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계통 | |||||||||||
언어 | |||||||||||
관련 신화 |
1. 개요[편집]
2. 분류[편집]
독립국의 국어/제1공용어는 볼드체 처리.
2.1. 이탈리아서방어군[1][편집]
2.1.1. 이탈리아달마티아어[편집]
2.1.2. 갈리아이베리아어[5][편집]
2.1.2.1. 갈리아로망스어[편집]
2.1.2.2. 이베리아로망스어[편집]
2.1.3. 기타[편집]
- 베네토어[10]
2.2. 동로망스어군[편집]
2.3. 남로망스어군[편집]
3. 문자[편집]
[1] 광의의 서로망스어군.[2] 사르데냐와의 교류가 많아서 남로망스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비교언어학적 연구가 발달하면서 토스카나 방언(토스카나어)의 일부로 재분류되었다.[사어] 3.1 3.2 3.3 3.4 더이상 모어 화자가 존재하지 않는 언어.[5] 협의의 서로망스어군.[6] 안도라 공국과 스페인 카탈루냐 주의 공용어.[7] 스페인 발렌시아 주의 공용어.[8]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의 공용어.[10] 이탈리아달마티아어에 속한다는 설과 갈리아이탈리아어에 속한다는 설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다.[11] 정작 몰도바에서는 그냥 루마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몰도바어는 러시아의 괴뢰국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만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13] 중세 초기까지 북아프리카에서 사용된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14] 그리스의 라틴계 소수민족 언어인 아로마니아어와 메글레노로마니아어.[15] 근대 이전 루마니아어.[16] 이슬람 세력 지배하의 이베리아 반도(알안달루스)의 기독교인들이 사용한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