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역사[편집]
3. 특징[편집]
- 나무마크 테스트는 각 위키의 연습장에서 하면 되니 굳이 더시드위키까지 찾아서 오는 경우는 없다. 그래도 권한 실험이나 API 테스트를 위한 수요는 존재한다.
- 대부분의 문서는 편집 또는 토론에 참여하려면 아래에 나와 있듯이 인증을 진행해야 한다.
-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서는 문서 ACL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미 관련 토론도 있었으며 한번 착오로 삭제되었다가 다시 복구되었다.
- 2021년까지 정식 관리자는 총 3명이 존재했으나 이 중 namu와 연락이 가능하다는 Cocoa 쪽에 인사권이 있고 나머지 2명의 관리자는 장기간 부재로 인한 보안 위협을 이유로 모두 권한을 회수했다.[9] 사실상 소유자 대리인의 역할을 행사하는 셈. 이로 인해 권위적이라는 비판을 듣지만 이미 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에 해명을 한 뒤부터는 이렇다 할 일을 벌이지는 않는 편.
- 지속적인 반달로 인해 화이트리스트 제도가 도입되었다. 가입 후 15일 지난 사용자[10]가 더시드위키:인증 요청 문서에 토론을 발제하여 인증할 수 있다. 자신이 타 위키에서 정상 활동 중이라는 것을 인증하기만 하면 된다.
참 쉽죠?
3.1. 기능[편집]
- 사이트 주소가 https://theseed.io로, the seed의 본진이다.[11] 그래서 알파위키의 라이선스와 나무위키의 라이선스나 대부분의 스킨 하단에 이 위키로 향하는 링크가 걸려 있다.
- 정식 위키가 아니기 때문에 로고가 없고 텍스트로 '더시드위키'만 달아두었다.
- 나무위키의 토론 시스템 변경이 더시드위키에도 적용되어 있다.
- 나무마크 문법이 사용된다.
- 알파위키와 나무위키처럼 회원가입 시 이메일을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알파위키, 나무위키와는 다르게 이메일 허용 목록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 가끔 config를 보유한 일부 정식 관리자들이 화이트리스트를 테스트하기도 한다.
- 스킨이 벡터 스킨이었다. 미디어위키의 백터 스킨과 비슷하다. 그러다가 2020년 3월 1일에 리버티 스킨으로 변경되었다. 2024년 말부터 vutterfly가 기본 스킨으로 사용되고 있다.
- 원래 파일 업로드 기능을 지원하지 않았다가 2023년 3월 12일 파일 업로드 기능을 지원한다.
- 일부 권한을 사실상 이용할 수 없다. grant나 delete_thread 등이 대표적인 예시인데, 남용 시 복구하기가 어려워서라고.
3.2. 여담[편집]
- 더시드위키에 2017년 나무위키 XSS 공격 사건 보고서가 작성되면서 나온 말이 "사실 이런 거 적으려고 만든 위키겠지, 아마."인 걸 보아 개발 관련 테스트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위키인 듯 하다.
- umanle는 의외로 전현직 운영진의 더시드위키 활동을 따로 금지하지 않았다. 이미 나무위키 운영진이 관련 기능 테스트를 하러 오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전현직 운영진이 더시드위키에서 문제가 되는 행동을 해도 사측에서 관여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도 없다.
4. 콘텐츠[편집]
4.1. 끝말잇기[편집]
알파위키와 비슷한 문서로 끝말잇기와 조금 다르지만 토론 시스템으로 하는 끝말잇기가 있다. 2025년 1월 기준으로도 끝말잇기가 진행 중이다. 제일 오래간 끝말잇기는 2회 끝말잇기다.
현재 진행중인 끝말잇기 스레드
스레드 바로가기
현재 진행중인 끝말잇기 스레드
스레드 바로가기
- 종료된 끝말잇기 스레드 목록 [ 펼치기 · 접기 ]
- 끝말잇기 진행횟수진행 날짜토론 스레드 수2021년6월 23일 ~ 6월 24일#2096월 24일#5296월 24일 ~ 6월 25일#1126월 25일 ~ 6월 27일#576월 27일 ~ 7월 5일#1517월 5일 ~ 7월 13일#1617월 13일 ~ 7월 20일#1447월 20일 ~ 7월 23일#1107월 23일 ~ 7월 25일#1547월 25일 ~ 7월 29일#1117월 29일 ~ 8월 11일#1848월 11일 ~ 8월 22일#1228월 22일 ~ 9월 16일#1369월 16일 ~ 10월 5일#8210월 5일 ~ 11월 20일#12011월 20일 ~ 11월 30일#4412월 23일 ~ 2022년 4월 10일#1042022년4월 10일 ~ 8월 26일#125
5. 여담[편집]
- 알파위키가 A위키였을 시절에는 임시로 더시드위키의 하위 주소였던 https://awiki.theseed.io를 사용하였다. 그 주소는 새로 바뀐 알파위키에 리다이렉트되었다가, 2018년 9월 25일 알파위키를 폐쇄한 후 2019년 3월 경에 재개장한 이후부터는 다시 더시드위키의 하위 주소를 사용했다. 그러다 2021년 4분기 경 Werzey가 https://www.alphawiki.org 도메인을 5만원 정도에 입수한 후, 한동안은 넘겨주기 처리했다가 2022년 3월 24일부터는 namu에게 도메인을 넘기면서 2017년 11월 28일부터 사용했던 https://www.alphawiki.org로 다시 바뀌었다.
[1] namu, Cocoa, Vanilla, polish, Hashi, ltlapy, Ohio, Marth, Colorless, Yor[2] 더시드위키의 사용자:namu 문서 생성일자 기준.[3] 위브위키 및 위키백과와 라이선스가 같다. 알파위키, 나무위키와는 호환되지 않는다.[기준] 4.1 4.2 2024년 2월 19일 기준[6] IP 사용자는 원래 더시드위키 이름공간 문서를 제외하고는 읽을 권한조차 없었으나 ACL 조정으로 읽을 수는 있게 되었다. 참고로 활동할려면 인증을 해야하는데 가입하고 15일 후에 인증 요청 문서에 토론을 발제하고 타 위키 계정과 동일인임을 증명하면 된다. #[7] 기본 스킨[8] 알파위키, 나무위키는 CC BY-NC-SA 2.0 KR, 더시드위키와 위브위키는 CC BY-SA 4.0이다. 위키 엔진이 같아서 착각하는 유저들이 가끔 보인다. 서로 문서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본인 기여분인 경우 혹은 해당 문서에 기여한 기여자 모두의 동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다.[9] 다시 권한을 요청하면 다시 지급할 것이라고 했다.[10] 가입 후 15일 지난 사용자만 인증할 수 있으니 빨리 가입해 두는 것이 좋다.[11] 과거에는 알파위키도 https://awiki.theseed.io라는 주소를 썼고, the seed 개발 관련 건의를 남길 수 있는 더시드포럼의 주소도 https://feedback.theseed.io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