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분류
2.1. 이탈리아서방어군
2.1.1. 이탈리아달마티아어2.1.2. 갈리아이베리아어
2.1.2.1. 갈리아로망스어2.1.2.2. 이베리아로망스어
2.1.3. 기타
2.2. 동로망스어군2.3. 남로망스어군
3. 문자

1. 개요[편집]

Romance Languages.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의 하위 어군으로 고대 로마라틴어유럽 각지의 토착 언어들과 섞이고 다양하게 분화하면서 형성되었다.

2. 분류[편집]

독립국의 국어/제1공용어는 볼드체 처리.

2.1. 이탈리아서방어군[1][편집]

2.1.1. 이탈리아달마티아어[편집]

  • 이탈리아로망스어
      • 토스카나 방언(토스카나어)
        • 피렌체 방언
          • 표준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2]
      • 중부이탈리아어(중앙이탈리아어)
        • 로마네스코 방언(로마 방언)
    • 나폴리어
    • 시칠리아어
    • 유대이탈리아어[사어]
  • 달마티아이스트리아어[사어]
    • 달마티아어
    • 이스트리아어

2.1.2. 갈리아이베리아어[5][편집]

2.1.2.1. 갈리아로망스어[편집]
  • 오일어
  • 오크로망스어(옥시타니아로망스어)
    • 오크어(옥시타니아어)
      • 가스코뉴 방언(가스코뉴어)
      • 프로방스 방언
    • 카탈루냐어[6]
      • 발렌시아 방언(발렌시아어)[7]
      • 발레아레스 방언(발레아레스어)[8]
  • 프랑코프로방스어
  • 레토로망스어
    • 로망슈어
    • 라딘어
    • 프리울리어
  • 갈리아이탈리아어
    • 피에몬테어
    • 리구리아어
      • 제노바 방언(제노바어)
      • 모나코 방언(모나코어)
    • 롬바르디아어(롬바르드어)
    • 에밀리아로마냐어
      • 에밀리아 방언(에밀리아어)
      • 로마냐 방언(로마냐어)
2.1.2.2. 이베리아로망스어[편집]
  • 카스티야어
  • 갈리시아포르투갈어
    • 갈리시아어
    • 포르투갈어
  • 아스투리아스레온어
    • 아스투리아스어
    • 레온어
  • 아라곤어
  • 모사라베어[사어]

2.1.3. 기타[편집]

2.2. 동로망스어군[편집]

  • 루마니아어(로므니아어)
    • 왈라키아 방언(발라히아 방언)
    • 몰다비아 방언(몰도바어)[11]
  • 메글레노로마니아어
  • 이스트로로마니아어

2.3. 남로망스어군[편집]

3. 문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마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로망스어라는 이름답게 주로 로마자를 사용하는데 발칸 반도동유럽 일대에서는 그리스 문자[14]와 키릴 문자[15]로 표기된 적도 있고, 지금은 사멸한 언어인 모사라베어[16]의 경우 아랍 문자로 표기되기도 했다.
[1] 광의의 서로망스어군.[2] 사르데냐와의 교류가 많아서 남로망스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비교언어학적 연구가 발달하면서 토스카나 방언(토스카나어)의 일부로 재분류되었다.[사어] 3.1 3.2 3.3 3.4 더이상 모어 화자가 존재하지 않는 언어.[5] 협의의 서로망스어군.[6] 안도라 공국과 스페인 카탈루냐 주의 공용어.[7] 스페인 발렌시아 주의 공용어.[8]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의 공용어.[10] 이탈리아달마티아어에 속한다는 설과 갈리아이탈리아어에 속한다는 설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다.[11] 정작 몰도바에서는 그냥 루마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몰도바어는 러시아의 괴뢰국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만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13] 중세 초기까지 북아프리카에서 사용된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14] 그리스의 라틴계 소수민족 언어인 아로마니아어와 메글레노로마니아어.[15] 근대 이전 루마니아어.[16] 이슬람 세력 지배하의 이베리아 반도(알안달루스)의 기독교인들이 사용한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