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首都圈 電鐵 4號線
Seoul Metropolitan Metro Line 4
파일:4호선_341038(22.03).png
파일:450편성.jpg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4호선 노선도_20231208.svg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지하철 4호선 구간)
일반철도(진접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
광역철도
지정구간
진접선 구간
차량 분류
기점
종점
역 수
51개
구성 노선
상징색
파란색 (#00A4E3)
개통일
소유자
운영사
사용차량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85.7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급전방식
진접남태령: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지상: 카테너리가선, 지하: T-bar식 가공강체가선)
선바위오이도: 교류 25,000V 가공전차선
(지상: 카테너리가선, 지하: R-bar식 가공강체가선)
신호장비
US&S[11] ATC(진접역 ↔ 금정역)
ATS-S2(금정역 ↔ 오이도역)[12]
최고속도
표정속도
불암산오이도 37.3km/h
진접사당 38.3km/h
불암산오이도 급행 39.0km/h
지상구간
지하구간
통행방향
개통 연혁
1985. 04. 20. 상계삼선교
1985. 10. 18. 삼선교사당
1988. 10. 25. 금정안산
1992. 03. 02. 고잔
1992. 05. 01. 산본
1993. 01. 15. 인덕원금정
1993. 04. 21. 당고개상계
1994. 01. 10. 초지
1994. 04. 01. 사당인덕원
2000. 07. 28. 안산오이도
2003. 07. 18. 수리산
2022. 03. 19. 당고개진접
개통 예정
1. 개요2. 특징3. 노선도

1. 개요[편집]

오이도에서 출발해 안산, 금정, 사당, 서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창동을 거쳐 불암산, 진접으로 이어지는 수도권 광역 철도 노선.

2. 특징[편집]

  • 남태령~선바위 구간에 보면 교직 절연 구간 및 꽈배기굴이 있다.
  • 금정역에서 1호선과 평면 환승된다.
  • 남서-북동 축을 담당하는 노선이다.
  • 급행 노선이 있지만 금정~오이도 구간만 급행이고 이후로 모든 역에 정차한다.
  • 역명 분쟁이 잦은 노선이다.
  • 노후화 비율이 높은 노선이었다. 한국철도공사의 341000호대 초기분인 2030호대 당시의 전동차들의 노후화가 많이 되어 있었으나, 이 문제는 2030호대로 도입된 전동차들이 전부 퇴역하고 그 자리를 주둥이들러 다 채워져서 해결됐다.
  • 운영 방식이 특이한 노선이다. 운영사마다 사용하는 전류 방식이 다르고[14], 통행 방식도 각기 다르며[15], 두 신호 체계를 사용한다.[16] 이 때문에 제2종전기철도차량 면허를 따기 위한 시뮬레이터에 4호선 일부 구간[17]의 데이터가 저장돼 있다.
  • 진접~오이도를 한번에 가는 열차가 없다. 사당역에서 귀찮게 갈아타야 한다.
  • 사당행 열차가 심하게 많아 이용객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하긴 4호선 교공차 중 절반 정도가 직류 전용이라

3. 노선도[편집]

주요 역: 진접 - 당고개 - 노원 - 창동 - 충무로 - 지하서울역 - 이촌 - 사당 - 남태령 - 선바위 - 인덕원 - 범계 - 금정 - 산본 - 한대앞 - 초지 - 안산 - 정왕 - 오이도

파일:수도권 전철 4호선 노선도_20231208.svg
[구간1] 1.1 1.2 과천선(435443), 안산선(443456)[구간3] 2.1 2.2 2.3 2.4 진접선(405408)[구간2] 3.1 3.2 서울 지하철 4호선(409434)[6] 안산선 화물열차 등을 서울교통공사가 짠 다이아그램에서 따로 짠다. 자세한 사항은 일산선 문서의 운행 항목 참조.[9] 열차 다이아그램 수립. 자세한 사항은 일산선 문서의 운행 항목 참조.[11]히타치 레일 STS[12] 특이하게도 진접-남태령 구간은 ATC 직류방식이고 선바위-금정 구간은 ATC 교류방식이다. 같은 ATC 신호장비이기는하지만 직류 와 교류 두개로 나누어진다. [13] ATC 구간(진접~남태령) 80㎞/h[14] 서울교통공사 직류 DC 1.5kV, 한국철도공사 교류 AC 25kV.[15] 서울교통공사 우측통행, 한국철도공사 좌측통행.[16] 서울교통공사 진접-남태령, 한국철도공사 선바위-금정은 ATC, 한국철도공사 금정-오이도 ATS.[17] 산본-남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