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木浦市 Mokpo City | |||
![]() | |||
시기 | CI | ||
표어 | |||
낭만항구 목포 | |||
위치 | |||
기본 정보 | |||
국가 | |||
도 | |||
시청 소재지 | 전라남도 목포시 양을로 203 | ||
하위 행정구역 | 23행정동 64법정동 | ||
면적 | 51.67㎢ | ||
시장 | 박홍률 | ||
상징 | |||
시화 | 백목련 | ||
시목 | 비파나무 | ||
시조 | 학 | ||
인문 환경 | |||
인구 | 209,890[1] | ||
인구 밀도 | 4062.13/㎢ | ||
기타 정보 | |||
홈페이지 | |||
SNS |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전라남도의 행정구역
2. 연혁[편집]
- 상고시대: 삼한의 부족국가시대에는 마한의 세력권에 속했다.
- 삼국시대: 백제 근초고왕 연대(346~375) 백제에 병합되어 물아혜군에 속함 신라 경덕왕대 면주에 속했다.
- 고려시대
- 혜종3년(946) 물양군이라 개칭
- 6대성종조(995) 해양도 원라주목 무안현에 귀속
- 8대현종조(1018) 전라도의 한 지역으로 귀속
- 조선시대
- 예종조(1632) 전라도에 귀속
- 인조조 광남도에 귀속
- 영조조(1728) 전광도에 귀속
- 고종32년(1895) 무안군에서 성립
- 1897.10.1 개항하여 무안항 또는 목포부로 명명
- 1906~1911 목포~서울간 도로 개통
- 1911년 5월 상수도 시설 완비
- 일제식민시대
- 1910.10.1 목포부로 개칭
- 1932. 무안군 이로면 죽교리 전역 산정리 일부 병합 (전국 6대도시의 하나가 됨)
- 1914.1.22 호남선 철도 개통
- 8·15 광복 이후
- 1948.4.1 동으로 단위구역명칭 개정
- 1949.8.15목포부를 목포시로 개칭
- 1952.4.25 제1회 지방선거로 시의회 구성과 함께 민선시장 선출
- 1963.1.1 무안군 이로면 일부를 합병
- 1973.7.1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를 이로동으로 합병
- 1987.1.1 무안군 삼향면 대양리, 옥암리를 편입
- 1994.7.6 이로동을 용해동과 상동으로 분동 (29개동)
- 1997.1.1 29개동을 26개동으로 조정
- 1998.8.25 서해안고속도로 개통
- 2004.4.1 KTX 서비스
- 2006.8.7 26개동을 22개동으로 조정
- 2011.12.26 옥암동을 옥암동과 부주동으로 조정 (23개동)
3. 자연환경[편집]
- 출처: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목포시
무안반도 남단에 위치하며, 동쪽에 입암산(笠巖山, 121m), 서쪽에 유달산(儒達山, 228m), 북쪽에 양을산(陽乙山, 156m) · 대박산(大朴山, 156m) · 지적봉(芝積峰, 189m) 등으로 둘러 있고 남쪽은 영산강 하구에 면해 있다. 주변에 13개의 도서가 넓게 펼쳐져 있어 경치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방파제 구실을 하여 천연적인 양항의 조건을 보인다.
시가지 서남쪽의 유달산은 고려시대인 1351년(충정왕 3)에 봉수대가 설치되었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쌓여 있는 것처럼 위장했다는 일명 노적봉(露積峰)이 있으며, 삼학도(三鶴島)는 1968년 이후 목포와 연결되었다.
노령산맥에서 시작되는 영산강은 나주평야를 지나 목포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시가지 주변의 영산강 하구에는 연변 · 북항 · 대반동 · 백련동 · 갓바위해안 등의 간석지가 있다. 이들 간석지는 육상으로부터의 지속적인 퇴적과 바닷물의 유입횟수가 줄면서 정착하게 된 염생식물 덕분에 퇴적물의 집적과 간척이 용이해져 농경지 · 주택지 · 공장부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영산강 유역은 강수의 편의율(偏倚率: 치우치는 정도)이 상당하여 매년 상습적인 한해(旱害) · 홍수 등의 피해가 빈번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영암군 삼호반도(三湖半島)와의 사이에 하구둑이 축조되어 영산강은 영산호로 변하였다. 해안선 길이는 66.9㎞이다.
고하도(高下島) · 눌도(訥島) · 달리도(達里島) 등 6개의 유인도와 5개의 무인도가 있다.
시가지 서남쪽의 유달산은 고려시대인 1351년(충정왕 3)에 봉수대가 설치되었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쌓여 있는 것처럼 위장했다는 일명 노적봉(露積峰)이 있으며, 삼학도(三鶴島)는 1968년 이후 목포와 연결되었다.
노령산맥에서 시작되는 영산강은 나주평야를 지나 목포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시가지 주변의 영산강 하구에는 연변 · 북항 · 대반동 · 백련동 · 갓바위해안 등의 간석지가 있다. 이들 간석지는 육상으로부터의 지속적인 퇴적과 바닷물의 유입횟수가 줄면서 정착하게 된 염생식물 덕분에 퇴적물의 집적과 간척이 용이해져 농경지 · 주택지 · 공장부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영산강 유역은 강수의 편의율(偏倚率: 치우치는 정도)이 상당하여 매년 상습적인 한해(旱害) · 홍수 등의 피해가 빈번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영암군 삼호반도(三湖半島)와의 사이에 하구둑이 축조되어 영산강은 영산호로 변하였다. 해안선 길이는 66.9㎞이다.
고하도(高下島) · 눌도(訥島) · 달리도(達里島) 등 6개의 유인도와 5개의 무인도가 있다.
4. 조직 및 재정[편집]
- 행정조직 : 2실, 7국, 2직속기관, 1사업소, 23행정동
- 시의회 : 의원 22명, 의회사무과 29명2024년 목포시 예산기준 재정공시예산 규모(통합회계)1조 543억재정자립도16.4%재정자주도46.9%통합재정수지비율-3.8%지방보조금비율1.4%자체사업비율15.6%
4.1. 상징물[편집]
- 심볼마크
º 기의 바탕(화이트) : 변화 ·도약·발전하는 목포시의 비전을 표현
º 세 개의 도형(상단 그린, 하단 블루) : 파도의 역동성을 깃발의 형태로 상징
º 중앙의 백공간(화이트) : 목포시의 제1상징 요소인 유달산의 이미지
º 하단곡선(블루) : 항구도시의 상징인 배를 형상화
- 시화 - 백목련
º 백목련 (白木蓮) 목련과의 교목으로 그 품격이 고매하고 우아하며 같은 '목'자 돌림의 상통성을 갖는다. 초봄 일찍이 흰 봉우리의 꽃을 잎 먼저 피어 올려서 그의 자태를 자랑하여 '문화예술의 깊은 뜻과 순진한 목포인'을 상징한다.
- 시목 - 비파
º 비파(枇杷) 장미과의 상록수로 목포지역에서 재배되며, 꽃은 추운 겨울에 고통을 이겨내고 꽃망울을 터뜨리는 특이한 생리는 인내와 끈기가 있는 목포인의 기질을 상징. 열매는 부귀와 불변을 상징하며 잎줄기는 우아한 품위를 상징한다.
- 시조 - 학
º 학(鶴) 삼학도 전설에 등장하는 장수(長壽),복록(福祿)의 길조로 순고(純高)한 신비의 자태같은 품위와 멋과 낭만의 목포 예술인 기질 간직.
- 캐릭터 포포와 포미
º 청정도시 목포의 파도와 물의 이미지를 목포시의 새로운 심벌과 결합한 밀리니엄 베이비 마스코트. '포포와 포미'는 목포시의 지명과 항구를 지칭하는 '포'(port)와 아름다울 '미'를 사용하여 귀엽고 발랄한 느낌을 부여한 이름이다.
5. 경제[편집]
사업체별 취업자 수 (단위:명, 2022) | |||
합계 | 사업체수 | 28,662 | |
종사자수 | 87,430 | ||
조직 형태별 | 개인 | 사업체 | 23,867 |
종사자 | 41,643 | ||
회사법인 | 사업체 | 2,789 | |
종사자 | 19,853 | ||
회사이외법인 | 사업체 | 1,450 | |
종사자 | 21,671 | ||
비법인 | 사업체 | 556 | |
종사자 | 4,263 |
6. 교통[편집]
7. 교육[편집]
- 교육시설 : 123(2)개소(유치원 48, 초 33(2), 중 16, 고 15, 대 10, 기타 1)
8. 행정 구역[편집]
8.1. 용당1동[편집]
- 연혁
º 1914. 일본인들에 의한 행정구역 편입에 따라 내동, 관해동, 산정리의 각일부로 이로면 하당의 일부지역을 병합 용당이라고 하고 이로면에 편입
º 1932. 1. 4 목포부로 편입
º 1949. 용당동으로 명칭
º 1979. 5. 1 용당동에서 국도 간선도로를 경계로 용당1, 2동으로 분동되어 용당1동 개소
º 1999. 8. 11 전라남도 동기능전환 시범 동 지정 주민자치센터 최초개소
º 2006. 8.7 목포시 행정동사무소 조정 개정조례 공포에 따라 산정2동과 통합
º 2008. 6월 현재 신청사 이전행정구역 및 인구면적(㎢)1.45행정조직법정동2통46반198세대수5,537인구수9,652기초생활수급자962세대/1,351명
8.2. 용당2동[편집]
- 연혁
º 1914. 일본인들에 의한 행정구역 편입에 따라 내동, 관해동, 산정리의 각일부로 이로면 하당의 일부지역을 병합 용당이라고 하고 이로면에 편입
º 1932. 1. 4 목포부로 편입
º 1949. 동제 실시로 용당동으로 명칭
º 1979. 5. 1 용당동에서 국도 간선도로를 경계로 용당1, 2동으로 분동되어 용당2동 개소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9행정조직법정동1통22반90세대수2,828인구수4,862기초생활수급자438세대/612명
8.3. 연동[편집]
- 연혁
º 1962년 11월 21일 동제 실시에 따라 산정동 일부를 산정1동으로 분동
º 1966년 1월 1일 동제변경에 따라 산정1동 일부를 연동으로 분동
º 1997년 1월 1일 행정동 분합에 따라 산정1동과 연동 통합으로 산정1동으로 함
º 2006년 8월 7일 행정동 분합에 따라 산정1동을 연동으로 명칭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67행정조직법정동3통23반101세대수2,520인구수4,011기초생활수급자506세대/602명
8.4. 산정동[편집]
- 연혁
º 1914. 행정구역 폐합으로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
º 1932. 목포부(시) 편입 연산동 개칭
º 1962. 11. 21 동명 변경에 의하여 나머지 권역이 목포시에 편입되는 동시에 산정3동으로 분동
º 1997. 1. 1 행정동 분합으로 원산동, 연산동, 산정3동으로 분동
º 2006. 8. 6 행정동 명칭 변경으로 산정동으로 개칭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76행정조직법정동3통29반116세대수4,083인구수9,265기초생활수급자333세대/532명
8.5. 연산동[편집]
- 연혁
º 1997. 1. 1 목포시 행정구역 개편으로 산정3동에서 분동되어 개소
º 2002. 2. 22 목포시 연산동 1236-17 청사이전
º 2002. 3. 22. 연산동 주민자치센터개소행정구역 및 인구면적(㎢)2.88행정조직법정동3통20반94세대수4,169인구수10,471기초생활수급자206세대/346명
8.6. 원산동[편집]
- 연혁
º 1997. 1. 1. 행정동 분합으로 산정3동에서 분동 원산동 개소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62행정조직법정동2통34반170세대수5,948인구수12,245기초생활수급자647세대/1,023명
8.7. 대성동[편집]
- 연혁
º 1945. 해방과 함께 목포시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체 25동 중 제 5동이라 칭함
º 1953. 8. 15 지방자치 실시로 대성1구동.대성2구동으로 개칭
º 1969. 내무부 지역개편으로 대성1.ㆍ대성2동으로 개칭
º 1997. 1. 1 목포시 행정동 분.통합으로 대성1.2동이 대성동으로 합동 개편
º 2006. 8. 7 목포시 행정구역 개편으로 남양동 1통 편입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34행정조직법정동4통16반84세대수2,390인구수4,839기초생활수급자264세대/365명
8.8. 목원동[편집]
- 연혁
º 97. 1. 1. 행정구역 개편으로 동별 통합- 북교동 : 북교,달성,죽교3동
- 남양동 : 남교,양동
- 무안동 : 죽,호남,무안동º 2006. 8. 7. 남양,북교,무안동이 목원동으로 통합행정구역 및 인구면적(㎢)1.5행정조직법정동14통35반151세대수4,225인구수7,023기초생활수급자803세대/1,041명
8.9. 동명동[편집]
- 연혁
º 1914.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해안 통 6정목과 송도공원 부지를 병합하여 '송도정'이라 칭함
º 1948. 4. 1 왜식동명변경에 따라 동명동으로 개칭
º 1949. 동제 실시에 의하여 동명동회가 되어 광동과 호남동 일부, 산정동 일부를 관할
º 1997. 1. 1 행정동 분합으로 산정동 일부를 삼학동으로 분리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65행정조직법정동4통23반90세대수2,843인구수5,010기초생활수급자385세대/521명
8.10. 삼학동[편집]
- 연혁
º 1997. 1. 1 행정구역 개편으로 동명동에서 분동하여 삼학동 개소
º 2000. 9. 1 주민자치센터 개소
º 2003. 1. 6 현 청사로 이전 개청(부지 199.3평, 연건평 213평)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75행정조직법정동1통20반84세대수2,692인구수5,800기초생활수급자283세대/461명
8.11. 만호동[편집]
- 연혁
º 1899년 남해안통의 일부 및 동해안통의 일부, 목포대의 일부, 본정통의 일부, 산수통의 일부, 무안통의 일부가 속함
º 1914. 12. 9 개정- 남해안통의 일부→ 해안통의 일부, 금정의 일부, 유정, 항정으로 분리
- 동해안통의 일부→ 수정, 영정, 보정, 행정, 축정으로 분리
- 본정통의 일부 → 해안통의 일부, 중정의 일부로 분리
- 산수통의 일부 → 경정, 중정의 일부로 분리
- 무안통의 일부 → 복산정으로 개명
- 해안통 = 남해안통 일부 + 본정통의 일부
- 금정 = 남해안통 일부 + 본정통의 일부 + 산수통의 일부
- 중정 = 목포대의 일부 + 본정통의 일부 + 산수통의 일부º 1953. 1. 8 목포대(만호동), 수정(수강동), 해안통(해안동). 경정(경동), 중정(중동), 금정(금동), 유정(유동), 항정(항동)을 합하여 만호동으로 명명- 복산정(복만동), 영정(영해동), 보정(보광동), 행정(행복동), 축정(축복동)을 합하여 영해동으로 명명
- 산정리(동)의 일부인 삼학도가 영해동에 포함된 시기도 이때쯤으로 추정됨º 1997. 1. 1 (행정동 분ㆍ합) 만호동 전지역과 영해동 전지역을 통합하여 만호동으로 명명
º 2007. 7. 1 (행정구역 변경)- 기존 만호동 경동1가, 2가 지역 일부 유달동으로 편입
- 기존 유달동의 만호동 전부, 대의동1가, 중앙동1가, 2가 지역 일부 만호동으로 편입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94행정조직법정동30통14반62세대수1,687인구수2,555기초생활수급자234세대/280명
8.12. 유달동[편집]
- 연혁
º 1948. 4. 1 목포시 유달동
º 1997. 1. 1 목포시 유달동과 서산동 지역 통합 - 유달동
º 2006. 8. 7 목포시 유달동과 충무동 통합행정구역 및 인구면적(㎢)12.5행정조직법정동15통29반114세대수2,530인구수2,530기초생활수급자406세대/500명
8.13. 죽교동[편집]
- 연혁
º 무안군 이로면 신죽호
º 1914. 대반동, 신죽동, 쌍교동의 병합으로 죽교리로함
º 1932. 1. 4. 목포부에 편입
º 1949. 동제실시에 의하여 죽교2동
º 1997. 1. 1 죽교1동 일부와 죽교2동 병합으로 죽교동
º 2000. 9. 27 '죽교동 어울마당'이란 명칭을 추가하여 주민자치센타로 새롭게 출발 됨
º 2017. 7. 13. 죽교동 행정복지센터로 명칭 변경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75행정조직법정동3통16반67세대수1,750인구수2,910기초생활수급자404세대/548명
8.14. 북항동[편집]
- 연혁
º 1997. 1. 1. 목포시 행정동 분합에 의해 죽교1동에서 분할 북항동 신설- 죽교천을 기준 북동쪽지역과 신안비치아파트 일대를 북항동으로 지정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67행정조직법정동2통30반128세대수4,318인구수8,928기초생활수급자453세대/753명
8.15. 용해동[편집]
- 연혁
º 1963. 1. 1 행정구역개편으로 무안군 이로면 일부가 목포시로 편입 이로동으로 명명- 현재의 용해동, 이로동, 상동, 하당동, 신흥동 지역º 1994. 7. 6. 인구 5만의 과대동인 이로동을 분동하여 용해동과 상동으로 분리- 용해동 지번을 갖고 있는 모든 지역을 용해동으로, 그외 지역을 상동으로 분리º 1997. 1. 1. 목포시조례 제1805호에 의거 29개 동을 26개동으로 개편- 국도1호선을 경계로 좌측 즉 목포대 용해캠퍼스 쪽은 용해동, 우측 한전인근지역은 이로동으로 분리행정구역 및 인구면적(㎢)2.11행정조직법정동1통40반175세대수7,468인구수16,221기초생활수급자1,317세대/2,190명
8.16. 이로동[편집]
- 연혁
º 1932. 무안군 이로면에 배속
º 1963. 1. 1. 목포시 이로동으로 편입- 현재의 용해동, 상동, 하당동, 신흥동이 모두 이로동에 배속º 1994. 7. 6. 인구 5만의 이로동을 용해동과 상동으로 분리 용해동에 배속
º 1997. 1. 1. 행정동 개편으로 인하여 이로동 탄생- 과대동으로 분류된 인구 3만의 용해동을 국도 1호선을 경계로 광주로 가는 방향으로 좌측을 용해동, 우측을 이로동으로 분리
- 행정동 개편시 '이로'라는 옛 명칭을 부활하자는 주민의견에 의하여 현재의 이로동으로 명명(단 법정동은 용해동)행정구역 및 인구면적(㎢)1.93행정조직법정동1통25반93세대수4,298인구수10,595기초생활수급자388/237세대
8.17. 상동[편집]
- 연혁
º 1962. 11. 21 목포시에 편입 (이로동)
º 1994. 7. 6 이로동이 상동과 용해동으로 분동
º 1997. 1. 1 상동을 상동, 하당동, 신흥동으로 분리
º 2000. 9. 1 동 기능전환으로 청사내에「상동문화의 집」개소
º 2004. 2. 6 통반조정으로 32개통에서 35개통 으로증
º 2005. 9. 1 통반조정으로 35개통에서 37통으로 증
º 2007. 7. 1 통반조정으로 37개통에서 40통으로 증
º 2016. 1. 25 통반조정으로 40개통에서 43개통으로 증가
º 2020. 8. 31 통반조정으로 43개통에서 50개통으로 증가행정구역 및 인구면적(㎢)3.12행정조직법정동2통51반214세대수9,766인구수21,565기초생활수급자1,372세대/1,663명
8.18. 하당동[편집]
- 연혁
º 1997. 1. 1. 목포시 조례 1805호에 의거 상동에서 분동하여 하당동 개소
º 2001. 6. 27 하당동사무소 신축 준공 및 주민자치센터(하당골 문화복지관) 개소행정구역 및 인구면적(㎢)1.2행정조직법정동2통26반110세대수7,689인구수14,089기초생활수급자859세대/1,273명
8.19. 신흥동[편집]
- 연혁
º 1962. 11. 21 무안군 이로면에서 목포시로 편입되어 이로동(회) 관할
º 1994. 7. 6 이로동이 상동과 용해동으로 분동되어 상동에 배속
º 1997. 1. 1 상동에서 신흥동이 분동됨(목포시 조례 제1805호)행정구역 및 인구면적(㎢)1.79행정조직법정동1통38반177세대수7,500인구수15,998기초생활수급자458세대 / 756명
8.20. 삼향동[편집]
- 연혁
º 1987. 1. 1 목포시 삼향동
º 1997. 1. 1 목포시 행정동 분합(조례 제 1805호)으로 삼향, 옥암, 부흥동으로 분동행정구역 및 인구면적(㎢)7.7행정조직법정동2통15반64세대수2,285인구수4,576기초생활수급자244세대/404명
8.21. 옥암동[편집]
- 연혁
º 1987. 1. 1 무안군 삼향면에서 목포시 삼향동으로 편입
º 1997. 1. 1 목포시 삼향동에서 목포시 옥암동으로 분동
º 2011.12.26 옥암동 일부지역 부주동으로 편입행정구역 및 인구면적(㎢)2.58행정조직법정동1통22반84세대수4,543인구수10,807기초생활수급자225세대/386명
8.22. 부흥동[편집]
- 연혁
º 1997. 1. 1 행정구역개편 삼향동에서 분동
º 2007. 7. 1 옥암지구 일부 편입
º 2011.12.26 목포시 행정동 설치 및 동장 정수조례 개정
º 2012. 1.25 부주동 일부 분동(10개통)행정구역 및 인구면적(㎢)0.68행정조직법정동1통23반125세대수4,066인구수8,265기초생활수급자201세대/309명
8.23. 부주동[편집]
- 연혁
º 2011.12.26 「목포시 행정동 설치 및 동장 정수조례」 개정, 옥암동과 부흥동에서 분동
º 2012.1.25 부주동 주민센터 개청 및 업무개시
º 2013.10.7 현청사 이전․업무개시행정구역 및 인구면적(㎢)3.44행정조직법정동1통31반128세대수9,476인구수23,010기초생활수급자682세대/1,144명
9. 문화유산[편집]
9.1. 국가등록문화유산[편집]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舊 木浦公立尋常小學校)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 |
수량/면적 | 1동 2층 연면적 1,176.12㎡ |
지정(등록)일 | 2002.05.31 |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舊 湖南銀行 木浦支店)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업무시설 |
수량/면적 | 1동 연면적 516.02㎡ |
지정(등록)일 | 2002.05.31 |
목포 구 청년회관 (木浦 舊 靑年會館)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문화집회시설 |
수량/면적 | 1동 2층, 연면적 510.07㎡ |
지정(등록)일 | 2002.09.13 |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木浦 貞明女子中學校 舊 宣敎師 舍宅)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
수량/면적 | 1동 지하1층 지상2층, 현황측량면적 156.9㎡ |
지정(등록)일 | 2003.06.30 |
목포 양동교회 (木浦 陽洞敎會)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
수량/면적 | 1동, 1층(첨탑 4층), 건축면적448.33㎡ |
지정(등록)일 | 2004.12.31 |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 (舊 木浦師範學校 本館)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 |
수량/면적 | 1동, 2층, 건축면적 955㎡, 연면적 2,042㎡ |
지정(등록)일 | 2006.03.02 |
구 동본원사 목포별원 (舊 東本願寺 木浦別院)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
수량/면적 | 1동 1층, 연면적/건축면적 280.71㎡ |
지정(등록)일 | 2007.07.03 |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木浦 天主敎 舊 敎區廳)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
수량/면적 | 1동/ 현항측량면적 365㎡ |
지정(등록)일 | 2012.10.17 |
구 목포부청 서고 및 방공호 (舊 木浦府廳 書庫 및 防空壕)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업무시설 |
수량/면적 | 서고 1동, 방공호 1기 |
지정(등록)일 | 2014.04.29 |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木浦 文泰高等學校 本館)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 |
수량/면적 | 1동/1,182㎡ |
지정(등록)일 | 2014.10.30 |
목포 정광정혜원 (木浦 淨光定慧院)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
수량/면적 | 현황측량면적 515㎡ |
지정(등록)일 | 2017.10.23 |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 (朝鮮耐火株式會社 舊 木浦工場)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산업시설 |
수량/면적 | 건물 5동(A동,B동,C동,사무실, 사택), 굴뚝 3기, 설비물 5기 |
지정(등록)일 | 2017.12.05 |
목포 경동성당 | |
분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종교시설 |
수량/면적 | 1동(*현황측량면적 481㎡) |
지정(등록)일 | 2019.12.09 |
9.2. 전라남도 기념물[편집]
고하도이충무공유적 (高下島李忠武公遺蹟) | |
분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
수량/면적 | 일원(一圓) |
지정(등록)일 | 1974.09.24 |
목포시사 (木浦詩社) | |
분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
수량/면적 | 일원 |
지정(등록)일 | 1976.09.30 |
9.3.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편집]
목포오포대 (木浦旿砲臺) |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
수량/면적 | 일원 |
지정(등록)일 | 1987.01.15 |
목포진지 (木浦鎭址) |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
수량/면적 | 일원 |
지정(등록)일 | 1987.01.15 |
9.4.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편집]
고하도이충무공기념비 (高下島李忠武公紀念碑) | |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74.09.24 |
목포달성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木浦達聖寺木造阿미陀三존佛坐像) |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
수량/면적 | 3구 |
지정(등록)일 | 2000.12.13 |
목포달성사목조지장보살반가상 (木浦達聖寺木造地藏菩薩半跏像) |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
수량/면적 | 1구 |
지정(등록)일 | 2000.12.13 |
9.5. 천연기념물[편집]
목포 갓바위 풍화혈 (木浦 갓바위 風化穴) |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
수량/면적 | 1,179㎡ |
지정(등록)일 | 2009.04.27 |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둥지 화석 (新安 押海島 獸脚類 恐龍알둥지 化石) |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고생물 |
수량/면적 | 1점 |
지정(등록)일 | 2012.06.27 |
10. 교류 도시[편집]
국제 교류 | 결연 체결일 | |
자매 결연 | 노르웨이 함메르페스트시 | 1962.03.23 |
일본 벳부시 | 1984.10.01 | |
중국 연운항시 | 1992.11.01 | |
중국 샤먼시 | 2007.07.25 | |
우호 교류 | 일본 고치시 | 2012.11.09 |
중국 동강시 | 2015.05.28 | |
몽골 울란바토르시 | 2016.09.19 | |
영국 아버딘시 | 2017.02.15 | |
중국 주산시 | 2017.07.07 |
국내 교류 | 결연 체결일 | |
자매 결연 | 경상북도 영주시 | 1998.08.13 |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 1998.12.24 | |
서울시 서대문구 | 2005.04.18 | |
충청북도 청주시 | 2008.06.13 2008.07.25 | |
경기도 성남시 | 200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