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 자치군 나주시 羅州市 Naju City | |||
시기 | CI | ||
표어 | |||
살기좋은 행복 나주 앞서가는 으뜸 나주 | |||
위치 | |||
기본 정보 | |||
국가 | |||
도 | 전라남도 | ||
군청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시청길 22 | ||
하위 행정구역 | 1읍 12면 34법정동 | ||
면적 | 608.4㎢ | ||
시장 | 윤병태 | ||
상징 | |||
시화 | 배꽃 | ||
시목 | 은행나무 | ||
시조 | 비둘기 | ||
인문 환경 | |||
인구 | 116,752[1] | ||
인구 밀도 | 191.90/㎢ | ||
기타 정보 | |||
홈페이지 | |||
SNS |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전라남도의 행정구역
2. 연혁[편집]
- 삼한시대: 마한 54개 소국에 속하고, 백제시대에는 발라ㆍ통의라 칭하였다.
- 통일신라시대: 금성군(일명 금산)이라 칭하다가 903년(효공왕 7)에 나주라 개칭되었으며 후삼국시대에는 후백제의 영지였다.
- 고려시대
- 983년(성종 2)전국 12목(牧) 중의 하나로 나주목이 설치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 이르러 병마절도사를 두어 군대의 칭호를 진해군이라 하였다.
- 1011년(현종 2) 거란의 침입으로 잠시 피난왕도가 되었으며(기간 1011년 1월 13일~1월31일까지) 1018년 전국8목중 하나로 나주목이 되어 1895년까지 계속되었다.
- 조선시대
- 세조 2년(1457년) 병영의 하부조직인 거진(巨鎭)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인 병마사(兵馬使)는 목사(牧使)가 겸임하였다.
- 효종 8년(1657년) 나주거진(羅州巨鎭)을 전라우영(全羅우右營)으로 개편함으로써 우영장(右營將)을 두어 2군 8현의 군비를 장악하게 한바, 관할 구역이 확대되었다.
- 고종 32년(1895년) 5월 갑오경장 후 근대적인 지방행정제도 개혁에 따라 목사(牧使)와 우영장(右營將 )을 없애고 나주군수(羅州郡守)를 두고 나주관찰부(羅州觀察部)를 설치하였다.
- 1900년대 초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남평군(南平郡) 일원과 함평군(咸平郡)의 적량(赤良),장본(章本). 여황(餘隍)과 광산군 소지면 송록리(光山郡 所持面 松錄里), 송하리(松下里)를 편입(43面).
-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1913.12.29.공포)로 부군면(府郡面) 폐합에 따라 19面이 됨
- 1929년 4월 나주(羅州),나신(羅新) 양면을 병합하여 나주면이 됨(18面)
- 1931년 11월 1일 부령 제132호(1931.10.20 공포)로 나주면이 나주읍으로 승격하여 1邑 17面이 됨.
- 1937년 7월 1일 부령 제80호(1937.6.28.공포)로 영산면이 영산포읍으로 승격하여 2邑 16面이 됨.
- 8ㆍ15 해방후 1949년 8월 14일 대통령령 제161호(1949. 8. 13 공포)로 삼도면, 평동면, 본량면이 광산군으로 편입되어 2邑 13面이 됨.
- 1971년 5월 19일 나주군조례 제385호(1971. 5. 19 공포)로 다도면 다소출장소와 봉황면 남부출장소가 설치되어 2邑 13面 2個 출장소 188동리 435운영동리 671자연마을로 됨.
- 1980년대
- 1981년 7월 1일 법률 제3425호(1981. 4. 13. 공포)로 나주읍·영산포읍이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 (市 : 11동, 郡 : 13면 2개 출장소)
-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공포)로 나주군 문평면 청정리 ·운봉리·신광리 및 옥당리 일부를 다시면에 편입
-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978호(1985.12.28. 공포)로 금성시를 나주시로 시 명칭 변경
- 1990년대
- 1995년 1월 1일 법률 제4774호(1994.8.3. 공포)로 나주시·나주군 통합 13면 11동 2개 출장소
- 1995년 3월 1일 법률 제4789호 (1994.12.20. 공포)로 남평면이 남평읍으로 승격 1읍 12면 11동 2개 출장소
- 1996년 2월 10일 나주시조례 제169호(1996.2.10. 공포)로 나주시 삼도동 일부를 금천면에 편입
- 1996년 6월 24일 나주시조례 제184호(1996.6.24. 공포)로 반남면 하촌리를 성계리로, 다시면 신풍리를 회진리로 리 명칭 변경
- 1998년 10월 1일 나주시조례 제314호(1998. 9. 14. 공포)로 향교동·금남동· 남산동을 금남동으로, 성북동·송현동을 성북동으로, 영산동·부덕동을 영산 동으로, 이창동·가야동을 이창동으로 통폐합 나주시조례 제313호(1998.9.14. 공포)로 다도면 다소출장소, 봉황면 남부출장소를 폐지(1읍 12면 6동)
- 1999년 9월 28일 나주시조례 제360호(1999. 9. 28. 공포)로 나주시 산포면 덕례리 일부를 남평읍 평산리로, 산포면 등수리 일부를 남평읍 교원리로, 왕곡면 신원리 일부를 세지면 죽동리에 편입
- 2000년대
- 2001년 5월 2일 나주시조례 제424호(2001. 5. 2. 공포)로 노안면 학산리 5개 리를 7개리로 분구
- 2003년 7월 1일 나주시규칙 제310호(2003. 7. 1. 공포)로 성북동 22개통 98개반을 23개통 108개반으로, 이창동 22개통 74개반을 22개통 79개반으로 조정
- 2005년 5월 20일 나주시조례 제574호(2005. 5. 20. 공포)로 남평읍 교원리 3구를 3구와 4구로 분구
- 2007년 3월 7일 나주시규칙 제375호(2007.3.7. 공포)로 성북동 10통3반을 성북동 24통 25통으로 통 신설
- 2008년 11월 3일 나주시조례 제745호(2008.11.3.공포)로 세지면 내정리 1구를 1구와 3구로, 산포면 등수리 1구를 1구와 2구로 분구
- 2009년 11월 20일 나주시규칙 제443호(2009.11.20.공포)로 영산동 23통을 영산동 23통, 24통으로 분통
3. 자연환경[편집]
- 출처: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나주시
남동부에 용제산(龍帝山, 323m) · 덕룡산(德龍山, 376m) 등이 있고, 북서부에 옥산(玉山, 334m) · 금성산(錦城山, 450m) · 신걸산(信傑山, 368m) 등이 있다. 높이 약 400m 내외의 이들 산지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20∼50m의 구릉지와 10m 이하의 평야이다.
구릉지는 과수원으로 개발되었으며 나주평야는 전라남도의 곡창지대를 이룬다. 지석천 연안에 남평들과 산포들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남평읍 소재지에서 화순군 능주 사이를 흐르는 지석천은 일명 ‘드들강’이라고도 부른다. 이 부분은 길이가 4km이며, 유역에 발달된 남평평야와 화순평야 등의 주요 미곡산지를 관개한다.
시의 북동쪽에서 황룡강(黃龍江)과 극락강(極樂江)이 남류하다가 다시 지석강(砥石江)과 합류하는데, 이 지석강의 지류를 막아 건설한 나주 댐이 영산강 유역의 넓은 나주평야를 관개하고 있다. 이 댐은 작물 성장에 알맞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면에서 3m 이내의 표면수만을 취수할 수 있는 특수 취수탑과, 물의 효율적 관리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유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영산강은 시의 중앙을 북동에서 남서로 흐르면서 시를 양분하고 있다. 영산강 하류는 너비가 좁은 관계로 낮은 지대는 상습 수해지역이 되고 있다. 이들 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넓은 평야와 낮은 구릉지대가 발달되고 땅이 기름져 예로부터 농경이 발달하였다.
영산강의 지류인 문평천 유역과 이 하천이 합류한 영산강 북안에 다시평야가 발달해 있다. 이 곳은 크게 나주평야의 일부라 할 수 있으며, 총면적은 1,400ha에 이른다. 문평천을 가로막아 만든 백룡제라는 저수지가 관개용수로 이용되며, 경지 정리가 잘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구릉지는 과수원으로 개발되었으며 나주평야는 전라남도의 곡창지대를 이룬다. 지석천 연안에 남평들과 산포들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남평읍 소재지에서 화순군 능주 사이를 흐르는 지석천은 일명 ‘드들강’이라고도 부른다. 이 부분은 길이가 4km이며, 유역에 발달된 남평평야와 화순평야 등의 주요 미곡산지를 관개한다.
시의 북동쪽에서 황룡강(黃龍江)과 극락강(極樂江)이 남류하다가 다시 지석강(砥石江)과 합류하는데, 이 지석강의 지류를 막아 건설한 나주 댐이 영산강 유역의 넓은 나주평야를 관개하고 있다. 이 댐은 작물 성장에 알맞은 온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면에서 3m 이내의 표면수만을 취수할 수 있는 특수 취수탑과, 물의 효율적 관리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유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영산강은 시의 중앙을 북동에서 남서로 흐르면서 시를 양분하고 있다. 영산강 하류는 너비가 좁은 관계로 낮은 지대는 상습 수해지역이 되고 있다. 이들 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넓은 평야와 낮은 구릉지대가 발달되고 땅이 기름져 예로부터 농경이 발달하였다.
영산강의 지류인 문평천 유역과 이 하천이 합류한 영산강 북안에 다시평야가 발달해 있다. 이 곳은 크게 나주평야의 일부라 할 수 있으며, 총면적은 1,400ha에 이른다. 문평천을 가로막아 만든 백룡제라는 저수지가 관개용수로 이용되며, 경지 정리가 잘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4. 조직 및 재정[편집]
- 행정조직 : 3실, 6국, 1센터, 1직속기관, 2사업소, 1읍 12면 7행정동
- 시의회 : 의원 16명, 의회사무과 37명
2024년 나주시 예산기준 재정공시 | |
예산 규모(통합회계) | 9,810 억 |
재정자립도 | 16.8% |
재정자주도 | 59.3% |
통합재정수지비율 | -0.9% |
지방보조금비율 | 1.7% |
자체사업비율 | 42.2% |
4.1. 상징물[편집]
- 심볼마크
나주시의 뿌리깊은 역사, 경제, 문화를 나이테에 담아 차별화를 시도했으며, 아래의 푸른 물줄기는 영산강을 의미하고 막힘없이 전진하는 나주시의 미래상을 표현 나이테가 가지는 2개의 원은 민과 관이 하나의 구심점을 향해 공동체를 형성한다는 뜻이며 특산물인 "나주배"를 상징한다.
- 배꽃: 배는 역사적으로 나주의 대표적 명산물로서 꽃은 시민의 순결성을 표현하고 꽃잎이 다함께 피고 지므로 시민들의 굳은 의지와 단결심을 상징
- 은행나무: 자태가 유연하고 꿋꿋하며 부드럽고 너그러운 시민의 기질을 상징
- 비둘기: 성질이 온순하여 옛부터 길조로서 평화를 상징하며 시민의 화합과 시의 발전을 상징
- 캐릭터 배돌이
나주시가 선정한 캐릭터 배돌이는 성공적인 혁신도시와 수려한 자연환경, 2천년의 유서깊은 역사의 기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나주시의 상징인 배를 의인화 하여 힘찬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밝고 친근감 있는 모습과 힘차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밝은 미래와 희망이 가득찬 나주인의 기상과 의지를 잘 나타내어 주고 있다.
- 캐릭터 버들낭자
캐릭터 "버드리"는 역사속의 인물 장화왕후 '오씨'를 모티브로 하여 귀족적인 모습을 남녀노소 모두가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캐릭터로 새로이 디자인 하였다. 나주의 희망적인 미래를 새롭게 만들어갈 '버드리'는 지혜롭고 총명하며 우아함과 섬세한 아름다움까지 겸비한 나주시의 상징이다. 고려시대 이래 천 여 년간의 역사를 바탕으로 호남 제일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나주를 만들어 나갈 것이다.
- 캐릭터 홍돌이
'홍돌이'는 나주의 특산품인 영산포 홍어가 시민에게 친근한 모습으로 다가 갈 수 있도록 캐릭터화 하였다. 형태와 색상은 우리가 알고있는 홍어의 특성을 참신하게 잘 살려 모든 이 들에게 보다 친근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고, 홍돌이의 반짝이는 커다란 두 눈은 밝은 미래와 활기찬 나주시민의 모습을 상징하고 있다. 정겨운 캐릭터의 미소 속 에 홍어의 톡 쏘는 알싸한 맛과 특유의 향이 스며들어 있다.
5. 경제[편집]
산업별 취업자 수 (단위:명, 2022) | |
농업· 임업 및 어업 | 18,000 |
광업·제조업 | 7,800 |
건설업 | 5,500 |
도소매·음식숙박업 | 8,600 |
전기·운수·창고·금융 | 8,200 |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 25,200 |
고용률 (단위:%, 2022) | |
2015 | 64.0 |
2016 | 66.2 |
2017 | 63.2 |
2018 | 65.9 |
2019 | 67.8 |
2020 | 66.0 |
2021 | 67.6 |
2022 | 65.3 |
6. 교통[편집]
7. 교육[편집]
- 교육시설 : 84개소(유치원 30, 초 24, 중 17, 고 12, 특 1, 대 5)
8. 행정 구역[편집]
읍 | 1 |
면 | 12 |
행정동 | 7 |
법정동 | 34 |
행정리 | 454 |
법정리 | 154 |
통 | 170 |
반 | 1,667 |
자연마을 | 723 |
읍면동명 | 법정동 |
읍·면·동현황 | |
남평(南平)읍 | 남평리 ,대교리 동사리, 교촌리 교원리, 서산리 오계리, 상곡리, 우산리, 남석리, 풍림리, 노동리, 광촌리, 수원리 광이리, 평산리 |
세지(細枝)면 | 오봉리, 대산리, 내정리, 동곡리, 죽동리, 송제리, 교산리, 벽산리, 성산리 |
왕곡(旺谷)면 | 덕산리, 본양리, 옥곡리, 송죽리, 신포리, 월천리, 화정리, 행전리, 신원리, 신가리, 양산리, 장산리 |
반남(潘南)면 | 흥덕리, 석천리 덕산리, 신촌리 대안리, 청송리 성계리 |
공산(公山)면 | 금곡리, 남창리, 백사리, 신곡리,중포리, 가송리, 동촌리, 화성리, 상방리, 복용리 |
동강(洞江)면 | 인동리, 월량리, 진천리, 대전리, 장동리, 옥정리, 곡천리, 대지리, 월송리, 양지리, 운산리 |
다시(多侍)면 | 영동리, 월태리, 가운리, 복암리, 가흥리, 신석리, 죽산리, 문동리, 동당리, 송촌리, 동곡리, 청정리, 운봉리, 신광리, 회진리 |
문평(文平)면 | 안곡리, 송산리, 북동리, 동원리, 대도리, 계로리, 학교리, 국동리, 옥당리, 산호리, 학동리, 오룡리 |
노안(老安)면 | 금동리, 장동리, 학산리, 도산리, 유곡리, 계림리, 안산리, 용산리, 구정리, 영평리, 금안리, 오정리, 양천리 |
금천(金川)면 | 오강리, 고동리, 광암리, 신천리, 죽촌리, 월산리, 동악리, 석전리, 촌곡리, 신가리, 원곡리 |
산포(山浦)면 | 매성리, 신도리, 송림리, 화지리, 산제리, 등수리, 등정리, 내기리, 덕례리 |
다도(茶道)면 | 판촌리, 송학리, 풍산리, 덕동리, 궁원리, 신동리, 방산리, 마산리, 암정리, 덕림리, 도동리 |
봉황(鳳凰)면 | 죽석리, 철천리, 각동리, 송현리, 장성리, 유곡리, 옥산리, 용전리, 와우리, 황용리, 신동리, 욱곡리, 오림리, 덕림리, 운곡리, 용곡리, 만봉리, 덕곡리 |
송월(松月)동 | 토계동, 송월동 |
영강(榮江)동 | 안창동, 삼영동 |
금남(錦南)동 | 교동, 서내동, 산정동, 경현동, 보산동, 금계동, 금성동, 남내동, 남외동, 죽림동, 삼도동 |
성북(城北)동 | 과원동, 성북동, 중앙동, 대호동, 송촌동, 석현동, 청동 |
영산(榮山)동 | 영산동, 용산동, 관정동, 평산동, 부덕동 |
이창(二倉)동 | 이창동, 대기동, 운곡동, 동수동, 오량동, 진포동 |
빛가람동 | 빛가람동 |
9. 교류 도시[편집]
국제 교류 | 결연 체결일 | |
자매 결연 | 일본 돗토리현 구라요시시 | ‘93.07.20. |
미국 워싱턴주 웨네치시 | ‘94.10.15. | |
우호 교류 | 중국 절강성 여요시 | ‘97.06.16. |
중국 길림성 백산시 | ‘97.06.21. | |
중국 안휘성 이신현 | ‘98.04.01. | |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시 셀르겔리구 | ‘07.04.02. | |
중국 강서성 남창시 | ‘07.05.31. | |
미국 메릴랜드주 하워드카운티 | ‘16.07.12. | |
덴마크 해더슬레브시 | ‘16.10.16. | |
중국 절강성 태주시 | ‘17.02.14. | |
필리핀 팜팡가주 | ‘22.11.12. |
국내 교류 | 결연 체결일 | |
자매 결연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99.09.29. |
서울특별시 종로구 | ‘05.04.18. | |
경상남도 김해시 | ‘98.12.16. | |
울산광역시 중구 | ‘12.05.11. | |
충청북도 음성군 | ‘12.05.11. | |
광주광역시 남구 | ‘23.02.13. |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3.10.24. | |
우호 교류 | 서울특별시 | ‘17.04.25. |
동주 도시[2] | 경주시 · 공주시 · 광주시 · 상주시 · 양주시 · 여주시 · 영주시 원주시 · 전주시 · 제주시 · 진주시 · 청주시 · 충주시 · 파주시 | ‘03.6.21. |
10. 기타[편집]
- 나주시 캐릭터 버들낭자의 옛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