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아이스퀼로스의 오이디푸스 3부작 중 3부인 비극, 기원전 467년에 집필됐다.[1]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들인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가 테베의 왕권을 두고 벌인 제1차 테베 전쟁을 소재로 쓰여졌다.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들인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가 테베의 왕권을 두고 벌인 제1차 테베 전쟁을 소재로 쓰여졌다.
2. 줄거리[편집]
에테오클레스에게 왕위를 빼앗긴 폴리네이케스는 아르고스로 망명해서 아르고스의 왕 아드라스토스의 딸 아르게이아와 결혼한다. 아드라스토스 왕은 자신의 두 사위이자 친인척에게 왕위를 빼앗긴 폴리네이케스와 티데우스에게 왕위를 되찾아 줄 것을 약속한다.
문제는 암피아라오스가 이 전쟁을 일으키면 "왕빼고 거의 다 모든 사람들이 죽는다"라는 예언을 했는데. 아드라스토스는 당연히 자기만은 안죽으니까 전쟁을 강행하려고 한다. 거기에 오이디푸스 아들인 폴리네이케스는 형제 에테오클레스에게 왕위를 빼앗긴 복수를 하기위해 암피아라오스의 아내 에리필레에게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를 뇌물로 줘서 전쟁을 강행시킨다.[2][3]
폴리네이케스는 자신과 티데우스를 포함한 일곱 장군이 이끄는 아르고스 군대를 거느리고 테베를 침공하고 테베의 일곱 성문 각각에 장군들을 배치시킨다.
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도 자신의 장군들을 성문 각각에 보내고 마지막으로 자신은 직접 폴리네이케스를 상대한다. 결국 제1차 테베 침공은 실패했지만, 에테오클레스 역시 폴리네이케스와의 전투에서 서로를 동시에 찌르며 죽음을 맞이했다.[4]
문제는 이로 인해 이들의 외삼촌 크레온이 왕이 되자마자 조카인 선왕을 예우하는 뜻에 에테오클레스는 성대한 장례를 치루어 주지만 다른 조카 폴리네이케스는 반역자라 하며 시신을 내버려두고 그를 매장하는 이는 생매장시킨다고 엄포를 놓아, 이 둘의 큰여동생 안티고네는 작은오빠를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여 장례를 치른다. 그러나 결국 크레온에게 밉보여 생매장된 관에서 목을 매 자살하고, 그녀를 사랑하던 크레온의 아들 하이몬은 아버지의 행동에 화가 머리끝까지 나 저주를 퍼부은 뒤 칼로 스스로를 찔러 자살하여 사랑하는 연인의 뒤를 따른다.[5] 직후 언니의 죽음을 알게 된 막내 이스메네도 한탄 후 자살하였고 크레온의 아내 에우리디케도 남편의 행동으로 외아들을 잃자 슬피 울고난 후 자살한다. 이후 에피고노이라 불리우는 일곱 장군들의 아들들은 알크마이온을 앞에 세운 침공으로 테베는 함락된다.[6][7]
문제는 암피아라오스가 이 전쟁을 일으키면 "왕빼고 거의 다 모든 사람들이 죽는다"라는 예언을 했는데. 아드라스토스는 당연히 자기만은 안죽으니까 전쟁을 강행하려고 한다. 거기에 오이디푸스 아들인 폴리네이케스는 형제 에테오클레스에게 왕위를 빼앗긴 복수를 하기위해 암피아라오스의 아내 에리필레에게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를 뇌물로 줘서 전쟁을 강행시킨다.[2][3]
폴리네이케스는 자신과 티데우스를 포함한 일곱 장군이 이끄는 아르고스 군대를 거느리고 테베를 침공하고 테베의 일곱 성문 각각에 장군들을 배치시킨다.
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도 자신의 장군들을 성문 각각에 보내고 마지막으로 자신은 직접 폴리네이케스를 상대한다. 결국 제1차 테베 침공은 실패했지만, 에테오클레스 역시 폴리네이케스와의 전투에서 서로를 동시에 찌르며 죽음을 맞이했다.[4]
문제는 이로 인해 이들의 외삼촌 크레온이 왕이 되자마자 조카인 선왕을 예우하는 뜻에 에테오클레스는 성대한 장례를 치루어 주지만 다른 조카 폴리네이케스는 반역자라 하며 시신을 내버려두고 그를 매장하는 이는 생매장시킨다고 엄포를 놓아, 이 둘의 큰여동생 안티고네는 작은오빠를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여 장례를 치른다. 그러나 결국 크레온에게 밉보여 생매장된 관에서 목을 매 자살하고, 그녀를 사랑하던 크레온의 아들 하이몬은 아버지의 행동에 화가 머리끝까지 나 저주를 퍼부은 뒤 칼로 스스로를 찔러 자살하여 사랑하는 연인의 뒤를 따른다.[5] 직후 언니의 죽음을 알게 된 막내 이스메네도 한탄 후 자살하였고 크레온의 아내 에우리디케도 남편의 행동으로 외아들을 잃자 슬피 울고난 후 자살한다. 이후 에피고노이라 불리우는 일곱 장군들의 아들들은 알크마이온을 앞에 세운 침공으로 테베는 함락된다.[6][7]
3. 등장인물[편집]
성문 | 일곱 장군 | 테베의 장군 |
1. 프로이토스 문 | 티데우스 | 멜라니포스[8] |
2. 엘렉트라 문 | 카파네우스[9] | 폴리폰테스[10] |
3. 네이스 문 | 에테오클로스[11] | 메가레우스[12] |
4. 옹카[13] 문 | 히포메돈[14] | 히페르비우스[15] |
5. 보레아스 문[16] | 파르테노파이오스 | 악토르[17] |
6. 호몰로이스 문 | 암피아라오스[18] | 라스테네스[19] |
7. 힙시스타이 문[20] | 폴리네이케스 | 에테오클레스 |
- 이스메네
- 정찰병
- 테베의 여인들
4. 일곱 장군의 방패[편집]
- 티데우스: 별들이 불타는 하늘이 그려졌다. 방패 한복판에는 별들 중 가장 아름다우며 밤의 눈이라고 할 달이 환하게 빛나고 있다.
- 카파네우스: 무장하지 않고 불을 운반하는 자가 문장으로 그려져 있다. 이 자는 두 손으로 횃불을 휘두르며 황금 문자로 "나는 도시를 불사를 거야."라고 선언한다.
- 에테오클로스: 무장한 한 전사가 적의 성탑을 파괴하려고 사다리의 발판을 타고 기어오르는 모습이 그려졌다.
- 히포메돈: 티폰이 불을 숨 쉬는 입에서 불의 가벼운 누이인 연기를 내뿜는 모습이 그려졌다. 속이 빈 방패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것을 고정하기 위햐 뱀이 똬리를 틀고 있다.[21]
- 파르테노파이오스: 청동 방패에 스핑크스 상이 있다. 청동으로 화려하게 양각한 스핑크스 상이 못으로 고정된 채 카드모스의 자손 중 한 명을 앞에 들고 있다.
- 암피아라오스: 청동 방패에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다.
- 폴리네이케스: 새로 만든 둥근 방패에 정교하게 만든 이중의 문장이 그려졌다. 황금으로 만든 한 남자가 무장하고 있는데 정의의 여신이라고 주장하는 여인이 그를 인도하고 있다. 명문은 "나는 이 남자를 도로 데려다줄 것인즉, 그가 조국의 도시와 선조들의 집을 차지하리라."라고 말한다.[22]
[1] 사실 이후의 안티고네 같은 경우를 보면 하나의 이야기로 볼 수 있지만 후일담으로 치자.[2] 처남끼리 의견충돌이 있을겅우 아드라스토스의 여동생이자 암피아라오스의 아내인 에리필레에게 결정을 내리기로 합의본것이다.[3] 거기에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는 그 목걸이를 목에 건 사람의 노화를 막아준다. 오이디푸스가 비극을 당해버린 이유중 하나. 닭장이 얼마나 절대적 거부감을 느끼게 해주는지 누구나 다 아는데 그 목걸이는 그걸 막는다.[4] 제1차 침공에서 실패한 일곱 장군들의 아들들은 후에 다시 테베를 공격해서 함락에 성공하는데, 이들을 '에피고노이'라고 한다.[5] 그녀를 구하려하다가 늦은 슬픔에 자살했다는 판본도 있다.[6] 다른 장군들의 아들도 상처가 크지만 알크마이온의 억울함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위의 내용대로 기어이 자기 어머니를 아버지의 유언대로 죽였다.[7] 판본에 따라서는 희석됐지만 아무리 그래도 모성애조차 없는 답없는 어머니의 행각에 분노하여 아버지의 유언을 결국 이행했다는 판본도 있다.[8] 용아병|스파르토이들의 자손 중 하나. 아스타코스의 아들.[9] 제우스의 노여움이 발 앞에 내던져지더라도 자기를 막지 못할 것이라 장담했다. 이에 분노한 제우스는 카파네우스에게 벼락을 날려 죽인다.[10] 에테오클레스가 언급하길 아르테미스와 다른 신들의 호감을 사고 있다.[11] 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와 이름이 비슷하다. 이피스의 아들이자 카파네우스의 아내 에우아드네(에바드네)의 남매. 아레스도 자기를 성탑에서 내던지지 못할 것이라고 외치고 있다.[12] 크레온의 아들이자 용아병|스파르토이의 후손.[13] 아테나의 별명.[14] 아레스에 도취되어 디오니소스|박코스의 여신도처럼 눈에 살기를 품고 전투를 향해 질주하고 있다.[15] 오이놉스의 아들. 운명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운명을 시험해보고 싶어한다.[16] 제우스와 안티오페의 아들이자 테베의 왕 암피온의 무덤 바로 옆에 있다.[17] 히페르비우스의 아우.[18] 오이클레스와 히페름네스트라의 아들. 정찰병이 언급하길 가장 지혜롭고 힘이 절륜한 강력한 예언자라고 한다. 또 가장 훌륭한 사람이길 원하면서도 그렇게 보이길 원치 않는다. 에테오클레스도 암피아라오스를 '신중하고 올곧고 착하고 경건한 사람'이고 '위대한 예언자'라고 고평가했다. 적장 페리클리메노스에게 죽을 뻔 했지만 제우스가 벼락을 날려 땅을 갈라놓자 그 틈새로 사라졌다.[19] 지혜는 노인이지만 체력은 젊은이에, 눈치도 빨아서 손에 든 창으로 적의 노출된 부위를 재빨리 찌른다고 한다.[20] 다만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에서는 일곱번째 성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21] 반대로 히페르비오스의 방패에는 제우스가 손에 불타는 벼락을 든 채 똑바로 서 있는 모습이 그려졌다.[22] 폴리네이케스 본인은 실패했지만 아들 테르산드로스가 테베 왕좌를 차지하면서 이 말이 실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