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에서 넘어옴
|
| |||
네오트랜스 D000호대 전동차 |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애칭 | DX라인 Digital eXpress Line (DX Line)[1] | ||
분류 | 광역철도 | ||
기점 | |||
종점 | |||
역 수 | 16 | ||
노선 기호 | D | ||
개업일 | 2011년 10월 28일 | ||
소유자 | |||
운영사 | 신분당선 1차 구간(강남역 ↔ 정자역) 사업 시행 | ||
경기철도 2차 구간(정자역 ↔ 광교역) 사업 시행 | |||
새서울철도 3차 구간(용산역 ↔ 강남역) 사업 시행 | |||
네오트랜스 신분당선 전 구간 운영 및 유지보수 | |||
사용차량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 광교차량사업소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33.5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복선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 Thales SelTrac RF-CBTC Moving Block | ||
최고속도 | 90km/h | ||
표정속도 | 47.9km/h | ||
지상구간 | 광교기지선 구간 | ||
통행방향 | 좌측통행 | ||
개통 연혁 | |||
개통 예정 |
1. 개요[편집]
신분당선은 신사역에서 양재, 판교, 미금을 거쳐 광교역까지 이어지는 광역 전철 노선이다.
2. 정차 역[편집]
3. 구간[편집]
미금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역이 상하행 승강장의 횡단이 가능하나, 미금역은 수인·분당선 구역을 경유해야만 횐단할 수 있다. 미금역은 대합실조차 수인·분당선 구역을 사이에 두고 상하행이 양분되어 있으므로 열차 이용 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의 정차 역 | |||||||||
역번 | 기점 기준 거리(㎞) | 역명 | 승강장 | 환승 노선 | 소재지 | 비고 | |||
형태 | 횡단 | ||||||||
■││■ (지하 3층) | 서 울 특 별 시 | ||||||||
■││■ (지하 3층) | |||||||||
■││■ (지하 3층) | |||||||||
D04 | 0.0 | 新 沙 | ■││■ (지하 4층) | ○ | |||||
D05 | 0.7 | 論 峴 | │■│ (지하 4층) | ○ | |||||
D06 | 1.5 | 新論峴 | ■││■ (지하 5층) | ○ | |||||
D07 | 2.4 | 江 南 | ■││■ (지하 4층) | ○ | |||||
D08 | 3.9 | 良 才 (瑞草區廳) | ■││■ (지하 4층) | ○ | |||||
D09 | 5.5 | 良才市民의숲 (梅軒) | ■││■ (지하 3층) | ○ | |||||
D10 | 8.4 | 淸溪山入口 | ■││■ (지하 4층) | ○ | |||||
D11 | 16.6 | 板 橋 (板橋테크노밸리) | ■││■ (지하 3층) | ○ | 경 기 도 | 성남시 분당구 | |||
D12 | 19.7 | 亭 子 | ■││■ (지하 4층) | ○ | |||||
D13 | 21.6 | 美 金 (盆唐서울大病院) | ■││■ (지하 5층) | ○[5] | |||||
D14 | 23.2 | 東 川 | ■││■ (지하 3층) | ○ | 용인시 수지구 | ||||
D15 | 25.3 | 水枝區廳 | ■││■ (지하 3층) | ○ | |||||
D16 | 27.0 | 星 福 | ■││■ (지하 3층) | ○ | |||||
D17 | 29.1 | 上 峴 | ■││■ (지하 3층) | ○ | |||||
D18 | 31.5 | 光敎中央 (亞洲大) | │■││■│ (지하 3층) | ○ | 수원시 영통구 | ||||
■││■ (지하 2층) | ○ | 수원시 팔달구 | |||||||
■││■[6] (지하 3층) | ○ | 수원시 장안구 | |||||||
■││■ (지하 2층) | ○ | 수원시 팔달구 | |||||||
■││■ (지하 3층) | ○ | 수원시 권선구 |
- 광교중앙 ↔ 광교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
4. 특징[편집]
- 대한민국 최초로 중전철에 무인운전을 적용했으며, 무인운전 방식은 CBTC[9] 방식이다.
- 도시철도가 아닌 광역철도이기 때문에 서울시 디자인 정책을 따를 이유가 없었던 신분당선은 역명판 디자인 개성이 살아있다.
-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가장 빠른 전철이라고 홍보하지만, 1호선 급행이 이 노선보다 표정 속도가 높다.
- 1번째 칸의 1번째 출입문 부근에 승무원이 서 계신다. 자동 운전 이상 발생 시 승무원이 자동 운전을 수동 운전으로 변경하여 수동으로 운전한다.
이상한 사람이 전철에 타면 걍 맨 앞 칸 가서 신고하자 - 신사 방면 열차가 판교주박시설 부근을 주행할 때 소음이 크다.
- 정자역 부근에 수인분당선과 연결되는 선로가 있다. 광교차량기지 신설 이전에는 죽전차량기지에서 이 연결선로를 통해 차량을 입출고했다.[13]
- 신사 방면 열차가 정자역 연결 선로 부근을 주행할 때 소음이 크다.
- 미금역은 초기 계획에는 없었으나, 주민들의 요구로 신설되었다.
- 운임이 비싸다. 적자 나서 그렇다고 한다.
- 11호선하고 연관성이 높다.
- 무인 운전이라 가감속이 매끄럽지 못하다.
그리고 사람들 무게 중심 기울어져서 자꾸 밀린다. - 양재~신사 구간은
신기하게도1번째, 6번째 칸의 혼잡도가 다른 칸보다 높을 때가 있다. - 콘크리트 도상인데다가 운행 속도까지 빨라서 소음이 심하다.
5. 운임[편집]
2023년 10월 7일부로 아래와 같이 운임이 인상되었다. 거 참 비싸다
6. 연장[편집]
해당 노선도는 미래의 노선도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신논현 ~ 신사는 무시하자.
[1] DX는 Digital eXpress라는 의미로 기존의 국유철도, 도시철도와 차별화된 최첨단의 무인 시스템을 구축한 광역철도를 뜻한다. 역간 운행속도가 기존의 도시철도보다 훨씬 빠르고 안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신분당선 구간의 다른 이름이다.[A]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3] 신분당선이 완공되면 용산역과 신용산역의 환승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4호선 신용산역 명칭은 용산역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4] 기존 판교트램이 성남 도시철도 2호선으로 통합되었다. [5] 수인분당선 대합실을 거쳐서 횡단할 수 있다.[6] 예타시 섬식 승강장으로 계획되었었지만, 정거장 전후구간 S-Curve발생 및 확폭 터널 시공문제를 고려하여 상대식 개착정거장으로 반영하였다.[7] 사이에 추진 중인 구운(서수원터미널)역이 신설된다면 호매실역의 역번호가 D23이 된다. [8] 본선이 아니라 기지 입출고선 위에 있다.[9] 과거 서해선에서도 사용됐던 그 자동운전 신호 체계가 맞다. 현재 서해선은 기지 입출고 및 경의중앙선 공용 구간 운행 시 ATS, 나머지 구간 운행 시에는 ATP를 사용한다.[10] 하지만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판교 -> 양재시민의숲 구간은 가끔 94km/h까지도 간다.[11] 설계 속도는 100km/h.[12] 강남~정자 구간만 하면 시속 약 60km/h이다. [13] 현재는 정자행 열차운행을 마친 열차가 주박한다. 그레서 평일 오전 10시 30분, 막차 시간대 열차에서 연결선에 서있는 열차를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