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2. 지역별 근세
2.1. 서양사
2.1.1. 기점2.1.2. 시대상
2.1.2.1. 정치2.1.2.2. 지리상의 발견2.1.2.3. 문화
2.2. 동아시아사
2.2.1. 한국사2.2.2. 일본사
2.3. 인도사

1. 개요[편집]

Early Modern.

근세는 근대의 초기에 해당하는 시대다.

원래 의미를 생각하면 그냥 '근대 초기'라 번역하는 게 옳겠지만, 일본에서 아직 중세의 잔재가 남아있고 본격적인 근대[1]로 넘어가는 과도기라는 점에 주목하여 근세라는 번역어를 만들어냈고, 이에 따라 동아시아에서는 근세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다만 이러한 과도기적 속성의 강조 탓에 한국과 일본에서는 근대의 일부가 아닌 중세도 근대도 아닌 시대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다.

2. 지역별 근세[편집]

2.1. 서양사[2][편집]

2.1.1. 기점[편집]

일반적으로는 동로마 제국(로마 제국)이 멸망한 1453년부터 산업 혁명 이전까지를 근세(Early Modern)이라 한다.

2.1.2. 시대상[편집]

2.1.2.1. 정치[편집]
  • 절대왕정
2.1.2.2. 지리상의 발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항해시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3. 문화[편집]

2.2. 동아시아사[편집]

2.2.1. 한국사[편집]

한국사에서는 1392년 조선 건국 직후부터 1876년 강화도 조약 이전까지가 근세로 분류된다.

2.2.2. 일본사[편집]

일본사에서는 에도 시대가 근세로 분류된다.

2.3. 인도사[편집]

인도사에서는 무굴 제국이 존속하던 1526년부터 1857년까지가 근세로 분류된다.
[1] 후기 근대(After Modern).[2] 유럽사와 북미사, 라틴아메리카사 포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