난다.
겨울철이 되면 새 여러 마리가 한데 모여 무리를 이룬다. 낮에는 호수, 저수지, 강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밤이 되면 인근 들판이나 밭으로 날아 올라 흩어진 낱알이나 벌레를 먹는다.
봄철 번식기에는 가족 단위로 움직인다. 이때는 낮에도 활발히 움직이며 저수지, 하천, 논, 강에서 수초,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둥지는 갈대나 창포 등이 우겨진 습지에 땅을 판 후, 그 안을 깃털이나 풀로 꾸며서 튼다. 알은 한 배에 7~12개를 낳고, 26일간 포란한다. 새끼는 알에서 나오자마자 어미의 보호 하에 바로 먹이를 찾아 둥지를 떠난다.
겨울철이 되면 새 여러 마리가 한데 모여 무리를 이룬다. 낮에는 호수, 저수지, 강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밤이 되면 인근 들판이나 밭으로 날아 올라 흩어진 낱알이나 벌레를 먹는다.
5. 기타[편집]
전북대학교 오리 영상 |
6. 참조 문헌[편집]
- Livezey, B. C. (1991). A Phylogene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ecent Dabbling Ducks (Tribe Anatini) Based on Comparative Morphology. The Auk, 108(3), 471–507. https://doi.org/10.2307/4088089
- Leader, P. J. (2006). Sympatric breeding of two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taxa in southern China. BULLETIN-BRITISH ORNITHOLOGISTS CLUB, 126(4),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