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목록
2.1. 현존 정당
2.1.1. 원내2.1.2. 원외
2.2. 역사적 정당
2.2.1. 해방정국~제2공화국2.2.2. 제3~4공화국2.2.3. 제5~6공화국
3. 인물
3.1. 대통령3.2. 부통령3.3. 국회의장3.4. 국무총리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에서 주로 보수정당, 보수세력이라 통칭되는 정당.

그냥 보수정당이라 하면 대한민국에서 보수주의 이념을 표방한 모든 정당을 넣을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제도권 정치 내에서 민주당계 정당과 경쟁한 주류 보수정당들을 일컫는다.

2. 목록[편집]

2.1. 현존 정당[편집]

2.1.1. 원내[편집]

2.1.2. 원외[편집]

2.2. 역사적 정당[편집]

2.2.1. 해방정국~제2공화국[편집]


해방정국~제2공화국 시기 정당들은 5.16 군사정변 직후 완전히 해산되었다.

2.2.2. 제3~4공화국[편집]


제3~4공화국 시기 정당들은 1980년 신군부에 의해 완전히 해산되었다.

2.2.3. 제5~6공화국[편집]

제5공화국 시기 창당된 일부 정당들은 87년 개헌 이후에도 존속했다.

3. 인물[편집]

3.1. 대통령[편집]

3.2. 부통령[편집]

  • 제1대: 이시영[16]
  • 제5대: 이기붕[17]

3.3. 국회의장[편집]

3.4. 국무총리[편집]

4. 관련 문서[편집]

[여당] [제3지대] 2.1 2.2 제3지대 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3] 공식적으로는 정당이 아닌 단순 정치조직이었다.[4]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함께 민주자유당으로 신설 합당.[관제야당] [6] 당명 변경이 여러 차례 있었으나 법적으로 동일 정당이다.[7]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 등과 함께 미래통합당으로 신설합당.[9] 국민의당(2016년)과의 신설합당으로 창당되어 민주당계 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0] 국민의힘으로 당명 변경.[비례위성정당] 11.1 11.2 [13] 4선까지 시도하여 당선되었으나 해당 선거는 당사자가 임기 시작 전에 하야하여 무효화되었다.[14] 박정희 정부의 총리를 역임하다가 대통령이 되었으나 무소속으로 남았다.[15] 탄핵 심판 인용으로 인해 파면되어 전직 대통령 신분이 되었다.[16] 이승만과 함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으로 당선되었다.[17] 3.15 부정선거를 통해 당선되었으나 임기 시작 전에 사임한 후 피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