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키프로스 공화국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키프로스 공화국에 대한 문서입니다. 다른 뜻의 키프로스에 대한 내용은 키프로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파일:안도라 국기.png
파일:산마리노 국기.pn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png
파일:세르비아 국기.png
파일:스페인 국기.png
파일:이탈리아 국기.pn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pn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바티칸 시국 국기.png
파일:그리스 국기.png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영국령)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png
파일:마케도니아 국기.png
파일:몰타 국기.pn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png
파일:알바니아 국기.png
파일:터키 국기.png
파일:키프로스 국기.pn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중부유럽으로 보기도 한다.
** 지리적으로는 보스포루스 해협 이서의 일부 지역(동트라키아)만이 남유럽에 속하나 정치, 경제, 군사, 사회문화적인 이유로 터키 전체를 남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지리적인 이유로 서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민족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그리스와 가깝기에 남유럽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동유럽으로 보기도 한다.
키프로스 공화국
Κυπριακή Δημοκρατία
Kıbrıs Cumhuriyeti
Republic of Cyprus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장.svg
국기
국장
위치
파일:키프로스 위치.svg
기본 정보
수도
니코시아시(일부 명목상)
하위 행정구역
6주
면적
9,251㎢(명목상)
인문 환경
인구
1,295,102명(명목상)[1]
인구 밀도
129명/㎢(명목상)[2]
공용어
그리스어, 튀르키예어
정치
국가원수
대통령
대통령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부통령
공석
경제
GDP(명목상)
232억 달러[A]
1인당 GDP
(명목상)
26,240달러[A]
기타 정보
국가 코드
196, CY, CYP
국제 전화 코드
+357
1. 개요2. 역사3. 외교
3.1. 북키프로스와의 관계

1. 개요[편집]

키프러스 공화국은 지중해 동부에 위치한 섬나라로, 국제 사회에서 키프러스 섬 전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받고 있다. 수도는 명목상 니코시아이며, 정부 청사와 외교 기관 등이 남부 도심에 집중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 대륙과 가까우나 역사적, 문화적 연계는 유럽과 더 깊으며, 유럽 연합의 회원국이다.

1960년, 키프러스는 영국의 식민 지배로부터 독립하여 공화국 체제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독립 이후 그리스계와 튀르크계 주민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1974년 그리스계 군사 쿠데타와 튀르키예의 군사 개입으로 섬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로 인해 북부는 독자적인 통치를 선언하였으나 국제적으로는 키프러스 공화국만이 합법 정부로 인정받고 있다.

정치 체제는 대통령 중심제로 운영되며, 대다수 인구를 차지하는 그리스계 주민이 사회와 행정을 주도하고 있다. 공용어는 그리스어이며, 행정과 교육, 상업 분야에서는 영어도 널리 사용된다. 주요 종교는 동방 정교로, 사회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는 관광, 금융, 해운업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유럽 연합 가입 이후 무역과 국제 자본 유입이 활발해졌으며, 안정된 금융 제도와 유리한 조세 환경은 외국인 투자 유치에 기여하고 있다. 농업 및 에너지 자원 개발도 경제 구성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고대 그리스 문명, 로마 시대, 동로마 제국, 중세 십자군 국가들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각 시기의 유적과 건축물, 미술품이 섬 전역에 남아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비잔틴 양식 교회들과 고고학 유적들이 대표적이다.

키프러스 공화국은 유럽 연합과 국제 연합 등 다양한 국제기구의 회원국이며, 분단 상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섬 전체의 통합을 이루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키프로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외교[편집]

3.1. 북키프로스와의 관계[편집]

1983년에 북키프로스가 건국되어 키프로스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키프로스는 그리스와 관계가 좋고, 북키프로스는 튀르키예와 관계가 좋으며, 양국은 서로 대립하고 있다.
[1] 2022년 기준.[2] 2018년 기준.[A] 3.1 3.2 2020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