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운임과 사용가능한 교통카드[편집]
구분 | 교통카드 | 현금 | |
좌석버스 | 성인 | 1,830원 | 2,000원 |
청소년 | 1,470원 | 1,600원 | |
어린이 | 920원 | 1,000원 | |
일반버스 | 성인 | 1,530원 | 1,700원 |
청소년 | 1,220원 | 1,350원 | |
어린이 | 770원 | 850원 |
선불 교통카드로는 이비카드, 레일플러스, 마이비카드, 캐시비, 하나로카드, 티머니, 한페이가 사용 가능하며, 후불 교통카드로는 국민, 농협, BC, 롯데, 신한카드가 사용 가능하다.
2018년 10월 26일에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 일반버스는 200원으로 소폭인상 되었으나, 좌석버스는 기존 1500원에서 2000원으로 500원씩이나 인상되어 요금인상에 대한 부담이 심한 편이다.
2023년 1월 1일부로 입석버스의 요금이 인상되었으나, 좌석버스 요금은 교통카드에 한해 소폭 인하되었다.
하차 기준으로 60분이내에 다른노선과 1회에 한하여 환승이 가능하다.
시경계를 벗어나면 구간삥이 반갑게 맞아주는데 시계외 거리 산정을 시경계 지역이 아닌 황지동 터미널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이다. (상동 3900 하장 4000 풍곡 4200 석포중 4900 토산삼거리 5800 덕암 7300 호산 7900 판문 8700원)
3. 노선체계[편집]
2023.9월 개편 시간표
시내 중심지인 황지동에서 출발하여 장성, 철암, 통리를 순환하는 1번과 4번을 주축으로 태백산이 있는 문곡소도동 지역, 관광대와 서학골, 화전동 지역을 잇는 시내순환 노선, 삼수동을 거쳐 삼척 하장으로 가는 노선 크게 4가지로 체계가 잡혀있다. 모든 노선의 출발지는 황지동에 위치해 있는 태백버스터미널이다.
태백시내버스는 사실 운수회사쪽에서는 한자리 숫자가 아니라, 2자리, 3자리 숫자로 노선을 취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과 좌석 구분에도 노선번호가 다르고, 운행계통이 조금만 달라도 노선번호가 달라진다.[3][4]
2019년 7월 10일에 노선 정리과 감회를 시행하는 동시에 일정시간에 좌석버스가 몰리는 현상을 조정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을 하였다.
일부 노선은(대표적으로 하장행 13번) 태백 시내버스와 삼척 시내버스, 시외버스 코스표가 섞여 있는 기묘한 형태로 운행 중이였는데, 이에 대해 강원도청에서 행정처분(과징금)을 받았고, 2020년 상반기에 이 사건에 연관된 일부 시외버스 노선(태백<>임계 노선, 태백<>호산 노선)이 시내좌석버스 노선으로 형간전환 되었다. 다만 시간표가 변경되면서 호산까지 가는 노선은 감회되어 2021년 2월 기준 막차가 14:50으로 크게 앞당겨졌으며, 임계까지 가던 노선은 토산삼거리로 단축되었다.
온라인 노선정보에서는 한 자리 번호(기점-경유지-종점) 형태로 뜬다.(예: 1(태백터미널-구문소))
인구 대비 시내버스 배차는 매우 준수한 편이다.
시내 중심지인 황지동에서 출발하여 장성, 철암, 통리를 순환하는 1번과 4번을 주축으로 태백산이 있는 문곡소도동 지역, 관광대와 서학골, 화전동 지역을 잇는 시내순환 노선, 삼수동을 거쳐 삼척 하장으로 가는 노선 크게 4가지로 체계가 잡혀있다. 모든 노선의 출발지는 황지동에 위치해 있는 태백버스터미널이다.
태백시내버스는 사실 운수회사쪽에서는 한자리 숫자가 아니라, 2자리, 3자리 숫자로 노선을 취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과 좌석 구분에도 노선번호가 다르고, 운행계통이 조금만 달라도 노선번호가 달라진다.[3][4]
2019년 7월 10일에 노선 정리과 감회를 시행하는 동시에 일정시간에 좌석버스가 몰리는 현상을 조정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을 하였다.
일부 노선은(대표적으로 하장행 13번) 태백 시내버스와 삼척 시내버스, 시외버스 코스표가 섞여 있는 기묘한 형태로 운행 중이였는데, 이에 대해 강원도청에서 행정처분(과징금)을 받았고, 2020년 상반기에 이 사건에 연관된 일부 시외버스 노선(태백<>임계 노선, 태백<>호산 노선)이 시내좌석버스 노선으로 형간전환 되었다. 다만 시간표가 변경되면서 호산까지 가는 노선은 감회되어 2021년 2월 기준 막차가 14:50으로 크게 앞당겨졌으며, 임계까지 가던 노선은 토산삼거리로 단축되었다.
온라인 노선정보에서는 한 자리 번호(기점-경유지-종점) 형태로 뜬다.(예: 1(태백터미널-구문소))
인구 대비 시내버스 배차는 매우 준수한 편이다.
3.1. 차량[편집]
4. 노선 목록[편집]
번호 | 기점 | 경유지 | 종점 | 운행 횟수(회)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태백중앙병원, 장성시장, 태백교육지원청, 태백초등학교, 구문소, 동점아파트, 철암역, 통리군부대, 통리역, 시장입구 | 태백터미널 | 63 |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태백중앙병원, 장성시장, 태백교육지원청, 태백초등학교, 구문소, 사시랭이마을, 동점아파트, 철암역, 통리군부대, 통리역, 시장입구 | 태백터미널 | 2 | |
1-4(14)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태백중앙병원, 장성시장, 태백교육지원청 | 하장성 | 4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태백중앙병원, 장성시장, 태백교육지원청, 태백초등학교, 사시랭이마을, 동점역, 육송정, 석포역, 새로나마트 | 석포중학교 | 2 | |
2(21)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태백중앙병원, 장성시장, 태백교육지원청, 하장성, 태백교육지원청, 장성시장, 태백중앙병원, 금천낚시터, 금천농원입구, 금천종점, 금천농원입구, 금천낚시터, 태백중앙병원, 장성시장, 태백교육지원청, 하장성, 태백교육지원청, 장성시장, 태백중앙병원, 상장굴다리, 2주공아파트, 태백영프라자, KT&G 태백점 | 태백터미널 | 5 |
3(31,32) | 태백터미널 | 황지동주민센터ㆍ태백도서관ㆍ문곡소도동ㆍ소롯골입구ㆍ유일사ㆍ태백교육청 | 하장성 | 1 |
태백터미널 | 시장입구, 통리역, 통리군부대, 철암역, 동점아파트, 구문소, 태백초등학교, 태백교육지원청, 장성시장, 태백중앙병원, 상장굴다리, 2주공아파트, 태백영프라자, KT&G 태백점 | 태백터미널 | 62 |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소도, 유일사입구, 화방재 | 상동종점(구래리) | 5 | |
7(71,710)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함태중학교, 문곡소도동 주민센터 | 당골[7] | 25 |
8(81,82,810)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2주공, 상장굴다리, 함태중학교, 문곡소도동 주민센터, 소롯골[8], 유일사입구 | 화방재[9] | 6 |
태백터미널 | 태백영프라자, 황지동주민센터, 노동부앞, 시청, 현대아파트, 1주공, 절골, 관광대학교, 1주공, 현대아파트, 시청, 노동부앞, 황지동주민센터, 태백영프라자 | 태백터미널 | 1 | |
태백터미널 | 시청ㆍ황지고ㆍ서학골ㆍ면허시험장ㆍ추전ㆍ용연동굴ㆍ관광대 | 태백터미널 | 1 | |
10(102) | 태백터미널 | 시청ㆍ황지고ㆍ서학골ㆍ면허시험장ㆍ추전ㆍ용연동굴ㆍ관광대 | 태백터미널 | 1 |
태백터미널 | 시청ㆍ황지고ㆍ서학골ㆍ면허시험장ㆍ추전ㆍ용연동굴 | 태백터미널 | 5 | |
태백터미널 | 시청ㆍ황지고ㆍ관광대ㆍ면허시험장ㆍ추전ㆍ용연동굴 | 태백터미널 | 8 | |
태백터미널 | 혈암, 구와우, 피재, 창죽, 안창죽, 원동마을, 미동초교, 권춘섭집앞, 상사미, 하사미, 예수원, 귀네미골입구, 천포 | 조탄[10] | 1 | |
태백터미널 | 삼수령ㆍ안창죽ㆍ상사미ㆍ하사미ㆍ천포 | 조탄[11] | 7 | |
13-7 | 태백터미널 | 구사리, 신리, 동활, 풍곡, 오저, 탕곡, 기곡, 축천, 노경 | 호산 | 2 |
4.1. 노선도[편집]
4.2. 여담[편집]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2071211790006200_P2.jpg
위 사진은 예전모습. 아래는 아들 이름으로 대물림된 현재 모습. 13번 계열이 경유한다.
인터넷에서 그 집에 사는 사람 이름을 딴 버스 정류장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 참조.
영얌고속/화성고속 에서 유일하게 경기도 시내버스의 코로나 관련 안내방송이 송출된 적이있다.[12]
위 사진은 예전모습. 아래는 아들 이름으로 대물림된 현재 모습. 13번 계열이 경유한다.
인터넷에서 그 집에 사는 사람 이름을 딴 버스 정류장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 참조.
영얌고속/화성고속 에서 유일하게 경기도 시내버스의 코로나 관련 안내방송이 송출된 적이있다.[12]
[A] 1.1 1.2 2023년 12월 기준[3] 예를 들면 당골로 가는 7번 노선은 일반차량은 71번, 좌석차량은 710번이라는 노선을 부여하고 운행한다.[4] 대신 토산삼거리에서 정선군 버스로 환승하여 임계까지 갈 수 있도록 시간표를 맞춰 놓았다. 이는 역방향도 동일[5] 강원도 시 단위 중 유일하게 천연가스버스, 전기버스 둘 다 없다.[6] 삼척시 좌석버스에서도 같은 도색을 사용한다. 영암, 화성고속 뿐만 아니라 강원여객도 같은 도색을 적용한다. 이전에는 동진버스의 강릉시 좌석버스도 같은 도색을 사용했다.[7] 태백산국립공원, 석탄박물관[8] 왕로만 경유. 단, 첫차는 복로에 경유[9] 첫차는 어평까지 운행[10] 하행시 귀네미골 까지 운행[11] 1회 귀네미 연장운행, 2회 판문 연장운행, 1회 덕암 연장운행, 2회 토산 연장운행.[12] https://youtu.be/PEFId8WW0h0 출처: 은수신 선생님, 강원도는 경기도 시내버스와 동일한 로카모빌리티社의 안내방송 사용 중인것을 알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