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독일 왕국은 중세 유럽에서 신성 로마 제국을 구성한 중심적인 정치 단위로, 10세기 초부터 실질적인 세속 권력을 행사한 왕국이었다. 이 명칭은 후대의 역사학적 구분으로, 당대에는 독일 왕국이라는 고유한 정체성이 분명히 구분되지 않았으며, 단지 '동프랑크 왕국' 혹은 '독일인들의 왕국'이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독일 왕국은 10세기 중엽부터 신성 로마 황제가 즉위하기 전 통상적으로 먼저 선출되어야 하는 지위로 간주되었으며, 이는 곧 독일 왕이 제국의 지배권을 계승하는 전통을 나타낸다.
이 왕국의 기원은 동프랑크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843년 베르됭 조약을 통해 프랑크 제국이 분할되며 동부 지역을 차지한 왕국이 곧 독일 왕국의 선조가 되었으며, 이때부터 알레만, 바이에른, 프랑켄, 작센 등의 고지방 귀족들이 각자 영지적 자율성을 강화해나갔다. 10세기에 오토 가문이 제위를 장악하면서 독일 왕국은 제국화되었고, 오토 1세는 96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하면서 독일 왕국을 중심으로 하는 제국 체제를 공식화하였다.
독일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을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중앙집권적 국가로 통합된 적은 없었다. 왕은 제후들의 선거로 선출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대공, 공작, 주교, 수도원장 등 세속과 성직 권력을 지닌 유력자들이었다. 독일 왕국 내 주요 제후령은 작센, 바이에른, 슈바벤, 프랑켄 등의 전통적인 고지방 외에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 팔츠, 튀링겐,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부르군트 지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왕위 계승은 유전이 아니라 선거에 기반했으며, 황제 선출 이전에 먼저 독일 왕으로 인정받아야 했다는 점에서 독일 왕국은 제국 황위의 출발점이자 핵심 정치 기반이었다. 그러나 각 제후들의 자율성과 권한이 지속적으로 강화되면서 왕권은 점차 형식적인 지위를 갖게 되었고, 13세기 이후로는 제국 내에서의 독일 왕국이라는 개념 역시 희미해졌다.
이와 같은 역사적 경과로 인해 독일 왕국은 명확한 영토적 경계나 행정적 틀을 갖춘 근대적 국가가 아니라, 봉건적 주권 단위들의 느슨한 결합체로 기능하였다. 왕국의 중심지는 시기에 따라 달라졌으며, 아헨, 프랑크푸르트, 뉘른베르크 등에서 주요한 정치 행위가 이루어졌다. 독일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붕괴와 함께 별도의 실체 없이 소멸하였다.
이 왕국의 기원은 동프랑크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843년 베르됭 조약을 통해 프랑크 제국이 분할되며 동부 지역을 차지한 왕국이 곧 독일 왕국의 선조가 되었으며, 이때부터 알레만, 바이에른, 프랑켄, 작센 등의 고지방 귀족들이 각자 영지적 자율성을 강화해나갔다. 10세기에 오토 가문이 제위를 장악하면서 독일 왕국은 제국화되었고, 오토 1세는 96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하면서 독일 왕국을 중심으로 하는 제국 체제를 공식화하였다.
독일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을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중앙집권적 국가로 통합된 적은 없었다. 왕은 제후들의 선거로 선출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대공, 공작, 주교, 수도원장 등 세속과 성직 권력을 지닌 유력자들이었다. 독일 왕국 내 주요 제후령은 작센, 바이에른, 슈바벤, 프랑켄 등의 전통적인 고지방 외에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 팔츠, 튀링겐,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부르군트 지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왕위 계승은 유전이 아니라 선거에 기반했으며, 황제 선출 이전에 먼저 독일 왕으로 인정받아야 했다는 점에서 독일 왕국은 제국 황위의 출발점이자 핵심 정치 기반이었다. 그러나 각 제후들의 자율성과 권한이 지속적으로 강화되면서 왕권은 점차 형식적인 지위를 갖게 되었고, 13세기 이후로는 제국 내에서의 독일 왕국이라는 개념 역시 희미해졌다.
이와 같은 역사적 경과로 인해 독일 왕국은 명확한 영토적 경계나 행정적 틀을 갖춘 근대적 국가가 아니라, 봉건적 주권 단위들의 느슨한 결합체로 기능하였다. 왕국의 중심지는 시기에 따라 달라졌으며, 아헨, 프랑크푸르트, 뉘른베르크 등에서 주요한 정치 행위가 이루어졌다. 독일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붕괴와 함께 별도의 실체 없이 소멸하였다.
2. 정치[편집]
2.1. 국왕[편집]
2.1.1. 독립국 시대[편집]
- 콘라트 왕조
- 콘라트 1세
- 오토 왕조
- 하인리히 1세
- 오토 1세
2.1.2. 구성국 시대[편집]
2.2. 5대 부족 공작[편집]
- 작센 공작
- 프랑켄 공작
- 슈바벤 공작
- 바이에른 공작
- 로트링엔 공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