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2025년 산청-하동-진주 산불/경과
,
,
,
,
,
,
2025년 산청-하동-진주 산불
파일:0008144971_001_20250321202814469.jpg
산불 대응 최고 단계
3단계
1호
소방 대응 최고 단계
2단계
발화 시각
발생 위치
피해지역
유형
원인
조사중(예초기 화재 추정)
대피 인원
인명
피해
사망
4명[3]
부상
8명[4]
재산 피해
57개 건축물 소실 및 약 1872억 4000만원[5] [집계중]
소실 면적
1,685 ㏊ 이상[집계중]
동원
인원
2,440+α명
장비
252+α대
산불 진화헬기 39대
진화율
80%
1. 개요2. 경과3. 피해4. 재난문자 및 안전안내문자
4.1. 3월 21일4.2. 3월 22일4.3. 3월 23일4.4. 3월 25일
5. 뉴스특보/긴급재난방송6. 상황도7. 반응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실시간 속보 영상(KBS)
실시간 속보 영상(MBC)
실시간 속보 영상(SBS)
2025년 3월 21일 15시 26분경, 경상남도 산청군 지리산국립공원 일대에서 발생해 인접지역인 하동군과 진주시까지 퍼진 대형 산불이다.

경찰 수사에 따르면 산청군 시천면의 초기 발화점 근처에서 농장(또는 목장)을 운영 중인 A씨가 21일 오후 잡초 제거를 위해 예초기를 사용하던 중, 불씨가 튀어 화재가 일어났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 경찰은 A씨를 상대로 추가적인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2. 경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산청-하동-진주 산불/경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피해[편집]

산불 피해를 입은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
  • 이번 산불로 인해 다수의 이재민, 천문학적인 재산 피해와 함께 산청과 하동에서 주택, 사찰, 창고 등 건축물 57개소가 소실되었다. 또한 인근에 있던 SM5 승용차가 산불에 휩쓸려 전소되는 등 차량 피해도 있었다.
  • 산불 연기가 멀리까지 타고 번져 진주시, 사천시 등에서 탄 내가 진동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치솟는 등 간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3월 22일 오후에 해가 붉게 보이는 현상이 일어났다.
  • 화재 현장에 있던 산소들이 모조리 불에 탔다. 이로 인해 상당수의 산소가 검게 변했고 일부는 잿더미에 파묻혀 형체조차 찾기 힘든 충격적인 상황이다.

4. 재난문자 및 안전안내문자[편집]

4.1. 3월 21일[편집]

⚠️ 긴급재난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긴급재난문자 모두 보기 ]
오늘 15:26 시천면 산불 발생. 점동, 국동, 원리, 서신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해당마을 및 인근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오늘 15:26 시천면 산불 발생. 국동, 점동, 원리, 서신, 서촌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인근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 안전안내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오늘 15:26 시천면 신천리 산39 산불 발생. 점동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산청군]
오늘 15:26 시천면 산불 발생. 점동마을, 국동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해당 마을 주민들은 원리마을회관 및 연화마을회관으로 즉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산청군]
오늘 15:26 시천면 산불 발생. 점동마을, 국동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해당 마을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4.2. 3월 22일[편집]

⚠️ 긴급재난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긴급재난문자 모두 보기 ]
시천면 산불진화중. 송하, 내공, 외공, 중태, 후평, 반천, 불계, 신천마을.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시천면 산불진화중. 중태, 송하 , 천평, 내공마을 등 산불위험마을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15:28:39
시천면 산불진화중. 단성면 자양마을 및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15:44:44
시천면 산불진화중. 시천면 전 마을 및 , 단성면 자양, 당산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16:31:38
시천면 산불진화중. 시천면 전 마을 및 , 단성면 자양, 당산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17:00:07
시천면 산불진화중. 시천면 전 마을 및 , 단성면 자양, 당산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17:31:45
시천단성 산불진화중. 시천면 전 마을 및 , 단성면 자양, 당산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18:38:57
(대피명령 발령) 18:30 하동군 옥종 산불 확산. 두양마을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옥종면 옥천관(옥종중앙길 132번지)으로 대피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2 19:23:26
시천단성 산불진화중. 시천면 전 마을 및 , 단성면 송하마을 및 자양리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 안전안내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어제 발생한 시천면 신천리 부근 산불 진화중. 입산 금지, 인근 주민께서는 위급 상황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산청군]
어제 시천면 산불 진화중. 하신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인근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어제 발생한 시천면 산불 진화중. 하신마을, 신천마을, 외공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인근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어제 시천면 산불 진화중. 외공 ,점동, 내공, 후평, 반천, 불계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인근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어제 시천면 산불 진화중. 중태 외공 ,점동, 내공, 후평, 반천, 불계마을 방향으로 확산중. 인근 주민들은 선비문화연구원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시천면 산불진화중. 중태, 외공 ,점동, 내공, 후평, 반천, 불계, 신천마을.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시천면 산불진화중. 내공, 외공 ,점동, 중태, 후평, 반천, 불계, 신천마을.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시천면 산불진화중. 송하, 내공, 외공, 중태, 후평, 반천, 불계, 신천마을.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2 20:37:12
시천단성 산불진화중. 시천면 전 마을 및 , 단성면 자양, 당산 등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산청군]

4.3. 3월 23일[편집]

⚠️ 긴급재난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긴급재난문자 모두 보기 ]
2025-03-23 15:04:45
(대피명령 발령) 하동군 옥종면 산불발생지역 인근 마을(궁항, 위태, 갈성) 주민께서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3 15:11:18
(대피명령 발령) 하동군 옥종면 산불발생지역 인근마을(고암, 위태, 갈성) 주민께서는 옥종초등학교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3 16:31:02
단성면 자양리 전원주택단지 산불 접근중,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3 17:32:25
(대피명령 발령) 하동군 옥종면 산불발생지역 인근마을(안계,가종,숲촌,고암,위태,갈성,두양,두방,종화) 주민께서는 지정된 대피소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하동군]
⚠️ 안전안내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시천 및 단성 산불진화중. 입산 절대 금지,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위급 상황 시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인근 지역 산불 발생으로 인한 연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당분간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고 입산 및 등산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진주시]
2025-03-23 15:21:47
시천, 단성 산불진화중. 소방차 및 산불진화차 진입에 어려움이 있으니 차량 운행 자제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3 16:15:34
시천 및 단성 산불진화중. 입산 절대 금지,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위급 상황 시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3 18:35:30
시천 및 단성 산불진화중. 입산 절대 금지,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위급 상황 시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4.4. 3월 25일[편집]

⚠️ 긴급재난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긴급재난문자 모두 보기 ]
2025-03-25 15:42:05
시천면 삼당마을 산불 접근중,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5 19:30:46
(대피명령 발령) 하동군 옥종면 산불확산에 따라 인근 마을( 문암, 대정, 가덕, 병천 등) 주민들은 옥천관 옆 테니스장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5 20:10:06
(대피명령 발령) 하동군 옥종면 산불확산에 따라 인근 마을( 문암, 대정, 가덕, 병천 등) 주민들은 옥천관 옆 테니스장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5 20:24:22
시천면 중태마을 산불 위험, 인근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산청군]
⚠️ 안전안내문자
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2025-03-25 15:02:04
하동군 옥종면 산불발생지역 인근 주민께서는 영농활동을 삼가시기 바라며.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5 15:12:56
건조한 날씨 및 강풍으로 산불 확산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산불발생 지역 작업 및 출입 금지 ▲산불발생지역 주민 신속히 대피 [산청군]
2025-03-25 16:22:20
현재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중입니다. 월횡리 부근 주민들께서는 지금 즉시 옥종 행복나눔센터로 대피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5 16:25:09
현재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중입니다. 월횡마을 주민들께서는 지금 즉시 옥종 행복나눔센터로 대피 바랍니다. [하동군]
2025-03-25 16:32:30
삼장면 신촌, 보안마을 산불 접근중, 인근 주민과 등산객은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바랍니다. [산청군]
2025-03-25 18:58:34
16:30 수곡면 자매리 산불 발생. 인근 주민(동월,자매,대우마을)은 진서중학교 강당으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진압 중 [진주시]
2025-03-25 19:22:48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산불 확산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산불발생 지역 작업 및 출입 금지 ▲산불발생지역 주민 신속히 대피 [산청군]
2025-03-25 19:33:36
16:30 수곡면 자매리 산불 발생. 인근 주민(동월,자매,대우,월계마을)은 진서중학교 강당으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진압 중 [진주시]

5. 뉴스특보/긴급재난방송[편집]

KBS 뉴스특보
파일:KBS 긴급뉴스.jpg
산불 규모가 꽤 커지며 뉴스특보를 편성했다.
MBC 뉴스특보
파일:MBC 산청산불 뉴스 특보.jpg
산불 규모가 꽤 커지며 뉴스특보를 편성했다.

6. 상황도[편집]

3월 21일 18시 45분
파일:산청 산불 상황도 202503211845.png
산불이 바람을 타고 멀리 있는 산으로 비화하였다.
3월 21일 22시 14분
파일:산청산불20250321 22:14.png
구곡산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3월 21일 23시 02분
파일:산청 산불 상황도 2025-03-21 233008.png
바람이 강하지 않아 크게 확산된 화선은 보이지 않는다.
3월 22일 05시 38분
파일:산청산불20250322 05:38.png
민가지역 화선은 정리가 되었다. 비화된 화선들이 한 개의 화선으로 뭉쳐지며 크게 확대되었다.
3월 22일 13시 38분
파일:스크린샷 산청 산불 상황도 20250322.png
산불이 남쪽으로 크게 확산하였다.
3월 22일 16시 23분
파일:산청산불 지도.png
하동 산불에서 발생한 산불이 비화한 것으로 파악되어 통합하였다.
3월 22일 18시 52분
파일:산청산불20250322 18:52.png
산불의 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3월 22일 20시 25분
파일:산청산불상황도_20.jpg
산불이 산을 타고 3개의 구역으로 빠르게 번졌다.
3월 22일 21시 29분
파일:산청산불20250322 21:29.png
화선이 길어짐에 따라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고 있다.
3월 23일 9시 6분
파일:산청산불2309.jpg
구곡산 자락의 화선은 거의 진화가 된 상태이고, 민가 쪽도 대부분 정리가 되어 화선의 과반수가 진화 완료 상태에 있다.
3월 23일 10시 52분
파일:산청산불20250323 10:52.png
헬기가 투입되고 많은 인력이 집중되면서 화선들이 정리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남부 화선이 다시 재발화함 따라 진화가 더욱 더 늦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3월 23일 15시 34분
파일:산청산불20250323 15:34.png
구곡산 정상부로 산불이 비화하여 지리산 부근으로 확산하고 있다.
3월 23일 17시 38분
파일:산청산불20250323 17:38.jpg
산불의 화선이 많이 진화가 된 모습이다.
3월 24일 06시 12분
파일:산청산불20250324 06:12.jpg
남부 화선에서는 비화가 발생하여 진화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3월 24일 11시 22분
하동군 일대로 크게 확산하였다.
3월 25일 08시 40분
산불의 화선 대부분이 진화되었다.
3월 26일 05시 00분
지리산 부근으로 확산하고 있다.

7. 반응[편집]

발화 당일인 3월 21일 오후 경상남도의회 최학범 의장과 국민의힘 소속 유계현 제1부의장, 허동원 경제환경위원장, 신종철 도의원은 산청 산불 현장에 방문하여 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받고 피해 현장을 직접 점검했다. 또한 산불 진화에 투입된 산림청, 소방, 군 등 관계자들과 진화대원들을 격려하며 조속한 진화와 인명·재산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총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22일에는 건설소방위원회 서희봉 위원장과 함께 다시 현장을 찾았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도 22일 산청 현장을 방문하여 산림청장에게 보고받고 행정안전부장관 등에게 총력 대응을 지시하였다. #

국민의힘은 22일 오후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을 통해 산불 진화 작업 중 순직한 진화대원을 추모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이어 "국민의힘은 이번 희생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겠다. 산불 대응은 장비와 인력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고위험 작업이다"라며 정부에 "진화대원과 구조 인력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체계적인 현장지휘 체계 정비와 실효성 있는 대응 매뉴얼 보완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2일 밤 희생자에 대한 추모의 뜻을 밝히며 현장 안전과 이재민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조금만 더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

3월 23일 자정을 앞두고 정부는 경상남도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였다. # 대형 산불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된 건 이번이 6번째다.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아침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산불 진화 중 숨진 4명의 진화대원과 공무원을 추모하는 메시지를 남겼다. # 또한 "정부와 지자체가 가용한 자산을 총동원해서 산불을 빨리 진화하고 이재민들을 잘 도와달라"고 강조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23일 오전 국회에 모여 화재로 숨진 진화대원과 공무원의 명복을 빌며 피해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발언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와 김건희 여사에 대한 수사, 최상목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 추진을 촉구하는 기자간담회를 시작했다. #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대도민 긴급 담화문을 발표, 활용가능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산청 산불 진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

3월 24일 17시 50분경, 정부가 경상남도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 #

8. 둘러보기[편집]

[1] 최초 신고 시각.[집계중] 2.1 2.2 2.3 [3] # 진화 과정에서 진화대원 2명이 사망, 2명이 실종되었었으며, 이후 실종자 2명 또한 사망했음이 밝혀졌다.[4] 단순 연기흡입 경상 1명, 진화대원 부상자 5명중 4명 중상, 1명 경상. 차량 사고로 인한 소방대원 2명 경상.[5] 임야 1㏊당 약 1억 20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한다.[8] 귀주 대첩에서 강감찬과 함께 공을 세운 강민첨이 심은 것으로 알려진 나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