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Devleti Aliyyei Osmaniyye
숭고한 오스만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장.png
국기
국장
파일:1000000874.jpg
1683년 당시 오스만 제국의 최대 강역
1. 개요2. 국호3. 상징
3.1. 국기3.2. 국장3.3. 국가
4. 정치
4.1. 군주
4.1.1. 칭호4.1.2. 역대 군주
4.2. 관직4.3. 헌법과 의회
5. 역사6. 영토7. 사회/문화
7.1. 민족7.2. 언어7.3. 종교
8. 군사9. 경제10. 대외전쟁

1. 개요[편집]

1299년부터 1922년까지 지금의 튀르키예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존속한 국가.

일반적으로 오스만 제국이라 불리지만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2. 국호[편집]

3. 상징[편집]

3.1. 국기[편집]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1844년에 최종적으로 확정된 오스만 제국의 국기.

현재 튀르키예 국기인 월성기(아이 이을드즈)와 거의 동일한 국기를 사용했는데,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일부 배율 변화만 있었을 뿐 눈에 띄는 큰 변화는 없어서 튀르키예 현지인들도 두 국기를 동시에 놓고 유심히 관찰하지 않는 한 구분하기 힘들다.

3.2. 국장[편집]

파일:오스만 제국 국장.png

3.3. 국가[편집]

4. 정치[편집]

4.1. 군주[편집]

4.1.1. 칭호[편집]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술탄 또는 황제로 통칭되지만, 시대별로 다양한 칭호가 사용되었고, 그 중 1453년부터 1922년까지 가장 널리 사용된 칭호는 파디샤였다.
  • 베이(1299년~1383년)
    오스만 1세의 건국 직후부터 무라트 1세 시대까지 사용한 칭호.
  • 술탄(1383년 ~ 1453년)
    무라트 1세 시대부터 메흐메트 2세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이전까지 사용한 칭호. 이후에는 황족이나 고위 관료에게 하사하는 작위 내지는 명예직으로 사용되었다.
  • 파디샤(1453년 ~ 1922년)
    1453년 메흐메트 2세가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이후부터 사용한 페르시아식 황제 칭호이자 오스만 황제의 대표 칭호. 로마의 정통성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중동권 칭호였기에, 서구권에서도 후술할 카이세리 룸 칭호와 달리 파디샤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 카이세리 룸(1453년 ~ 1922년)
    1453년 메흐메트 2세가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킨 후, 그 계승을 표방하면서 자칭한 로마 황제로서의 칭호.
  • 칼리파(1517년 ~ 1924년)
    1517년 셀림 1세가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를 정벌한 후 아바스 칼리파로부터 선양받으며 획득했다. 제국 멸망 이후에도 공화국과 공존하다가 폐지되었다.
  • 기타 칭호

4.1.2. 역대 군주[편집]

4.2. 관직[편집]

4.3. 헌법과 의회[편집]

본래 오스만 제국은 전제군주국이었으나 1876년 미드하트 헌법 제정과 함께 입헌군주제를 도입했고, 1878년에 폐지했다가 1908년 청년 튀르크당 혁명과 함께 다시 헌정이 실시되었다.

5.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스만 제국/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영토[편집]

7. 사회/문화[편집]

7.1. 민족[편집]

7.2. 언어[편집]

7.3. 종교[편집]

8. 군사[편집]

9. 경제[편집]

10. 대외전쟁[편집]

[ 펼치기 · 접기 ]
전쟁·분쟁
교전국
30년 전쟁
1618 ~ 1634
7년전쟁
1754 ~ 1763
크림 전쟁
1853 ~ 1856
발칸 전쟁
1912 ~ 1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