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중국어(中國語・中国语) 한어(漢语・汉語) | 중 (中文) Chinese(language) | ||
유형 | 고립어 | |
문자 | ||
원어민 | 약 15억 명 | |
주요 사용 국가 및 지역 | ||
언어 코드 | ||
ISO 639-1 | zh | |
ISO 639-2/B | chi | |
ISO 639-2/T | zho | |
ISO 639-3 | zho |
1. 개요[편집]
2. 문자[편집]
3. 종류[편집]
3.1. 표준 중국어(중화민국 국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zho |
标准汉语 ・ 標準漢語 / 中華民國國語
Standard Chinese
중국어의 표준어로, 우리가 아는 중국어는 바로 이 중국어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모두 이 표준 중국어를 자국어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다만 명칭은 표준한어/중화민국 국어로 칭하는 명칭은 다르다.
이 표준중국어는 관화를 기준으로 여러 중국계 방언들을 적절하게 섞어서 만든 인공어로, 우리가 흔히 표준중국어라고 착각하는 관화(官话)와 동일한 언어는 아니다. 다만 관화가 기준점이 되었다보니 의사소통은 된다.
표준중국어의 제작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절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최종적으로 완성한다.
발음표기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과 싱가포르는 한어병음으로 표기하며 중화민국의 경우 주음부호로 표기한다.
Standard Chinese
중국어의 표준어로, 우리가 아는 중국어는 바로 이 중국어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 모두 이 표준 중국어를 자국어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다만 명칭은 표준한어/중화민국 국어로 칭하는 명칭은 다르다.
이 표준중국어는 관화를 기준으로 여러 중국계 방언들을 적절하게 섞어서 만든 인공어로, 우리가 흔히 표준중국어라고 착각하는 관화(官话)와 동일한 언어는 아니다. 다만 관화가 기준점이 되었다보니 의사소통은 된다.
표준중국어의 제작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절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최종적으로 완성한다.
발음표기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과 싱가포르는 한어병음으로 표기하며 중화민국의 경우 주음부호로 표기한다.
3.2. 관화[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cmn |
官话 ・ 官話
Mandarin Chinese
중국 대륙 북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중국어 방언들 중 가장 많은 화자(약 9억명)를 보유중이다. 현재 우리가 중국어라고 칭하는 표준중국어는 이 관화가 바탕이 되었기에 표준중국어와 관화는 의사소통이 된다.
명칭인 관화를 해석하면 관리들이 사용하는 말이라는 뜻인데, 이는 명나라 시기 베이징으로 올라온 여러 중국 관리들이 자기네들끼리 대화가 되지 않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언어를 통일하여서 사용하였는데, 이게 관화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관화는 너무 사용인구가 많다보니 내부에 또 하위방언이 나뉘는데, 이 방언들끼리는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Mandarin Chinese
중국 대륙 북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중국어 방언들 중 가장 많은 화자(약 9억명)를 보유중이다. 현재 우리가 중국어라고 칭하는 표준중국어는 이 관화가 바탕이 되었기에 표준중국어와 관화는 의사소통이 된다.
명칭인 관화를 해석하면 관리들이 사용하는 말이라는 뜻인데, 이는 명나라 시기 베이징으로 올라온 여러 중국 관리들이 자기네들끼리 대화가 되지 않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언어를 통일하여서 사용하였는데, 이게 관화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관화는 너무 사용인구가 많다보니 내부에 또 하위방언이 나뉘는데, 이 방언들끼리는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 북방관화(北方官话)
- 베이징관화(北京官话): 보통화(普通话)라고 부르는 방언으로, 베이징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으며 표준중국어의 기반이 된 방언이다. 방언은 말 끝에 儿(er)을 붙인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 현상을 얼화(儿化)라고 부른다. 중국 내에서는 이걸 베이징 관련 밈으로 사용중이다.
- 자오랴오관화(胶辽官话): 산둥반도 및 랴오둥반도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흔히 산둥방언이라고 부르는 방언이 이 방언이다. 과거 청나라의 발음을 많이 유지중인 방언으로 취급된다.
- 지루관화(冀鲁官话): 허베이성 및 산둥성 서부지역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베이징관화와 유사점이 많다고 평가되며 둘의 차이도 크지 않아 베이징관화의 일부로 취급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 중위안관화(中原官话): 허난성, 산시성(陕西省) 남부, 간쑤성 남부, 안후이성 북부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강한 권순음 및 순치음과 날카로운 발음이 특징이다.
- 란인관화(兰银官话): 신장 위구르 자치구, 간쑤성 북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중원관화와 관계가 깊다. 특징으로는, sh가 f 발음으로 발음되며 en으로 끝나는 모음은 eng으로 발음된다는 특징이 있다.
- 남방관화(南方官话)
- 시난관화(西南官话): 쓰촨성, 충칭시, 후베이성, 구이저우성, 윈난성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와 발음상의 차이가 크지만 실상 관화 포함 모든 중국어 방언들 중 가장 많은 화자인 2억명의 화자를 보유한 방언이다. 중고한어의 특징을 잘 보유한 방언으로, 관화는 기본적으로 4성이고 시난관화 역시 4성이 기본이지만 몇몇 시난관화의 하위방언은 5성, 심지어는 6성을 보유한 방언도 존재한다. 또한 자음 n과 l, 모음 -n과 -ŋ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장후이관화(江淮官话): 안후이성 중부, 장쑤성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난징시에서 사용하는 방언이기 때문에 중화민국이 대륙에서 활동하던 시절의 표준어 역할을 한 방언이다. 또한 청나라 역시 해당 방언을 표준 관화로 사용하였다. 특징으로는, æ 발음이 많이 존재하고 -u 모음이 -o 모음으로 사용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3.3. 진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cjy |
晋语
Jinyu Chinese
산시성(山西省)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북방관화와 유사하여 과거에는 북방관화의 일부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관화와 다른 방언으로 분류하는 중이다. 관화와 가깝다보니 표준중국어와 의사소통이 안 되지는 않으나 원활하지는 않다. 특징으로는, 진어에서만 사용되는 접두사 圪를 쓴다는 것과 한자 발음이 단음이 아닌 연음인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중국어로 깎다는 뜻인 刮의 경우 표준중국어는 '과'의 단음 형태의 발음이 나지만 진어는 '퀘라'라고 발음된다.
Jinyu Chinese
산시성(山西省)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북방관화와 유사하여 과거에는 북방관화의 일부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관화와 다른 방언으로 분류하는 중이다. 관화와 가깝다보니 표준중국어와 의사소통이 안 되지는 않으나 원활하지는 않다. 특징으로는, 진어에서만 사용되는 접두사 圪를 쓴다는 것과 한자 발음이 단음이 아닌 연음인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중국어로 깎다는 뜻인 刮의 경우 표준중국어는 '과'의 단음 형태의 발음이 나지만 진어는 '퀘라'라고 발음된다.
3.4. 오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wuu |
吴语
Wu Chinese
상하이시 및 저장성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우위', 현지 발음은 '우 응우' 정도로 발음된다. 관화 제외 방언 화자 수 1위를 달리는 방언이다. 위 진어까지는 표준중국어와 어떻게든 대화가 되나, 여기부터는 대화가 아예 되지 않으며 독자적인 방언자가 수두룩하게 늘어난다는 특징이 있다.
특징으로는, 성조가 5개이며, 몇몇 방언의 경우 7개까지 늘어나며, 관화에서는 사라진 내파음 및 전탁음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오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타이후 방언의 경우 변조현상[1]이 발생하며, 특징은 맨 앞 단어만 성조가 제대로 발생하고 뒤로 갈 수록 성조가 낮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발음표기의 경우, 오어음운라마자(吴语音韵罗马字)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오어라틴화방안(吴语拉丁化方案)이라고 불리우는 라틴문자 변경안도 존재하였다.
장제스의 모어였으며, 현재 한국에서 교육용 책이 출판되어 배울 수 있다.
Wu Chinese
상하이시 및 저장성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우위', 현지 발음은 '우 응우' 정도로 발음된다. 관화 제외 방언 화자 수 1위를 달리는 방언이다. 위 진어까지는 표준중국어와 어떻게든 대화가 되나, 여기부터는 대화가 아예 되지 않으며 독자적인 방언자가 수두룩하게 늘어난다는 특징이 있다.
특징으로는, 성조가 5개이며, 몇몇 방언의 경우 7개까지 늘어나며, 관화에서는 사라진 내파음 및 전탁음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오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타이후 방언의 경우 변조현상[1]이 발생하며, 특징은 맨 앞 단어만 성조가 제대로 발생하고 뒤로 갈 수록 성조가 낮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발음표기의 경우, 오어음운라마자(吴语音韵罗马字)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오어라틴화방안(吴语拉丁化方案)이라고 불리우는 라틴문자 변경안도 존재하였다.
장제스의 모어였으며, 현재 한국에서 교육용 책이 출판되어 배울 수 있다.
3.4.1. 휘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czh |
徽语 ・ 徽語
Huizhou Chinese
Huizhou Chinese
3.5. 월어(광둥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yue |
粤语 ・ 粵語 / 廣東話 ・ 广东话
Yue Chinese / Cantonese
광둥성 및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웨위', 현지 발음으로는 '윗위' 정도로 발음이 된다. 흔히 광둥어라고 불리우는 방언이지만 광둥어는 월어의 일파일 뿐이며, 해당 어군 전체를 칭할 때에는 월어라고 칭해야 한다.
특징으로는, 개음이 존재하지 않고 성조가 9개로 매우 많다. 또한 치경음이 매우 자주 사용되지만 반대로 표준중국어에서 흔히 나오는 권설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ŋ, ng 등 표준중국어에서는 잘 쓰지 않거나 아예 안 쓰는 발음들이 월어에서는 흔히 나타난다.
아무래도 엄청 유명한 방언이다보니 한국에서 배우기가 중국어 방언들 중에서는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다. 실제로 교육용 교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고유 언어자격인 STAMP도 존재한다.
발음표기의 경우, 월병(粵拼)이 사용된다.
Yue Chinese / Cantonese
광둥성 및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웨위', 현지 발음으로는 '윗위' 정도로 발음이 된다. 흔히 광둥어라고 불리우는 방언이지만 광둥어는 월어의 일파일 뿐이며, 해당 어군 전체를 칭할 때에는 월어라고 칭해야 한다.
특징으로는, 개음이 존재하지 않고 성조가 9개로 매우 많다. 또한 치경음이 매우 자주 사용되지만 반대로 표준중국어에서 흔히 나오는 권설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ŋ, ng 등 표준중국어에서는 잘 쓰지 않거나 아예 안 쓰는 발음들이 월어에서는 흔히 나타난다.
아무래도 엄청 유명한 방언이다보니 한국에서 배우기가 중국어 방언들 중에서는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다. 실제로 교육용 교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고유 언어자격인 STAMP도 존재한다.
발음표기의 경우, 월병(粵拼)이 사용된다.
3.6. 상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hsn |
3.7. 감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gan |
赣语 ・ 贛語
Gan Chinese
장시성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간위', 현지 발음으로는 '칸으' 정도로 발음된다.
특징으로는, 성조가 중고한어의 8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자음이 전체적으로 단순화가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중고한어가 자음이 단순했던 것에서 기인한다.
발음표기의 경우, 감어병음(赣语拼音)을 사용중이나 감어 자체가 방언 중에서는 마이너한 편이라 사용이 가능한 사람 수는 적다.
Gan Chinese
장시성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간위', 현지 발음으로는 '칸으' 정도로 발음된다.
특징으로는, 성조가 중고한어의 8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자음이 전체적으로 단순화가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중고한어가 자음이 단순했던 것에서 기인한다.
발음표기의 경우, 감어병음(赣语拼音)을 사용중이나 감어 자체가 방언 중에서는 마이너한 편이라 사용이 가능한 사람 수는 적다.
3.8. 객가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hak |
客家语 ・ 客家語
Hakka Chinese
장시성 남부,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타이완 섬 중부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커자위', 현지 발음으로는 '학카응이' 정도로 발음된다.
성조는 6성이며, 위 감어와 비슷하게 중고한어의 특징을 잘 보유중이다. 이는 객가어를 사용하는 객가인 자체가 외부와 극단적으로 고립된 집단이기 때문에 중고한어의 특징을 잘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음표기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은 객가화병음방안(客家话拼音方案)을, 중화민국은 객가통용병음(客語通用拼音)을 사용한다.
Hakka Chinese
장시성 남부,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타이완 섬 중부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커자위', 현지 발음으로는 '학카응이' 정도로 발음된다.
성조는 6성이며, 위 감어와 비슷하게 중고한어의 특징을 잘 보유중이다. 이는 객가어를 사용하는 객가인 자체가 외부와 극단적으로 고립된 집단이기 때문에 중고한어의 특징을 잘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음표기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은 객가화병음방안(客家话拼音方案)을, 중화민국은 객가통용병음(客語通用拼音)을 사용한다.
3.9. 민어[편집]
언어 코드 | ||
ISO 639-3 | ||
민남어 | nan | |
민동어 | cdo | |
민북어 | mnp | |
민중어 | czo | |
보선어 | cpx |
闽语 ・ 閩語
Min Chinese
푸젠성 및 타이펑진마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민위'로 발음되며 현지 발음은 상세 설명에서 다루도록 한다.
중국어 방언들 중 가장 이질적인 특징을 가진 방언으로, 그 이유는 민어는 타 언어와는 다르게 중고한어가 아닌 상고한어에서 갈라져나온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어는 위 중국 방언들 수준으로 서로끼리 갈라져있어 민어는 하위 방언들끼리 대화가 아예 되지 않는다.
Min Chinese
푸젠성 및 타이펑진마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민위'로 발음되며 현지 발음은 상세 설명에서 다루도록 한다.
중국어 방언들 중 가장 이질적인 특징을 가진 방언으로, 그 이유는 민어는 타 언어와는 다르게 중고한어가 아닌 상고한어에서 갈라져나온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어는 위 중국 방언들 수준으로 서로끼리 갈라져있어 민어는 하위 방언들끼리 대화가 아예 되지 않는다.
- 연해민어(沿海闽语/沿海閩語)
- 민남어(闽南语/閩南語): 중화민국의 주류방언이며,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샤먼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발음이다. 성조는 8성이며, 순경음 및 설상음, 정치음 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발음표기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은 민남어백화자(闽南语白话字)를, 중화민국의 경우 대라병음(臺羅拼音)을 주로 사용한다. 민남어로 민어는 '반구'라고 발음된다.
- 민동어(闽东语/閩東語): 푸저우에서 사용하는 방언이다. 성조는 7성이다. 발음표기의 경우 푸저우화병음방안(福州话拼音方案)을 사용중이며 민동어로 민어는 '밍와'라고 발음된다.
- 보선어(莆仙语): 푸톈시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성조는 7성이다. 발음표기의 경우 싱화평화자(兴化平话字)를 사용중이며 보선어로 민어는 '밍구'정도로 발음된다.
- 연산민어(沿山闽语)
- 민북어(闽北语): 푸젠성 북부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성조는 7성이지만 2성인 양평성의 경우 갑성과 을성으로 나뉘어 실제로는 8성이다. 또한 음운변화가 적다는 특징도 있다. 발음표기의 경우 젠닝라마자(建宁罗马字)를 사용중이며 민북어로 민어는 '마잉응우'정도로 발음된다.
- 소장어(邵将语): 푸젠성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현재 연구가 잘 되지 않아 발음표기가 정립되어있지 않다.
- 민중어(闽中语): 푸젠성 중부 싼밍시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성조는 6성이며 변조현상이 존재하지만 표준중국어 및 오어와는 다른 형태의 변조가 발생하는데, 변조가 발생할 시 앞 단어가 변조된다는 것. 표준중국어와 오어는 뒷 단어가 변조되는 것과는 다른 현상이다. 발음표기는 없으며 민중어로 민어는 '메으' 정도로 발음된다.
4. 사용국가 및 지역 목록[편집]
4.1. 공용어 혹은 제1언어의 지위를 가진 곳[편집]
4.2. 다수 사용지[편집]
단순 사용인구가 존재하는 것이 아닌, 해당 국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만 서술함. 중국인은 그 숫자가 엄청나서 전 세계에 퍼져있어서 단순히 화교층이 존재하는 나라들도 전부 적을 경우 대부분의 국가명을 다 적어야 할 수도 있다.
[1] 성조가 특수한 경우에 따라 변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