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 라틴어: Lingua Latina.
- 영어: Latin Language.
2. 역사 및 방언[편집]
2.1. 상고 라틴어(고 라틴어)[편집]
2.2. 문어체와 민중 라틴어의 분화[편집]
라틴어는 로마 공화국의 팽창을 통해 지중해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고, 그 과정에서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해서 지식인들의 문어체로서 살아남은 고전 라틴어 및 그 후신 언어들과, 로망스어군으로 분화하게 되는 민중 라틴어로 나뉘었다.
2.2.1. 고전 라틴어[편집]
2.2.1.1. 후기 라틴어[편집]
Late Latin.
오현제 시대가 끝나고 로마가 쇠퇴를 겪은 2세기 말부터 중세 초기까지 사용된 고전 라틴어의 후신 격 언어.
비록 로마의 국력은 쇠퇴했지만 이 시기에도 라틴어는 제국 공용어로서의 위상을 유지했다.
오현제 시대가 끝나고 로마가 쇠퇴를 겪은 2세기 말부터 중세 초기까지 사용된 고전 라틴어의 후신 격 언어.
비록 로마의 국력은 쇠퇴했지만 이 시기에도 라틴어는 제국 공용어로서의 위상을 유지했다.
2.2.1.2. 중세 라틴어[편집]
Medieval Latin.
중세 유럽에서 사용된 후기 라틴어의 후신 언어로, 이 시기에도 지식인 및 성직자들은 라틴어를 꾸준히 사용했지만, 대다수 민중이 사용하는 언어는 점차 로망스어군으로 대체되었다.
중세 유럽에서 사용된 후기 라틴어의 후신 언어로, 이 시기에도 지식인 및 성직자들은 라틴어를 꾸준히 사용했지만, 대다수 민중이 사용하는 언어는 점차 로망스어군으로 대체되었다.
2.2.1.3. 르네상스 라틴어[편집]
Renaissance Latin.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
이 시기에는 모어로서 라틴어를 사용하던 화자는 전멸하고, 성직자 및 지식인들의 언어로서 명맥을 유지했는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 간 조약문에는 꾸준히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
이 시기에는 모어로서 라틴어를 사용하던 화자는 전멸하고, 성직자 및 지식인들의 언어로서 명맥을 유지했는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 간 조약문에는 꾸준히 사용되었다.
2.2.1.4. 근대 라틴어[편집]
Modern Latin.
16세기 이후부터 19세기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
이전 시대처럼 조약문에 쓰이는 국제 공용어로서의 위상을 유지하다가 18세기부터 프랑스어에 자리를 내주었다.
16세기 이후부터 19세기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
이전 시대처럼 조약문에 쓰이는 국제 공용어로서의 위상을 유지하다가 18세기부터 프랑스어에 자리를 내주었다.
2.2.1.5. 현대 라틴어[편집]
Contemporary Latin.
20세기부터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라틴어.
가톨릭 교회의 교회 라틴어, 생물학계의 학명 등으로 쓰이고 있다.
20세기부터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라틴어.
가톨릭 교회의 교회 라틴어, 생물학계의 학명 등으로 쓰이고 있다.
2.2.2. 민중 라틴어(속라틴어)[편집]
- 라틴어: Latina Vulgata.
- 영어: Vulgar Latin.
2.2.2.1. 로망스어군[편집]
2.2.3. 교회 라틴어[편집]
중세 시대부터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에서 전례 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라틴어로, 발음은 민중 라틴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시대에 따라 후기, 중세, 르네상스, 근대, 현대 라틴어와 상당 부분 겹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