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위상3. 역사
3.1. 원시 그리스어3.2. 미케네 그리스어(미케네어)3.3. 고대 그리스어(고전 그리스어)3.4. 코이네 그리스어3.5. 중세 그리스어3.6. 현대 그리스어(근대 그리스어)
4. 표준어 및 방언
4.1. 디모티키 그리스어(민중 그리스어)4.2. 카타레부사 그리스어(순수 그리스어)4.3. 지역별 방언
5. 문자

1. 개요[편집]

인도유럽어족 헬라어파에 속하는 언어이자, 현재 그리스키프로스의 공용어.

2. 위상[편집]

역사적으로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과 작가들의 언어, 헬레니즘 제국로마 제국[1]의 공용어로 사용된 언어였고, 기독교 신학에서는 신약성경 원문의 언어[2]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다.

3. 역사[편집]

3.1. 원시 그리스어[편집]

문자로 표기되기 이전의 그리스어로, 이 당시의 어휘와 발음은 언어학자들이 재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크레타 섬에서 발생한 그리스 최초의 문명인 미노스 문명(미노아 문명)에서 사용된 미노스어와 연관성이 있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3.2. 미케네 그리스어(미케네어)[편집]

미케네 문명(미케나이 문명)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선형문자 B(선문자 B)로 표기되었다.

3.3. 고대 그리스어(고전 그리스어)[편집]

미케네 문명의 선형문자 B가 그리스 암흑시대를 거치며 실전된 후, 기원전 800년경부터 페니키아 문자를 모방한 그리스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헬레니즘 시대 이전까지 사용된 그리스어다.

상당수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 및 문인들이 해당 언어로 저작을 남겼다.

3.4. 코이네 그리스어[편집]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헬레니즘 제국이 형성된 이후부터 고대 로마가 그리스를 지배하던 시기까지 사용된 언어.

그리스어권이 동지중해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이란계 국가인 파르티아 제국에서도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또한 유대인들도 상당수가 그리스어를 사용하여 구약성경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80인역 성경이 편찬되었고, 신약성경은 아예 처음 문자로 기록될 때부터 그리스어로 편찬되었다.

3.5. 중세 그리스어[편집]

330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천도한 이후부터 오스만 제국에 의해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이 멸망하는 1453년까지 사용된 그리스어.

당대 그리스인들은 로마인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기에, 당사자들은 로마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중세 시대에도 그리스어는 제국의 공용어로서 높은 위상을 갖고 있었지만, 상당수의 동지중해 지역이 이슬람화로 인해 아랍권이 되면서 그리스어권의 범위가 축소되었고,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에는 아나톨리아(소아시아)가 튀르크어권으로 넘어가면서 범위가 갈수록 축소되었다.

3.6. 현대 그리스어(근대 그리스어)[편집]

오스만 제국그리스를 지배하던 시기부터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는 그리스어.

4. 표준어 및 방언[편집]

4.1. 디모티키 그리스어(민중 그리스어)[편집]

근대 이래 일반 민중들이 사용해온 그리스어로, 오랫동안 그리스어의 순수성을 추구한 지배층 및 지식인들에게 속된 언어로 취급받았지만, 그리스 군사정권이 몰락하고 민주화가 실현된 이후인 1976년부터 표준어로 인정받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현대 그리스어 교재 역시 디모티키를 기준으로 한다.

4.2. 카타레부사 그리스어(순수 그리스어)[편집]

라틴어, 오스만 튀르크어(오스만어) 등 외국어의 잔재를 최대한 제거하고, 고대 그리스어 시절의 순수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표준어.

그리스 독립 이래 정부와 지식인들이 장려했지만, 워낙 배우기 어려워서 상류층들도 공문서가 아닌 일상생활에서까지 쓰는 경우는 드물었고, 결국 1976년부터 공식적인 표준어 지위를 디모티키에 내주고 말았다.

다만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아직도 카타레부사를 전례 억어로 사용하고 있고, 디모티키에도 카타레수사 어휘가 일부 반영되었기에 완전히 죽은 언어는 아니다.

4.3. 지역별 방언[편집]

5. 문자[편집]

주로 그리스 문자를 이용하여 표기한다.
[1] 동로마 제국 포함.[2] 구약성경이 히브리어로 작성된 것과는 대조적인데, 이는 유대교와 달리 다양한 민족에게 복음을 전파한다는 사명에 따라 유대인들만이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보다는 당대 동지중해 세계에서 국제어로 널리 쓰이던 그리스어(정확히는 코이네 그리스어)가 경전 언어로 더 적합하게 여겨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