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계통 | |||||||||||
언어 | |||||||||||
관련 신화 |
1. 개요[편집]
2. 위상[편집]
3. 역사[편집]
3.1. 원시 그리스어[편집]
문자로 표기되기 이전의 그리스어로, 이 당시의 어휘와 발음은 언어학자들이 재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크레타 섬에서 발생한 그리스 최초의 문명인 미노스 문명(미노아 문명)에서 사용된 미노스어와 연관성이 있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크레타 섬에서 발생한 그리스 최초의 문명인 미노스 문명(미노아 문명)에서 사용된 미노스어와 연관성이 있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3.2. 미케네 그리스어(미케네어)[편집]
미케네 문명(미케나이 문명)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선형문자 B(선문자 B)로 표기되었다.
3.3. 고대 그리스어(고전 그리스어)[편집]
미케네 문명의 선형문자 B가 그리스 암흑시대를 거치며 실전된 후, 기원전 800년경부터 페니키아 문자를 모방한 그리스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헬레니즘 시대 이전까지 사용된 그리스어다.
상당수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 및 문인들이 해당 언어로 저작을 남겼다.
상당수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 및 문인들이 해당 언어로 저작을 남겼다.
3.4. 코이네 그리스어[편집]
3.5. 중세 그리스어[편집]
3.6. 현대 그리스어(근대 그리스어)[편집]
4. 표준어 및 방언[편집]
4.1. 디모티키 그리스어(민중 그리스어)[편집]
근대 이래 일반 민중들이 사용해온 그리스어로, 오랫동안 그리스어의 순수성을 추구한 지배층 및 지식인들에게 속된 언어로 취급받았지만, 그리스 군사정권이 몰락하고 민주화가 실현된 이후인 1976년부터 표준어로 인정받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현대 그리스어 교재 역시 디모티키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오늘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현대 그리스어 교재 역시 디모티키를 기준으로 한다.
4.2. 카타레부사 그리스어(순수 그리스어)[편집]
4.3. 지역별 방언[편집]
5. 문자[편집]
주로 그리스 문자를 이용하여 표기한다.