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알렉산드로스 대왕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알렉산드로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한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알렉산드로스(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헤주호르 · 니호르 · · 흐세큐 · 카유 · 티우 · 테쉬 · 네헵 · 와즈너 · 하트호르 · 메크 · 아 · 더블팔콘 · 워시
핑거 스네일 · 피쉬 · 엘리펀트 · 스톡 · 불 · 전갈왕 1세 · 아이리 호르 · 크로커다일 · · 전갈왕 2세 · 나르메르 · 메네스
제1 왕조
나르메르 · 메네스 · 호르아하 · 제르 · 제트 · 메르네이트 · 덴 · 아네지브 · 세메르케트 · 카아 · 스네페르카 · 호루스 바
제2 왕조
헤텝세켐위 · 라네브 · 니네체르 · 바 · 누브네페르 · 호루스 사 · 웨네그 · 와제네스 · 세네지 · 세트 페리브센 · 세케리브 페렌마아트 · 네페르카라 1세 · 네페르카소카르 · 후제파 1세 · 카세켐위
제3 왕조
조세르 · 세켐케트 · 사나크테 · 네브카 · 카바 · 카하제트 · 후니
제4 왕조
스네프루 · 쿠푸 · 제데프레 · 카프레 · 비케리스 · 멩카우레 · 솁세스카프 · 탐프티스
제5 왕조
우세르카프 · 사후레 ·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 네페레프레 · 솁세스카레 · 니우세르레 · 멩카우호르 · 제드카레 · 우나스
제6 왕조
테티 · 우세르카레 · 페피 1세 · 메렌레 1세 · 페피 2세 · 네페르카 · 메렌레 2세 · 니토크리스 · 네체르카레
제7 왕조
멩카레 · 네페르카레 2세 · 네페르카레 네비 · 제드카레 셰마이 · 네페르카레 켄두 · 메렌호르 · 네페르카민 · 니카레 · 네페르카레 테레루 · 네페르카호르 · 네페르카레 페피세네브 · 네페르카민 아누 · 카카레 이비 · 네페르카우레 · 네페르카우호르 · 네페리르카레 · 와지카레 · 쿠이케르 · 쿠이
제8 왕조
제9 왕조
케티 1세 · 네페르카레 7세 · 네브카우레 케티 · 세투트
제10 왕조
메리하토르 · 네페르카레 8세 · 와카레 케티 · 메리카레
제11 왕조
멘투호테프 1세 · 인테프 1세 · 인테프 2세 · 인테프 3세 · 멘투호테프 2세 · 멘투호테프 3세 · 멘투호테프 4세
제12 왕조
아메넴헤트 1세 · 세누스레트 1세 · 아메넴헤트 2세 · 세누스레트 2세 · 세누스레트 3세 · 아메넴헤트 3세 · 아메넴하트 4세 · 소베크네프루
제13 왕조
소베크호테프 1세 · 손베프 · 네리카레 · 세켐카레 · 아메니 케마우 · 호테피브레 · 이푸니 · 아메넴헤트 6세 · 세멘카레 네브누니 · 세헤테피브레 · 세와지카레 · 네제미브레 · 소베크호테프 2세 · 렌세네브 · 호르 ·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 제드케페레우 · 세브카이 · 세제파카레 · 웨가프 · 켄제르 · 이미레메샤우 ·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 세트 메리브레 · 소베크호테프 3세 · 네페르호테프 1세 · 시하토르 · 소베크호테프 4세 ·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 와히브레 이비아우 · 메르네페르레 아이 · 이니 1세 · 상켄레 세와지투 · 메르세켐레 이네드 · 세와지카레 호리 · 소베크호테프 7세 · 이니 2세 ·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 메르케페레 · 메르카레 ·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 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 야아무 누부세르레 · 카레흐 · 아아호테프레 · 셰시 · 네헤시 · 카케레우레 · 네베파우레 · 세헤브레 · 메르제파레 · 세와지카레 3세 · 네브제파레 · 웨벤레 · 네브센레 · 셰케페렌레 · 제드케레우레 · 베브눔 · 아페피 · 누야 · 와자드 · 셰네흐 · 셴셰크 · 카무레 · 야카레브 · 야쿠브-하르
제15 왕조
셈켐 · 아페라나트 · 사키르-하르 · 키얀 · 아페피 · 카무디
제16 왕조
제후티 · 소베크호테프 8세 · 네페르호테프 3세 · 멘투호테피 · 네비리라우 1세 · 네비리라우 2세 · 세멘레 베비앙크 · 세켐레 셰드와스트 · 데두모세 1세 · 데두모세 2세 · 몬투엠사프 ·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 세누스레트 4세 · 페피 3세
제17 왕조
라호테프 · 네브마아트레 · 소베켐사프 1세 · 소베켐사프 2세 · 인테프 5세 · 인테프 6세 · 인테프 7세 · 세나크텐레 아모세 · 세케넨레 타오 · 카모세
제18 왕조
아모세 1세 · 아멘호테프 1세 · 투트모세 1세 · 투트모세 2세 · 투트모세 3세 · 하트셉수트 · 아멘호테프 2세 · 투트모세 4세 · 아멘호테프 3세 · 아케나톤 · 스멩크카레 · 네페르티티 · 투탕카멘 · 아이 · 호렘헤브
제19 왕조
람세스 1세 · 세티 1세 · 람세스 2세 · 메르넵타 · 아멘메세스 · 세티 2세 · 십타 · 투스레트
제20 왕조
세트나크테 · 람세스 3세 · 람세스 4세 · 람세스 5세 · 람세스 6세 · 람세스 7세 · 람세스 8세 · 람세스 9세 · 람세스 10세 · 람세스 11세
제21 왕조
스멘데스 1세 · 아메넴니수 · 프수센네스 1세 · 아메네모페 · 대 오소르콘 · 시아멘 · 프수센네스 2세
제22 왕조
셰숑크 1세 · 오소르콘 1세 · 셰숑크 2세 · 타켈로트 1세 · 오소르콘 2세 · 셰숑크 3세 · 셰숑크 4세 · 파미 · 셰숑크 5세 · 오소르콘 4세
제23 왕조
하르시에세 · 타켈로트 2세 · 페디바스테트 · 셰숑크 6세 · 오소르콘 3세 · 타켈로트 3세 · 루다멘 · 이니
제24 왕조
테프나크트 · 바켄레네프
제25 왕조
피이 · 셰비쿠 · 샤바카 · 타하르카 · 타누타멘
제26 왕조
네카우 1세 · 프삼티크 1세 · 네카우 2세 · 프삼티크 2세 · 와히브레 · 아흐모세 2세 · 프삼티크 3세
캄비세스 2세 · 바르디아 · 다리우스 1세 · 크세르크세스 1세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 크세르크세스 2세 · 소그디아누스 · 다리우스 2세
제28 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 왕조
네파루드 1세 · 하코르 · 프삼무테스 · 네파루드 2세
제30 왕조
나크트네베프 · 제드호르 · 나크트호레브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 아르세스 · 다리우스 3세
프톨레마이오스 1세 · 프톨레마이오스 2세 · 프톨레마이오스 3세 · 프톨레마이오스 4세 ·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프톨레마이오스 7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 베레니케 4세 ·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프톨레마이오스 15세
1. 개요2. 일생
2.1. 마케도니아의 왕자2.2. 필리포스 2세의 사망과 즉위2.3. 알렉산드로스의 동방 원정
2.3.1. 알렉산드로스의 페르시아 원정2.3.2. 알렉산드로스의 인도 원정
2.4. 원정의 중단과 사망2.5. 사후
3. 업적과 유산
3.1. 헬레니즘
3.1.1. 헬레니즘 제국3.1.2. 헬레니즘 문화
3.2. 도시 알렉산드리아
3.2.1.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3.2.2. 기타 지역의 알렉산드리아
4. 평가
4.1. 능력에 대한 평가
4.1.1. 군사적 능력에 대한 평가4.1.2. 정치적 능력에 대한 평가
4.2. 지역별, 시대별 평가
4.2.1. 서구권에서의 평가
4.2.1.1.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인들의 평가4.2.1.2. 고대 로마동로마 제국에서의 평가4.2.1.3. 근현대 그리스에서의 평가4.2.1.4. 북마케도니아에서의 평가4.2.1.5. 기타 서구권 국가
4.2.2. 중동 및 이슬람권에서의 평가
4.2.2.1. 이란인들의 평가

1. 개요[편집]

알렉산드로스 3세[1] 또는 알렉산드로스 대왕[2]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이자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3대륙에 걸친 헬레니즘 제국을 건설한 것으로 유명한 정복 군주다.

이전에 이미 알렉산드로스라는 이름을 사용한 마케도니아 군주가 2명 있긴 했지만, 다른 설명 없이 그냥 알렉산드로스라고 하면 바로 이 인물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리스어권에서 알렉산드로스라는 이름이 현대까지 살아남고 영어권의 알렉산더(Alexander)[3]를 비롯한 여러 파생 이름이 생긴 것은 이 인물의 영향이 크다.

2. 일생[편집]

2.1. 마케도니아의 왕자[편집]

2.2. 필리포스 2세의 사망과 즉위[편집]

2.3. 알렉산드로스의 동방 원정[편집]

알렉산드로스라는 이름의 명성이 현대까지 전해질 수 있게 만든 불후의 업적.

2.3.1. 알렉산드로스의 페르시아 원정[편집]

자국보다 훨씬 광대한 영토와 인구를 가진 제국을 정복한, 일생일대 최대의 업적이라 할 수 있는 대외 원정이다.

2.3.2. 알렉산드로스의 인도 원정[편집]

2.4. 원정의 중단과 사망[편집]

2.5. 사후[편집]

그의 뒤를 이어 공동왕으로 즉위한 동생 필리포스 3세와 아들 알렉산드로스 4세는 둘다 정상적으로 제국을 통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에[4], 그의 제국은 디아도코이라 불리는 부관들 사이의 내전에 휩싸였는데, 그 과정에서 필리포스 3세와 알렉산드로스 4세가 둘다 제거당하며 선대부터 이어져온 아르게아스 왕조는 끝내 단절되었고, 제국은 군웅할거 끝에 마케도니아 왕국 본토와 아시아의 셀레우코스 제국,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라는 3왕국으로 분할된 상태가 정립되었다.

3. 업적과 유산[편집]

3.1. 헬레니즘[편집]

3.1.1. 헬레니즘 제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헬레니즘 제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헬레니즘 문화[편집]

3.2. 도시 알렉산드리아[편집]

3.2.1.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편집]

3.2.2. 기타 지역의 알렉산드리아[편집]

4. 평가[편집]

4.1. 능력에 대한 평가[편집]

4.1.1. 군사적 능력에 대한 평가[편집]

4.1.2. 정치적 능력에 대한 평가[편집]

4.2. 지역별, 시대별 평가[편집]

4.2.1. 서구권에서의 평가[편집]

4.2.1.1.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인들의 평가[편집]
4.2.1.2. 고대 로마동로마 제국에서의 평가[편집]
4.2.1.3. 근현대 그리스에서의 평가[편집]
오늘날 그리스에서 알렉산드로스 3세는 그리스사의 수많은 위인들을 제치고 공영방송의 존경받는 위인 설문조사 1위를 달성할 정도로 존경받고 있다.
4.2.1.4. 북마케도니아에서의 평가[편집]
북마케도니아는 슬라브계 국가지만 지리적으로 구 마케도니아 왕국의 영역에 세워진 나라고[5], 국호에도 마케도니아를 집어넣은 만큼 고대 마케도니아를 자국사로 여기는 정서가 강한데, 이 때문에 그리스와 역사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다.[6]
4.2.1.5. 기타 서구권 국가[편집]

4.2.2. 중동 및 이슬람권에서의 평가[편집]

4.2.2.1. 이란인들의 평가[편집]
[1] 알렉산드로스 감마.[2] 알렉산드로스 메가스.[3] 라틴어 인명 알렉산데르(Alexander)를 거쳐 영어 인명이 되었다.[4] 전자는 정신적인 문제가 있었고, 후자는 아직 어린 아이였다.[5] 엄밀히 말하면 마케도니아 왕국의 중심지는 지금의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역이고, 북마케도니아 일대는 본래 파이오니아라는 이름으로 불리다 정복당한 땅이었다.[6] 그나마 이것도 그냥 마케도니아 공화국이었다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국호를 변경하면서 완화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