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

1. 개요[편집]

몰루카해 충돌대는 인도네시아의 몰루카해를 중심으로 형성된 지각 구조이며, 이 일대의 복잡한 지구조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고지질학자들이 설정한 구조 해석 개념이다.

이 충돌대는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두 해양판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해양 내 수렴대를 포함하고 있는 특이한 지질 구조로 간주된다. 몰루카해 충돌대의 중심은 몰루카해 분지이며, 이 분지는 남북으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두 주요 해판인 반다해판버드헤드판의 수렴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게 나타나는 양방향 해양판 섭입의 사례로, 몰루카 해판이 양쪽에서 동시에 섭입되며 소멸하고 있는 과정에 해당한다.

몰루카해 충돌대는 남북 방향으로는 필리핀해판오스트레일리아판, 그리고 주변의 미소판들과도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의 판 경계가 얼마나 역동적인지를 보여준다. 이 충돌대의 작용은 지각 변형, 지진 발생, 화산활동 등 다양한 지질 작용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인도네시아 동부의 조산 운동과 그 지각 구조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소중한 단서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