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종다리(태풍)
,
,
,
,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제8호 우쿵제9호 종다리 → 제10호 산산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
위성사진
진로도
활동 기간
2024년 8월 19일 03시 ~ 2024년 8월 20일 21시
영향 지역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10분 등급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445km)
최저 기압
998hPa[3]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4]
10분 평균
21m/s

1. 개요2. 발생 이전
2.1. 98W 열대요란 → TDa
3. 발생 이후
3.1. 8월 19일3.2. 8월 20일
4. 열대저압부 약화 후
4.1. 8월 21일
5. 피해6. 여담7. 진로 경과8. 통계9. 관련 기사

1. 개요[편집]

2024년 8월 한국을 내습한 태풍. 2020년 바비 이후 4년 만에 한국 서해를 횡단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는 태풍이다.

2. 발생 이전[편집]

2.1. 98W 열대요란 → TDa[편집]

8월 16일 9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6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6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3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9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11시, JTWC에서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분석했다.

8월 17일 12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8일 10시, JTWC가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EDIUM[중간]으로 격상했다.

8월 18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2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였다.

8월 18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상승하였다.

8월 19일 0시, JTWC가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높음]로 격상했다.

3. 발생 이후[편집]

3.1. 8월 19일[편집]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8월 19일 03시에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445km[5]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8월 19일 09시에 JTWC에서 10W TD로 지정되었다.

8월 19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21m/s로 발달했다.

3.2. 8월 20일[편집]

8월 20일 02시에 KMA에서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동중국해)에 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04시다.

8월 20일 07시 10분에 KMA에서 제주도먼바다[6]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09시다.

8월 20일 09시에 KMA에서 제주도 남쪽 바깥 먼바다(동중국해)에 내려졌던 태풍주의보를 태풍경보로 격상한다고 발표했으며 서해남부먼바다[7], 제주도 서부 앞바다에 태풍주의보를 확대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11시다.

8월 20일 12시에 KMA에서 제주도와 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제주도 앞바다[8]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14시다.

8월 20일 15시에 강한 연직 시어로 인해 JMA 기준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로 약화되었다.

8월 20일 21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태풍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8월 20일 21시 40분에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발효중이던 태풍특보를 모두 해제하였다.

4. 열대저압부 약화 후[편집]

종다리는 8월 20일 21시에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어 공식적인 태풍으로서의 활동기간은 종료되었으며 이 문단은 그 후의 내용을 서술합니다

4.1. 8월 21일[편집]

8월 21일 3시에 JTWC에서도 태풍 종다리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그리고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상승했다.

5. 피해[편집]

현재까지 안전사고로 인해 1명이 부상당했으며, 2건의 인명구조가 있는 등 피해는 대체적으로 미미하다.
  • 태풍 이외의 규슈 서부에서 발달한 1006hPa의 TD가 북진해 부울경 지역에 20일 오전 엄청난 폭우를 쏟아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는 비공식 일강수량 142mm의 폭우가 쏟아지며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속출했다. 13대의 차량이 침수되었으며, 토사가 유출되기도 했다.#
  • 20일 14시 53분 경 경남 남해군 미조면 조도 앞바다에서 선박이 송전선과 충돌해 112가구에 정전이 발생했다.

6. 여담[편집]

  • 2024년 제5호 태풍 마리아부터 이어져 온 몬순골의 끝을 장식한 태풍이다.
  •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태풍은 한반도와 비교적 가까운 해상[9]에서 형성되어 제대로 힘을 얻지 못하고 열대저기압의 약한 세력을 유지한 채 상륙하여 수도권에서 소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다가 제3호 태풍 개미와 동일하게 해상의 따뜻한 열기를 한반도로 유입시켜 8월 20일~21일에 폭염과 열대야가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 예측했다. 얄궂게도 2018년 폭염에 기름을 끼얹었던 위의 태풍과 같은 이름의 태풍이 2024년 폭염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고 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예측대로 공기가 더욱 습해져 폭염과 열대야가 다시 한번 절정에 달했다. 8월 20일, 수도권의 폭염이 매우 극심해졌다. 비공식 기록인 양평군 옥천면과 김포시 장기동에서 각각 39.0℃38.6℃를 기록하는 등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35℃를 웃도는 최고기온을 기록하였다. 8월 21일에는 비공식 기록인 서귀포시 지귀도에서 밤 사이 최저기온 29.4℃를 기록했다. 강수의 경우 남부 지방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1 #2 #3 #4 #5 #6 #7 #8 #9 #10

    20일 밤부터 예상되는 수도권 부근 대기 불안정 지수(K지수)는 40 이상이고, 수도권 부근 또다른 대기 불안정 지수(CAPE 지수)도 2000 이상으로, 매우 심한 대기 불안정을 불러 일으켜 전국 곳곳에서 매우 강한 소낙성 강수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폭염이 종식되는 부분에서는 그닥 힘을 쓰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소나기로 인해 지표온도가 일시적으로 하강하겠지만 너무 약한 태풍이라 열돔을 날리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태풍이 소멸되면 기온이 다시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 중이다. 오히려 태풍의 오른쪽 위험반원 영향권인 한반도에는 남풍이 불면서 태풍에 의해 고위도로 밀어올려진 북태평양과 적도의 뜨겁고 습한 공기를 직접 받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에 폭염에 기름을 부은 것과 같은 결과가 되었다. 그나마 태풍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았던 2018년과는 다른 양상이기는 하나, 폭염을 더욱 절정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는 별반 다르지 않게 되었다.
  • 한미일 3국의 태풍 소멸 예측 시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8월 21일 03시, 일본 기상청은 8월 21일 18시, JTWC는 8월 21일 15시로 차이가 커봐야 12시간 이내였던 종래의 태풍들과는 다른 상황이 펼쳐진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소멸 예측과 다르게 대한민국 기상청일본 기상청이 같이 8월 20일 21시에 태풍 종다리의 소멸 발표를 하였다. 다만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이기에 추후 일본 기상청의 사후해석에서 소멸 시간이 앞당겨지거나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7. 진로 경과[편집]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JMA
8월 18일 15시
15kn
30kn
LPA
TD
8월 18일 21시
20kn
8월 19일 3시
30kn
35kn
TD
열대폭풍
8월 19일 9시
35kn
TS
8월 19일 15시
40kn
8월 19일 21시
8월 20일 3시
8월 20일 9시
30kn
TD
8월 20일 15시
25kn
35kn
8월 20일 21시
30kn
TD
8월 21일 3시
소멸 및 감시 종료

8. 통계[편집]

순간최대풍속
(m/s)
(8/20~)
공식
제주도
고산 17.8 성산 15.3 서귀포 14.1
경상도
부산 15.3 통영 15.2 울산 11.8 거제 11.6 북부산 10.9 북창원 10.4
전라도
흑산도 18.3 완도 15.8 군산 14.4 정읍 14.2 진도군 14.1
강원도
충청도
보령 16.6 추풍령 13.3 천안 12.6 서청주 12.0
수도권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29.9 대정 19.5 우도 19.2
경상도
간절곶 17.6 오륙도 16.8
전라도
신지도 25.6 해수서 24.2 갈매여 23.6 상조도 21.1 가거도 20.6 간여암 19.2 여수산단 18.7 새만금 18.5
강원도
충청도
어청도 24.7 춘장대 14.4
수도권
도리도 20.6 영흥도 18.3 서수도 15.7 서신 14.5 왕산 14.5 포승 13.7
최대풍속
(8/20~)
공식
제주도
고산 13.8
경상도
전라도
흑산도 13.5
강원도
충청도
수도권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16.9 대정 14.2
경상도
매물도 14.7 오륙도 13.3 간절곶 12.8 이덕서 12.4
전라도
십이동파 20.7 해수서 18.5 갈매여 17.4 신지도 17.1 간여암 16.5
강원도
충청도
수도권
도리도 16.2
최다일강수량
(mm/1day)
(8/20~)
공식
제주도
경상도
거제 65.1 울산 51.4 부산 48.3 산청 42.4
전라도
장흥 34.1 강진 27.9 목포 24.6 광주 23.7
강원도
속초 23.8
충청권
수도권
강화 60.2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144.5 진달래밭 111.5 영실 97.5 윗세오름 94.5
경상도
온산 142.0[10] 울기 104.5 간절곶 98.0 토함산 96.5 장생포 79.5 삼장 51.5
전라도
광양백운산 56.5 비금 55.5 전남도청 41.0 상조도 41.0 보성 38.0
강원도
오색 56.0
충청권
태안 108.0 옥천 36.0 오창 31.0
수도권
포승 14.0
최저해면기압
(hPa)
(8/20~)
공식
제주도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충청권
수도권
비공식
(AWS)
제주도
진달래밭 1001.2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충청권
수도권

여러 기록들이 같은 날 오전에 경상도 부근으로 상륙한 열대저기압과 섞여있는 경우가 많다.

9. 관련 기사[편집]

[JTWC] [JMA] [3] KMA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19m/s #[4] JTWC 종다리 세력 경과[5] 남동쪽 280km, 북서쪽 165km[6] 제주도 남동쪽 안쪽 먼바다, 제주도 남서쪽 안쪽 먼바다[7] 서해 남부 남쪽 안쪽 먼바다, 서해 남부 남쪽 바깥 먼바다[8] 제주도 북부 앞바다, 제주도 동부 앞바다, 제주도 남부 앞바다[9] 북위 24.2도, 정확히는 일본 오키나와현 사키시마 제도 인근이다.[10] 부울경 쪽에서 관측된 강수량은 대부분 종다리의 영향이 아닌 다른 열대저기압으로 인한 강수이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3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