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0411 일렉.webp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0411번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서울드래곤시티)
[도착]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용산역3번출구.용산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AT센터.양재꽃시장)
종점
첫차
04:2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10~15분
주말배차
12~17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22대(예비 1대)[1]
노선
서울드래곤시티 - 용산전자상가 - (공통 구간) - (→ 원효로3가 →) - 이촌2동주민센터 - 이촌동동부센트레빌 - 이촌역 - (← 서빙고역 ←) - 동작대교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역 - 반도미도아파트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AT센터.양재꽃시장
공통 구간
원효로3가 → 원효로2가사거리 → 효창공원앞역 → 효창공원삼거리.윤봉길의사등묘옆 → 숙명여대후문.이봉창활동터 → 대한노인회중앙회 → 효창운동장.효창동주민센터 → 효창공원앞역 → 원효로2가
* 공통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기 때문에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해야한다. 상.하행 모두 화살표 순서대로 운행한다.

3. 역사[편집]

  • 2016번3012번(현 3420번)의 단축에 의한 대체노선으로 2022년 6월 27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문 차량은 01A/B, 5624번, 106번, 370번, 2312번, N34번에서 차출했다.
  • 2022년 7월 18일부터 용산공영차고지 하차와 차고지 주변에서 승차가 가능해졌다. 승차는 서울드래곤시티 정류소에서, 하차는 용산역 3번 출구 정류소에서 가능하다. 관련 공문
  • 2022년 8월 16일을 기해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로 인해 정상운행차량 1대가 침수되면서 임시로 평일 운행대수가 1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된 80회로 조정되었고 평일 최소/최대 배차간격 역시 11~15분에서 12~16분으로 늘어났다. 다만, 토요일/공휴일 운행계통에는 변동이 없다. 관련 공문
  • 2022년 8월 29일을 기해 1대가 대원여객 2312A번으로부터 투입됐다. 또한 침수차량를 대체하기 위한 예비차량이 정규 운행에 한시적으로 투입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기존 대비 8회/4회/5회 증회된 88회/77회/73회로 조정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공휴일 각각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2~16분/14~19분에서 10~15분/12~17분으로 소폭 줄어들었다. 관련 공문
  • 2022년 11월 11일을 기해 침수차량의 수리가 완료되면서 한시적 예비차량 투입이 종료되었다. 관련 공문
  • 2024년 8월 26일부터 동년 9월 30일까지 운행사원 부족으로 인해 평일 운행대수가 1대 감축된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된 84회로 조정되며,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난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고속터미널에서 논현역을 경유하여 강남역으로 향하도록 계획했지만, 서초구청과 용산구 주민들의 민원 제기로 삼호가든사거리와 교대역을 대신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문 이로 인해 강남역~신반포역 구간은 서초10번과 겹친다.
  • 3대 있는 천언가스 버스의 경우 용산영업소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 가스 충전은 회차지 도착 후 염곡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가스를 충전한다. 이로 인한 가스충전 문제, 강남 구간의 심각한 정체로 인해 배차간격이 자주 깨지면서 평일 배차간격이 40분을 넘길 때도 있다. 원래 가스충전 때문에 염곡공영차고지 바로 옆 정류소인 도로교통공단까지 가기로 했으나 140번처럼 염곡사거리까지만 운행한다.
  • 0018번이 폐선된 이후 약 9년 만에 개통한 0권역 지선버스이자 최초의 0권역발 4권역행 노선이다.
  • 용산역3번출구.용산차고지 방향
    AT센터.양재꽃시장 방향
    차고지방향
    양재방향
  • 3420번서초10번의 삼호가든사거리 구간 과포화를 해소시켜 줄 것으로 보이며, 단축 후 세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삼호가든 방면 하교수요도 대신 맡게 된다. 진흥아파트 ~ 교대역 편도 구간의 경우, 740번 외에 노선이 추가되어 조금 더 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 서초대로와 강남역 남쪽의 강남대로를 오갈 때, 즉 신분당선 강남역과 교대역 간을 오갈 때 이 노선이 유용하다.
  • 숙명여대 경유로 효창공원앞역 ~ 숙대 순환구간 수요가 많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041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22년
7,675명
-
2023년
8,773명
△ 1,098
2024년
9,271명
△ 49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6대 운행[2] 개통일인 6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 용산차고지 방향만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