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케아웨이케카히알리이오카모쿠(1660년경~1725년경)는 17세기 말 하와이 섬의 왕이었다. 그는 강력한 지도자로서 하와이 섬을 통치하였으며, 후대에 걸쳐 하와이 왕족의 중요한 계보를 형성하였다.

그는 하와이 왕국을 세운 카메하메하 1세의 증조부로, 그의 후손들이 하와이의 통일과 왕국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의 통치는 하와이 섬의 정치적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여러 왕조의 계승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2. 생애[편집]

케아웨이케카히알리이오카모쿠는 1660년경 태어나 1725년경까지 하와이 섬을 통치한 강력한 지도자로, 하와이의 정치적 안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하와이 섬의 여왕이었던 케아케알라니와히네와 그녀의 남편 카날로아카푸레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에서 ‘케아웨’는 그의 조상 가운데 한 명이었던 케아웨누이아우미를 가리키며, ‘이케카히알리이오카모쿠’는 “섬에서 가장 위대한 추장”을 의미한다. 그는 하와이 왕족의 정통 계승자로, 어머니의 혈통을 통해 높은 신분을 지녔으며, 이는 그의 권력 기반을 공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와이 섬 대부분을 통치하였으나, 힐로만은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는 강력하고 진취적인 지도자로, 하와이 제도의 여덟 개 섬을 여행하며 자신의 지도력을 널리 알렸다. 그는 전쟁보다는 외교적 방법을 통해 갈등을 해결한 것으로 평가되며, 그의 어머니 시대부터 이어진 힐로 지역과의 갈등을 성공적으로 조정했다. 군사적 정복보다는 결혼을 통한 동맹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는데, 힐로의 독립적인 추장 가문인 이 가문과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아후아이의 딸 로노마아이카나카와 혼인하였다. 또한 그의 아들 칼라니누이오마마오를 쿠아아나이의 손녀이자 힐로 추장 모쿨라니의 사촌인 아히아와 결혼시켰다. 이중 결혼 동맹을 통해 그는 힐로 지역 추장들의 충성을 얻었으며, 이를 통해 하와이 섬의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다른 지역에서는 힐로 지역과 같은 저항이 기록되지 않았다. 이는 그가 다른 지역의 지도자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거나, 그들 역시 그의 지도력을 인정하고 따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는 이복누이이자 왕비였던 칼라니카우렐레이아이위와 함께 통치하였다. 그녀는 어머니 케아케알라니와히네로부터 높은 카푸 신분을 물려받았으며, 이는 하와이 사회에서 신성한 혈통을 의미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그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케에아우모쿠와 칼라니누이오마마오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전이 발생했다. 이들의 경쟁 상대는 알라파이누이였으며, 그는 케아웨이케카히알리이오카모쿠의 누이 칼라니카우렐레이아이위와 코할라 지역의 강력한 추장이었던 카우아카힐라우아마히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결국 알라파이누이가 내전에서 승리하며 하와이 섬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 패배한 두 형제와 그들의 후손들은 알라파이누이의 세력에 흡수되었으며, 이는 이후 하와이 왕가의 계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하와이 왕국의 두 주요 왕조인 칼라카우아 왕조와 카와나나코아 왕조의 조상이 되었다. 이 두 가문은 그의 장남인 칼라니누이오마마오의 후손이다. 한편, 하와이를 통일한 카메하메하 왕조와 라아누이 왕조는 그의 차남 케에아우모쿠 누이의 후손이다. 그의 무덤은 하와이 전통 사원인 할레 오 케아웨에 안치되었다. 이곳은 고대 하와이에서 왕족과 고귀한 혈통을 지닌 인물들이 묻히던 신성한 장소였다. 할레 오 케아웨는 현재 푸우호누아 오 호나우나우 국립역사공원 내에 복원된 상태로 남아 있으며, 하와이 문화에서 중요한 유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그는 하와이 섬의 정치적 안정과 외교적 통합을 이룬 지도자로 평가된다. 그는 무력보다는 결혼 동맹과 외교를 통해 통치를 유지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하와이 왕국의 주요 왕조를 형성하였다. 그의 통치는 하와이 섬이 보다 통합된 정치 체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이후 하와이 전체를 통일한 카메하메하 1세에게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를 “하와이의 아버지”라고 부르며, 하와이 정치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만든 인물로 평가한다.

3.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