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아우푸니 모오이 오 하와이이 | 하와이 왕국 Aupuni Mōʻī o Hawaiʻi | Hawaiian Kingdom | |||||
국기 | 국장 | ||||
Ua Mau ke Ea o ka ʻĀina i ka Pono 우아 마우 케 에아 오 카 아이나 이 카 포노 대지의 생명은 정의 가운데 영원히 존재한다. | |||||
하와이 왕국과 타히티 왕국의 판도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하와이 부족국가 | |||||
위치 | |||||
국가 | |||||
정치 체제 | |||||
인구 | 400,000~800,000명 (1780년) 250,000명 (1800년) 130,313명 (1832년) 89,990명 (1890년) | ||||
국가 원수 | |||||
민족 | |||||
통화 | 하와이 달러 | ||||
면적 | 28,311km² | ||||
현재 국가 |
1. 개요[편집]
하와이 왕국은 1795년부터 1893년까지 현재의 미국 하와이 주 지역에 존재했던 폴리네시아계 독립 왕국이다. 이 왕국은 하와이 제도 내 여러 섬들을 하나의 정치 체계 아래 통합한 국가로서, 약 한 세기 동안 주권을 유지하였다.
왕국의 성립 이전, 하와이 제도에는 여러 폴리네시아계 부족 연맹과 추장국들이 섬별로 나뉘어 있었다.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에 도달하며 서구 세계에 존재를 알렸고, 이후 유럽과 미국의 배들이 잇따라 방문하면서 총포류와 선진 기술이 전래되었다. 당시 하와이 섬의 강력한 추장이었던 카메하메하 1세는 서양으로부터 들여온 머스켓 총과 대포 등의 신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세력 확대에 나섰고, 여러 전쟁 끝에 1795년 오아후 섬까지 정복하였다. 결국 1810년에 마지막 남은 카우아이 섬마저 외교 협상을 통해 복속시키며 하와이 제도의 모든 주요 섬을 통일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하였다. 카메하메하 1세는 통일 후 자신을 초대 국왕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전제 군주제를 실시하였고, 왕위는 그의 직계 후손에게 계승되었다.
왕국의 성립 이전, 하와이 제도에는 여러 폴리네시아계 부족 연맹과 추장국들이 섬별로 나뉘어 있었다.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에 도달하며 서구 세계에 존재를 알렸고, 이후 유럽과 미국의 배들이 잇따라 방문하면서 총포류와 선진 기술이 전래되었다. 당시 하와이 섬의 강력한 추장이었던 카메하메하 1세는 서양으로부터 들여온 머스켓 총과 대포 등의 신무기를 적극 활용하여 세력 확대에 나섰고, 여러 전쟁 끝에 1795년 오아후 섬까지 정복하였다. 결국 1810년에 마지막 남은 카우아이 섬마저 외교 협상을 통해 복속시키며 하와이 제도의 모든 주요 섬을 통일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하였다. 카메하메하 1세는 통일 후 자신을 초대 국왕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전제 군주제를 실시하였고, 왕위는 그의 직계 후손에게 계승되었다.
2. 왕국의 역사[편집]
2.1. 카메하메하 1세 – 하와이 제도 통일과 통치 업적[편집]
자세한 내용은 카메하메하 1세 참고
2.2. 카메하메하 2세 – 서구화와 종교적 변화[편집]
자세한 내용은 카메하메하 2세 참고
2.3. 카메하메하 3세 – 입헌 군주제의 확립과 사회 개혁[편집]
자세한 내용은 카메하메하 3세 참고
2.4. 카메하메하 4세 – 대외 관계 강화와 의료 개혁[편집]
자세한 내용은 카메하메하 4세 참고
2.5. 카메하메하 5세 – 보수적 개혁과 전통 수호[편집]
자세한 내용은 카메하메하 5세 참고
2.6. 루날릴로 – “민주의 왕”의 짧은 통치와 개혁 시도[편집]
자세한 내용은 루날릴로 참고
2.7. 칼라카우아 – 하와이 전통 문화 부흥과 국제 외교 확대[편집]
자세한 내용은 칼라카우아 참고
2.8. 릴리우오칼라니 – 왕국의 멸망과 망국의 군주[편집]
자세한 내용은 릴리우오칼라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