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이승만
李承晩 | Rhee Syng-man
파일:이승만.jpg
출생
1875년 3월 26일[1]
황해도 평산도호부 마산방 삼리 능안골[2]
(現 황해남도 봉천군 성기리[3])
사망
1965년 7월 19일 (향년 90세)
미국 하와이 주 호놀룰루 카운티 호놀룰루 시
카이무키 구 마우타네리아 요양원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이승만 대통령 묘소
재임기간
초대 대통령
1948년 7월 24일 ~ 1952년 8월 14일
제2대 대통령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제3대 대통령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6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본관
파일:전주 이씨 종문.svg전주 이씨(全州李氏)[5]
아명
승룡(承龍)
우남(雩南)[6]
학력
파일:배재학당.svg배재학당[7] (졸업)
파일:조지워싱턴대학교.webp조지 워싱턴 대학교 (철학 / 학사)
파일:하버드_로고.png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 석사)
파일:프린스턴대학교.svg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서울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파일:조지워싱턴대학교.webp조지 워싱턴 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파일:컬럼비아대학교.svg컬럼비아 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파일:사이공국제대학교.png사이공 국립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병역
해당사항 없음
종교
개신교 (감리회)
신체
170cm, 60kg, O형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
약칭
상훈
미육해군연합협회 감사장 (1947)
미육해군연합협회 금(金) 명예훈장 (1947)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 (1949)[8]
무궁화대훈장 (1949)
뉴욕시 공중봉사 공로 표창장 (1954)
뉴욕시 공중봉사 공로 표창메달
미국 금영자유훈장 (1955)
파일:이승만대통령초상화.webp
공식 초상화 (김인승 作, 1973)
1. 개요2. 긍정적 평가3. 부정적 평가4. 가족관계5. 저서 및 논문6. 선거이력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치인, 저술가,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1~3대 대통령이다. 원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과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라는 불멸의 타이틀을 거머줠 수 있었으나 그의 독재적인 정치에 4.19 혁명이 터지고 이로 인해 하야하면서 대한민국의 첫 번째 독재자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사실 임시정부 대통령조차 탄핵당한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우파 계열 인물, 단체들은 이승만을 높이 평가한다. 물론 비판의 시각도 적지 않지만.

2. 긍정적 평가[편집]

일제 통치 당시에는 무장 투쟁론, 자치론 등의 여러 독립 방법이 나돌았으나, 이승만은 당시 세계 강대국 간의 외교를 통해 안정적으로 독립을 유도했고, 이는 얄타, 카이로 회담 등을 통해서도 증명된다.

그는 또한 공산주의의 모순과 문제점들을 강하게 꼬집고 공산 국가들의 미래를 예언하기도 했으며, 실제로 공산주의 계열 국가들의 말로를 통해 이승만의 예언이 거짓이 아니었음이 또 한 번 증명됐다.

그리고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서 좌우 합작 운동 및 통일 선거가 소련의 방해와 북측 인물 등의 요소들로 인해 좌절되자, 남한 안에서라도 단독 선거를 주장하는 정읍 발언을 통해 선거를 주도하여 공산주의를 배격하는 데 성공했으며,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9]를 도입해, 오늘날 대한민국이 1950년대의 폐허에서 세계 경제 척도에서 상위권으로 속하는 일류 국가로 위상을 높이는 데 기반을 쌓았다. 물론 OECD 자살률 1위, 청년 실업, 주택 구입 비용 상승, 강력 범죄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더 심화되는 양극화 현상 등의 각종 사회 문제도 같이 대두됐지만.

6.25 전쟁 때 그는 능력이 있으면 친일 경력이 있다 해도 기용했으며, 이는 한반도의 완전한 공산화를 방지하는 데 일조하는 요소가 됐다.[10]

전쟁 중과 후에도 교육을 중시해, 어린 학생들이 의무 교육을 받게 하도록 법을 만들기도 했으며, 특히 전쟁 중에 상급 교육을 받은 인재들에 대해 징집을 하지 말라고 할 정도로 교육을 중시했다. 이 덕분에 전쟁 후 전후 복구가 수월했다고.

3. 부정적 평가[편집]

독립운동가였으나 6.25 전쟁 당시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라는 희대의 망언을 남겼다. 또한 이 당시 행보로 인하여 '런승만'이라는 밈까지 만들어지면서 비판받는다.

또한 반일주의적 행보와 별개로 친일파 청산에 소극적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친일파 청산 실패의 원인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그 외에도 스스로에 대한 우상화, 반공주의의 과도한 악용, 자유민주주의 억압, 제주 4.3 사건과 여수 순천 10.19 사건에 대한 과잉 진압과 학살, 6.25 전쟁 중의 민간인 학살 논란 등이 있다. 특히 해방 직후와 전쟁 시기 각종 사건에 대해 반공을 목적으로 강경 진압을 추구하였는데 이의 부정적 영향으로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역설적이게도, 이승만은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건립했는데, 그 사상으로 인해 자신이 하야하게 되는 황당한 결과가 발생했다. 대한민국 헌법에도 4.19 혁명이 언급되어 있다.[11]

4. 가족관계[편집]

계보
양녕대군 이제(讓寧大君李禔) → 장평도정 이흔(長平都正李訢) → 부림령 이순(富林令李順) → 수주정 이윤인(樹州正李允仁) → 이충당(李忠讜) → 이원약(李元約) → 이경조(李慶祚) → 이인후(李仁後) → 이경(李烱) → 이유원(李惟源) → 이징하(李徵夏) → 이오(李墺) → 이최권(李最權) → 이황(李璜) → 이창록(李昌祿) → 이경선(李敬善) → 이승만(李承晩)
  • 고조부: 이최권(李最權, 1756~1808)
  • 고조모: 연안 송씨(1757~癸酉년, 송희상(宋希祥)의 딸)
    • 증조부: 이황(李璜, 1784~1845)
    • 증조모: 남양 홍씨(1787~丁巳년, 홍치복(洪致復)의 딸)
  • 증조부: 이황(李璜, 1784~1845)
  • 증조모: 남양 홍씨(1787~丁巳년)
    • 조부: 이창록(李昌祿, 1811~1862)
    • 조모: 밀양 박씨(1817~1849, 박동욱(朴東郁)의 딸)
    • 조모: 제주 고씨(1833~?, 고인관(高仁寬)의 딸)
  • 조부: 이창록(李昌祿, 1811~1862)
  • 조모: 밀양 박씨(1817~1849)
    • 부: 이경선(李敬善, 1839~1913)
    • 모: 김말란(1833~1896, 김해 김씨, 김창은(金昌殷)의 딸)
  • 조모: 제주 고씨(1833~?)
  • 미상
    • 고모: 전주 이씨
    • 고모부: 김재석(金載錫)
    • 고모: 전주 이씨
    • 고모부: 한필수(韓必洙)
    • 고모: 전주 이씨
    • 고모부: 오인모(吳仁模)
  • 부: 이경선(李敬善, 1839~1913)
  • 모: 김말란(1833~1896)
    • 누나: 이태명
    • 매부: 우태명(단양 우씨)
    • 누나: 전주 이씨
    • 매부: 심원붕(청송 심씨)
    • 본인: 이승만[12]
    • 부인: 박승선(朴承善, 1875~1950?, 음죽 박씨, 박춘겸(朴春兼)의 딸)[13] - 이혼
    • 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Franziska Donner, 1900~1992, 루돌프 도너(Rudolf Donner)의 딸, 한국명: 이금순/이부란(李富蘭))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배우자[14]
  • 본인: 이승만
  • 부인: 박승선(朴承善, 1875~1950?)
    • 장남: 이봉수(李鳳秀, 1898~1906)[15]
    • 양자: 이은수(李恩秀, 1925~?) - 1949년 파양
  • 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Franziska Donner, 1900~1992)
    • 양자: 이강석(李康石, 1937~1960, 이기붕(李起鵬)의 아들) - 효령대군파 17대손
    • 양자: 이인수(李仁秀, 1931~2023, 이승용(李承用)의 아들)
      • 손자: 이병구(李丙久, 1969~)
      • 손자: 이병조(李丙朝, 1971~)

5. 저서 및 논문[편집]

  • <옥중잡기> (1899~1904)
  • <체역집(替役集)> (1900~1903)
  • <신영한사전>[16] (1903~1904)
  • <독립정신(獨立精神)>[17] (1910, 로스앤젤레스 대동신서관)
  • <미국의 영향을 받은 중립>[18] (1911)[논문]
  • <한국교회 핍박> (1913)
  • <청일전기(淸日戰記)> (1917, 하와이 태평양잡지사)
  • <군축 회담에서 한국의 역할>[20] (1922)
  • <일본내막기(日本內幕記)>[21] (1941, 플레밍 H. 레이벨 컴퍼니)
  • <건국과 이상(建國과理想)> (1945, 국제문화협회)
  • <일민주의 개술(一民主義槪述)> (1956, 일민주의보급회총본부)

6. 선거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4선거구(동대문갑구)
무투표 당선
초선[28]
1948
제1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통령
180 (91.84%)
당선 (1위)
초선
1952
제2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통령
5,238,769 (74.61%)
당선 (1위)
재선
1956
제3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통령
5,046,437 (69.98%)
당선 (1위)
3선
1960
대한민국 대통령
9,633,376 (100.00%)
당선 (1위)
역대 선거 벽보
파일:이승만제헌총선.png
파일:이승만제2대대선.jpg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2대 대통령 선거
파일:이승만제3대대선이기붕제4대부선.png
파일:이승만제4대대선이기붕제5대부선.jpg
제3대 대통령 선거
제4대 대통령 선거 (3.15 부정선거)
[1] 음력 2월 19일[2] #[3]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 기준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대경리[4] 국문으로 된 한국 정부의 공문서에는 우측에 있는 한문 휘호로 서명하였고, 보고서에는 '晩'자를 흘려써서 서명하였다.[5] 양녕대군파 17세, 시조 40세손 승(承)○ 항렬.[6] 족보에는 운남(雲南)이라고 써져 있다.[7] 現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8] 現 건국훈장 대한민국장[9] 시장 경제체제[10] 반대로 당시 친일파 청산에 관해서 매우 비협조적이었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11] 그러나 이를 무조건적으로 비판하기는 곤란한 것이, 이승만은 당시 90세의 고령이었던 탓에 외부의 소식을 제대로 몰랐다고 한다.[12] 본래 3남 2녀 중 3남이나 두 형이 이른 나이에 요절하는 바람에 이승만이 사실상 장남이었다.[13] 출처: 《전주이씨족보》 이승만편.[14] 1934년 10월 8일 뉴욕 몽클레어 호텔에서 오랜 친구인 윤병구 목사와 존 헤인즈 홈즈 박사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렸고, 1965년 하와이에서 임종하는 순간까지 평생을 함께했다.[15] 아명은 태산. 박승선 사이에서 둔 그의 유일한 친아들이었으나 10살 때 디프테리아로 사망했다.[16] 영제: <A New English-Korean Dictionary>[17] 영제: <The Spirit of Independence>[18] 영제: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논문] [20] 영제: <Korean Mission to the Conference on the Limitation of Armament>[21] 영제: <Japan Inside Out : The Challenge of Today>[22] 원제: <Religious Department of the Student Association>[존모트] 23.1 23.2 23.3 John Raleigh Mott(穆德) 저[24] 원제: <The President of the Student>[26] 원제: <Work for New Students>[28] 1948.5.31: 국회의장 임명
1948.7.20: 대통령 당선 및 취임에 따라 의원직 사퇴
[29] 취임 전 사퇴 및 재선거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