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세르비아/역사
,
,
,
,
[ 펼치기 · 접기 ]
고대
슬라브 민족 유입
vs 불가리아
동로마
세르비아 제국
V
B
L
K
N
14세기 말
오스만 지배기
대 튀르크 전쟁
자치권 쟁취
독립
20C 초
S
N
B
C
L
N
K
※ S는 수보티치, N은 노비사드 (이상 보이보디나 자치주), B는 베오그라드, C는 중부 지방, L은 서부 라쉬카, N은 동남부 니쉬, K는 서남부 코소보
1. 개요2. 역사
2.1. 스테판 두샨과 세르비아의 전성기2.2. 스테판 우로시 5세와 제국의 몰락
3. 역대 차르 (네마니치 왕조)

1. 개요[편집]

1346년부터 1371년까지 존재했던 세르비아계 황제국.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전성기를 이끈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이 세르비아인과 로마인의 황제를 칭하며 수립했고, 세르비아 역사상 최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2대 황제(차르) 스테판 우로시 5세 시대에는 급속도로 결속력이 약화되어 쇠퇴했고, 그가 후사를 남기지 않고 사망하면서 제국 역시 멸망했다.

2. 역사[편집]

2.1. 스테판 두샨과 세르비아의 전성기[편집]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치하에서 전성기를 맞이한 네마니치 왕조 치하의 세르비아 제국은 마케도니아 지방까지 영토를 넓힌 후, 세르비아 본토에서 마케도니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스코페[1] 천도하고 세르비아인과 로마인의 황제를 칭하며 제국을 선포했다.

스테판 두샨은 단순한 칭제에만 그치지 않고 동로마 제국을 정복하여 진짜 로마 황제가 되려는 야망을 갖고 있었지만, 여러 대내외적 악재로 인해 해당 목표는 끝내 달성하지 못했다.

2.2. 스테판 우로시 5세와 제국의 몰락[편집]

스테판 두샨 사후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가 즉위했다.

그러나 그는 성년이 되었음에도 모후와 권신들에게 휘둘리는 나약한 인물이었고, 급격하게 결속력이 약화된 제국은 마리차 강 전투에서 오스만 술탄국 군대에 대패했다.

그리고 스테판 우로시 5세 본인마저 후사를 남기지 않고 사망하면서 네마니치 왕조는 단절되고, 세르비아는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에 의해 재통일되기 이전까지 분열 상태에 빠졌다.

3. 역대 차르 (네마니치 왕조)[편집]

  • 초대: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2대: 스테판 우로시 5세
[1] 불가리아 제1제국의 수도였으며 지금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