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9호선은 자회사인 메트로9호선이 운영하나, 차량 정비 등의 업무는 서울교통공사에서 맡는다.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인천교통공사 로고.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地下鐵 7號線
Seoul Subway Line 7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 지하철 7호선 노선도(2022_05).svg
노선 정보
분류
기점
종점
역 수
53개
구성 노선
서울 지하철 7호선[2]
도봉산포천선[3]
상징색
갈록색 (#747F00)
개업일
1996년 10월 11일
소유자
운영자
사용차량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61.3㎞[10]
궤간
1,435mm
선로구성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최고속도
80㎞/h
표정속도
33.3㎞/h
지상구간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1996. 10. 11. 장암건대입구
2000. 02. 29. 온수신풍
2000. 08. 01. 신풍건대입구
2012. 10. 27. 온수부평구청
2021. 05. 22. 부평구청석남
개통 예정
2025. 장암고읍
2027. 12. 석남청라국제도시
2028. 고읍포천
미정. 포천 ↔ 철원

1. 개요2. 건설 목적3. 주행 영상4. 여담

1. 개요[편집]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거쳐 광명시, 그리고 다시 서울시, 부천시, 인천광역시 부평구와 서구까지 연결된 도시철도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부천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 모두에 속한다. 노선색은 올리브색으로 색의 뜻은 성장과 발전이다.

본래 목적은 인구 밀집지역인 서울 동북부와 서남부 지역 및 광명시에서 강남지역으로의 교통 편의성을 위해 계획된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의 경인선 구간과 지하철 4호선 강북구간의 과도한 혼잡을 떨어뜨릴 목적으로 만들어진 노선이다. 그러나 이후 원래 예상 이용객수를 훨씬 뛰어넘어 3호선, 5호선 수요를 앞질렀고 이후 추가 연장이 이루어졌다.

2. 건설 목적[편집]

  • 부천시의 신도심이고 인구도 더 많지만 철도 음영지역이었던 중동지구, 상동지구의 철도교통 공급 및 포화상태인 경인선의 수요 분담
    • 본래 부천시의 철도교통은 시 남부이자 구도심 지역이었던 역곡동, 심곡동, 송내동 일대에만 1호선 경인선 구간이 동서로 관통하였는데, 90년대 이후 중동신도시와 상동지구로 부천의 중심이 바뀌었음에도 1기 신도시 중 유일하게 신도시 중앙을 지나는 지하철이 없는 불편함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라는 엄청난 규모의 도시끼리 대중교통으로 직통 연결하는 역할을 경인선이 단독으로 하다보니 수요 분산 또한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동신도시를 중심으로 또 다른 서울-인천 연결 노선이자 부천시 관통 노선인 7호선의 온수~석남 구간이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3. 주행 영상[편집]

석남역 장암역 전구간 주행 영상
장암역 석남역 전구간 주행 영상

4. 여담[편집]

[1] 장암역~포천역 구간(도봉산포천선).[2] 서울 도시철도 구간과 인천 도시철도 구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노선 명칭은 같다. 부천시 구간은 부천시 소유이나, 인천교통공사가 위탁 운영중이고, 운영에 대한 비용을 인천교통공사에 지불한다.[3] 2025년 장암역~고읍역, 2028년 고읍역~포천역 구간 개통예정.[4] 장암~온수 구간.[5] 까치울~상동 구간.[6] 삼산체육관~석남 구간.[7] 장암역~온수역 구간 운영 및 차량, 관제 운영, 유지보수 담당.[8] 까치울역~석남역 구간 운영. 차량 관제 운영 및 유지보수는 서울교통공사에 위탁.[9] 640~641편성이 임시 이적하여 7호선에서 운행중이다.[10] 청라연장선이 개통될 경우 73km, 도봉산포천선이 완공될 경우 105.9km가 된다.[11] 장암철교.[12] 청담대교.[13] 근데 5678호선 다 같은차라 8호선 초기 5호선이 굴러다녔었다.억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