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1790년, 하와이 제도의 킬라우에아에서 기록된 분화 중, 가장 치명적인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 일반적으로 킬라우에아는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용암을 천천히 분화하는 순상 화산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때의 분화은 강력한 폭발적 활동과 대규모 화쇄류를 동반하였다. 이 과정에서 화산재와 화산 가스, 암석 파편이 급격히 확산되었으며, 분화구 인근을 지나던 하와이 원주민 수백 명이 화쇄류에 휩쓸려 목숨을 잃었다. 이 사건은 킬라우에아가 단순한 용암류 분화을 하는 화산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 강력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다.
2. 분화의 원인과 지질학적 배경[편집]
킬라우에아는 하와이 열점 위에서 형성된 순상 화산으로, 점성이 낮은 용암을 분화하며 비교적 온순한 화산 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790년에는 이례적인 폭발적 분화이 발생하였으며, 그 원인은 칼데라 내부에 존재했던 지하수와 마그마의 상호작용 때문으로 추정된다.
당시 킬라우에아 칼데라에는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마그마가 칼데라 아래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이 호수의 물과 접촉하면서 갑작스럽게 수증기로 변했고, 이 과정에서 극도로 강한 압력이 축적되었다. 결국 마그마가 지하수와 접촉하며 연쇄적인 수증기 폭발이 발생하였고, 엄청난 양의 화산재와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화되었다. 또한, 강력한 폭발로 인해 칼데라 내부의 암석이 분해되며 화쇄류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당시 킬라우에아 칼데라에는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마그마가 칼데라 아래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이 호수의 물과 접촉하면서 갑작스럽게 수증기로 변했고, 이 과정에서 극도로 강한 압력이 축적되었다. 결국 마그마가 지하수와 접촉하며 연쇄적인 수증기 폭발이 발생하였고, 엄청난 양의 화산재와 가스가 대기 중으로 분화되었다. 또한, 강력한 폭발로 인해 칼데라 내부의 암석이 분해되며 화쇄류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3. 1790년 분화의 진행 과정[편집]
3.1. 전조 현상과 마그마 상승[편집]
분화이 발생하기 전, 킬라우에아 내부에서는 강한 지진 활동이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진 활동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상승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며, 이와 함께 칼데라 내부에서 가스 분화이 증가하는 현상도 관측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마그마가 천천히 상승하는 동안, 칼데라 아래의 지하수와 접촉하게 되면서 열 교환이 일어났고, 점차 압력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결국, 임계점에 도달한 순간 강력한 폭발이 일어났다.
마그마가 천천히 상승하는 동안, 칼데라 아래의 지하수와 접촉하게 되면서 열 교환이 일어났고, 점차 압력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결국, 임계점에 도달한 순간 강력한 폭발이 일어났다.
3.2. 폭발적 분화과 화산재 확산[편집]
폭발이 시작되자 킬라우에아 칼데라에서는 대량의 화산재와 암석 파편이 하늘로 치솟았다. 화산재 기둥은 수 킬로미터 높이까지 상승하며 주변 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화산탄이 분화구에서 수 킬로미터 떨어진 지역까지 날아갔다.
화산재는 바람을 타고 하와이 섬 남동부까지 확산되었으며, 하늘이 어두워지고 기온이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화산가스가 다량 포함된 화산재가 강한 바람을 타고 이동하면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에 따른 피해도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재는 바람을 타고 하와이 섬 남동부까지 확산되었으며, 하늘이 어두워지고 기온이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화산가스가 다량 포함된 화산재가 강한 바람을 타고 이동하면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에 따른 피해도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3. 화쇄류 발생과 대규모 인명 피해[편집]
폭발적 분화이 절정에 달하면서, 화산 분화구에서 화쇄류가 빠르게 퍼져 나갔다. 화쇄류는 초고온의 화산재, 가스, 암석 조각이 포함된 밀도가 높은 구름 형태로, 시속 100km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며 지형을 따라 흘러내렸다.
당시 화산 주변을 지나던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 급격한 변화에 대응할 시간이 거의 없었다. 화쇄류는 뜨거운 화산 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즉각적인 호흡 곤란과 함께 피부 화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피할 수 없는 재난이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수백 명이 이 화쇄류에 휩쓸려 목숨을 잃은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화산 주변을 지나던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 급격한 변화에 대응할 시간이 거의 없었다. 화쇄류는 뜨거운 화산 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즉각적인 호흡 곤란과 함께 피부 화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피할 수 없는 재난이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수백 명이 이 화쇄류에 휩쓸려 목숨을 잃은 것으로 전해진다.
3.4. 1790년 분화의 결과와 영향[편집]
3.4.1. 지형 변화와 킬라우에아 칼데라 형성[편집]
1790년 분화 이후, 킬라우에아 칼데라는 현재의 형태로 변화하였다. 강력한 폭발로 인해 기존의 칼데라 구조가 무너지고, 새로운 분화구와 균열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킬라우에아 칼데라 내부에 있던 할레마우마우 분화구(Halemaʻumaʻu)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3.4.2. 기후와 환경 변화[편집]
화산재와 가스의 방출로 인해 하와이 지역의 기후에도 일시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확산되면서 태양광 차단 효과를 유발하여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이산화황(SO₂)과 같은 화산가스는 대기 중에서 황산에어로졸로 변환되며, 이는 강우량 감소와 토양 산성화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식생에도 화산재가 쌓이면서 농작물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3.4.3. 하와이 원주민 사회와 문화적 영향[편집]
3.4.4. 이후 킬라우에아의 활동과 비교[편집]
1790년의 강력한 폭발 이후, 킬라우에아는 상대적으로 조용한 용암류 분화을 지속해 왔다. 그러나 1924년과 2018년에 다시 폭발적 분화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1790년과 유사한 분화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 1924년 할레마우마우 폭발: 지하수가 마그마와 접촉하며 강력한 폭발을 일으켰으며, 화산재 기둥과 암석 파편이 대량으로 방출되었다.
- 2018년 킬라우에아 분화: 1790년과 유사하게, 칼데라 붕괴와 함께 폭발적 분화이 동반되었으며, 용암이 급격히 분화하며 지형 변화를 일으켰다.
4. 여담[편집]
1790년 킬라우에아 화산 분화은 하와이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화산 폭발 중 하나였으며, 강력한 화쇄류와 폭발적 분화이 결합된 대형 재난이었다. 이 사건은 킬라우에아가 주로 조용한 용암류를 분화하는 화산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조건에서 강력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분화로 인해 킬라우에아 칼데라는 현재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하와이 원주민 사회에서는 이를 신의 경고로 해석하며 문화적으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1790년의 교훈은 현대 화산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킬라우에아의 활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 분화로 인해 킬라우에아 칼데라는 현재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하와이 원주민 사회에서는 이를 신의 경고로 해석하며 문화적으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1790년의 교훈은 현대 화산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킬라우에아의 활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